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문왕도의 6건천이 지존문명과 인존문명의 교차점이 되어 개벽이 이루어진다는 의미다.
즉 문왕도의 6건천은 용담도의 5진뢰, 문왕도의 5중앙은 용담도의 6중앙, 문왕도의 4손풍은 용담도의 7손풍, 문왕도의 3진뢰는 용담도의 8간산, 문왕도의 2곤지는 용담도의 9리화, 문왕도의 1감수는 용담도의 10건천으로 자리를 바꾸는데, 그것은 모두 문왕도의 임금이었던 6건천으로부터 뒤집어지기 때문이다.
쉬어 가는 곳
수로 보는 일월성신
하늘의 변화는 곧 수의 변화다. 하늘의 변화는 일월성신의 공전과 자전 때문에 생긴다. 그렇다면 수에도 공전과 자전이 있다는 말인가? 아니, 수에도 일월성신이 있다는 말인가? 일월성신은 하늘의 4상이다.
그것이 천지에서 형상으로 드러나면 천지인신(天地人神, 혹은 天地人物)이요, 땅에서 찾는다면 수화목금(水火木金, 혹은 水火土石)이다. 그것이 인체로 드러나면 사지(四肢)가 된다. 일월성신이 작용하여 드러나는 것이 주야, 사시사철, 동서남북이다. 인체의 사지가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은 사단(四端 : 인의예지)이다.
그러면 숫자로 일월성신을 말한다면? 그것은 1, 2, 3, 4다. 1, 2, 3, 4를 합하면 10이다. 일월성신이 하늘의 허공(0 = 10)을 채우고 있는 것처럼, 1, 2, 3, 4도 10을 채우고 있다.
하늘을 바탕으로 하여 일월성신이 공전과 자전을 하면서 우주만물이 변화하는 것처럼, 수도 역시 0을 바탕으로 하여 1, 2, 3, 4가 부단(不斷)하게 변화한다.
천지라는 부모에게서 인신이라는 자녀가 탄생하는 것처럼, 일월로부터 지구를 비롯한 각종 별(성신)들이 탄생한다.
수화(水火)라는 두 기운으로부터 목금이 나오고, 지예(智禮)로부터 인의(仁義)가 나온다.
눈귀로부터 코와 입의 기운이 파생하고, 신장과 심장의 정기와 신명으로부터 간과 폐의 혼백이 나온다.
이런 이치대로 숫자도 역시 1과 2라는 태극과 음양으로부터 3과 4라는 3신과 4상이 생겨 만물을 형성한다. |
이런 식으로 용담도의 나머지 괘상과 수리에 대한 것을 추리할 수 있지만, 나머지는 독자 여러분들이 스스로 해보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