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현무경을 공부하는 요령 3

영부, 精山 2007. 3. 8. 09:08
 

천간과 지지를 합하면 60갑자라고 하는데, 60갑자를 외울 때에도 그냥 갑자, 을축, 병인 … 식으로 외우는 건 간단하다.

 

하지만 그렇게 하는 것보다 1갑자, 2을축, 3병인 … 처럼 앞에 번호를 붙여서 외우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예를 들면 병인년에서 기미년까지 얼마나 걸릴까 하는 문제가 나왔을 경우, 번호를 외우고 있으면 금방 계산할 수 있다.

 

 기미는 56번이요, 병인은 3번이므로 56 - 3은 53이라는 답이 금방 나온다. 만약 번호를 외우지 못한다면 일일이 손가락을 움직여서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1갑자

 2을축

 3병인

 4정묘

 5무진

 6기사

 7경오

 8신미

 9임신

10계유

11갑술

12을해

13병자

14정축

15무인

16기묘

17경진 

18신사

19임오

20계미

21갑신

22을유

23병술

24정해

25무자

26기축

27경인

28신묘

29임진

30계사

31갑오

32을미

33병신

34정유

35무술

36기해

37경자

38신축

39임인

40계묘

41갑진

42을사

43병오

44정미

45무신

46기유

47경술

48신해

49임자

50계축

51갑인

 

52을묘

 

53병진

 

54정사

 

55무오

 

56기미

 

57경신

 

58신유

 

59임술

 

60계해

 


 이렇게 번호를 붙여서 외운다면 굳이 60개를 다 외울 필요도 없이 30개만 외워도 충분하다.

 

1갑자에서 30계사까지만 외우기만 하여도 된다는 말인데, 구체적인 실례를 들어보기로 한다. 갑자는 갑이 북방에 있고, 그 반대는 남방인 갑오가 된다.

 

그러므로 1갑자만 외우면 그 반대편에 있는 갑오는 60갑자의 절반을 지난 31갑오가 된다.

 

2을축의 반대편에 있는 을미는 32다. 3병인의 반대편에 있는 병신이므로 33이다.

 

 이렇게 되는 이치는 천지사정(天之四正)인 子午卯酉 중에서 子는 북방에 있고, 그 반대인 남방에는 午가 있기 때문이요, 동방 卯의 반대편에는 서방 酉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사고(地之四庫)인 辰戌丑未 중에서 동방은 辰이요, 서방은 戌로 상대를 이루고, 북방의 丑과 남방의 未가 상대를 이루기 때문이다.

 

 또한 인지사유(人之四維)인 인신사해 중에서 동방인 寅과 서방인 申은 서로 상대를 이루고, 남방인 巳와 북방인 亥가 상대를 이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오묘유, 진술축미, 인신사해만 외우면 나머지는 저절로 알게 된다. 다시 몇 가지의 예를 들어보기로 하자.

 

 신유(辛酉)의 번호를 알고 싶다면 유의 반대편에 있는 묘(卯), 즉 신묘(辛卯)가 28번이므로 30을 더 해서 즉각적으로 58번임을 알게 된다.

 

 기사를 6번으로 외운다면 사(巳)의 반대편에는 해(亥)가 있으므로 즉각 기해는 36번임을 알 수 있다.

 

하나만 더 해보기로 하자. 19임오의 반대편에는 임자가 있고 30을 더한 49번임을 알 수 있다.

 

 위의 경우는 천간을 기준으로 한 것이요, 이번에는 지지를 기준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지지를 기준으로 한다는 말은 지지는 변하지 않고, 천간이 변한다는 말이다. 예를 들면 1갑자에서 13병자, 25무자, 37경자, 49임자의 5자(子)가 있는데, 지지 자(子)는 변하지 않는 대신 갑, 병, 무, 경, 임으로 천간이 변한다.

 

이번에는 축(丑)을 기준으로 살핀다면 2을축, 14 정축, 26기축, 38신축, 50계축이라는 5축(丑)이 생긴다. 다른 지지도 모두 이와 같은 원리로서 짜여졌다.

 

이처럼 지지를 기준으로 할 적에는 그 숫자가 반드시 12도의 차이가 생긴다. 1갑자, 13병자, 25무자 … 하는 식으로 12도의 차이가 생기는데, 그것은 지지는 12개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지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천간의 운행순서를 알아야 하는데, 그것은 양간(陽干)은 갑병무경임(甲丙戊庚壬)의 순서이고, 음간(陰干)은 을정기신계(乙丁己辛癸)의 순서다.

 

 ‘갑병무경임, 을정기신계 … 갑병무경임, 을정기신계’ 이것이 무의식 중에 입에서 나올 정도로 외우기만 하면 60갑자를 외우는 건 손쉬운 일이다.

 

 또 하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천간을 기준으로 할 적에는 위에서 알아본 것처럼, 반대편과 30도의 차이가 났지만, 지지를 기준으로 할 적에는 36도로 상극(相剋)한다는 사실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기로 하자. 1갑자에서 36을 가면 37경자다. 갑자의 甲은 오행으로 木이다. 목을 치는 것은 金이다.

 

 금은 庚이므로 37경자가 된 것이다. 다음으로 2을축의 乙은 木이므로 목과 상극인 辛丑이 36을 합하여 38번이 되었다.

 

 3병인의 丙은 火이므로 상극인 壬寅에 36을 합하면 39번이 된다. 이런 이치를 알기만 하면 30번 안에 있는 60갑자만 외우기만 하면 금방 그 외의 것은 저절로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