사실 64괘의 숫자를 모두 합하면 960이 나온다. (양효는 3으로, 음효는 2로 계산한다. 예를 들면 건괘는 3개의 효가 모두 양효이므로 3 × 3 = 9이고, 곤괘는 3개의 효가 음효이므로 3 × 2 = 6으로 계산한다.)
도표 6 64괘의 합
중건천 18 |
화천대 유 17 |
산천대축 16 |
풍천소축 17 |
뇌천대장 16 |
택천리 17 |
수천수 16 |
지천태 15 |
합 132 |
천화동인 17 |
중리화 16 |
산화분 15 |
풍화가인 16 |
뇌화풍 15 |
택화혁 16 |
수화기제 15 |
지화명이 14 |
합 124 |
천산돈 16 |
화산려 15 |
중간산 14 |
풍산점 15 |
뇌산소과14 |
택산함 15 |
수산건 14 |
지산겸 13 |
합 116 |
천풍구 17 |
화풍정 16 |
산풍고 15 |
중손풍 16 |
뇌풍항 15 |
택풍대과 16 |
수풍정 15 |
지풍승 14 |
합 124 |
천뇌무망 16 |
화뢰서합 15 |
산뢰이 14 |
풍뢰익 15 |
중진뢰 14 |
택뢰수 15 |
수뢰둔 14 |
지뢰복 13 |
합 116 |
천택리 17 |
화택규 16 |
산택손 15 |
풍택중부 16 |
뇌택귀매 15 |
중태택 16 |
수택절 15 |
지택림 14 |
합 124 |
천수송 16 |
화수미제 15 |
산수몽 14 |
풍수환 15 |
뇌수해 14 |
택수곤 15 |
중감수 14 |
지수사 13 |
합 116 |
천지비 15 |
화지진 14 |
산지박 13 |
풍지관 14 |
뇌지예 13 |
택지췌 14 |
수지비 13 |
중곤지 12 |
합 108 |
합 132 |
합 124 |
합 116 |
합 124 |
합 116 |
합 124 |
합 116 |
합 108 |
도합 960 |
이처럼 64괘의 합이 960이 나오는 까닭은 본래 8괘는 건(9), 곤(6)이 10무극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9와 6은 건곤을 가리키는데, 이는 곧 온전한 음양을 상징하며, 온전한 음양이 운행하는 하루, 더 넓게는 1년의 도수를 가리킨다. ‘일각(一刻)이 여삼추(如三秋)’라는 말이 있다. 이때의 1각은 15분을 가리킨다. 15분도 역시 하도의 중앙에 있는 15도수처럼 모든 시간의 기본 중심인데, 이는 곧 1년에 24절기가 15일을 한 마디로 하는 것과 같다. 1각을 여삼추 같다고 한 것은 물론 ‘더디 가는 세월이나 시간의 흐름’을 가리킨 것이지만, 하필이면 삼추(三秋)라고 한 것은 3년을 가리키는 것도 있지만, 본래는 천지인 3계를 가리킨다. 즉 天 5, 地 5, 人 5의 합을 나타낸 것이다. 하루는 24시간이고 1시간은 60분이므로 하루의 자전 분수(分數)는 24시간 × 60분 = 1,440분이다. 이것을 1각으로 나누면 1,440 ÷ 15분 = 96이므로 하루는 96각이다. 각(刻 : 새길 각)은 마음에 새기는 것이므로 각(覺 : 깨달을 각)과 상통한다. 즉 하루를 우리는 건곤과 그 속에 들어 있는 팔괘, 구궁의 이치를 깨달으면서 보내는 것이 바른 삶이라는 의미를 우리 조상들은 가르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