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괘는 천지가 변화하는 음양, 즉 동정(動靜)을 도형으로 나타낸 것이요, 그 속에서 움직이는 3신의 변화는 9이므로 9궁이라고 하여 수리로 드러내기 때문에 두 가지가 필요했다. 그런데 8괘와 9궁은 반드시 그 바탕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천지다. 천지가 없으면 만물의 상과 성도 존재할 수 없다. 그러므로 하늘을 가리키는 천간과 땅을 가리키는 지지가 나오지 않으면 안 된다. 하늘은 모든 변화(9수)의 중심이므로 5에 해당하며, 그것이 각기 음양이 있으므로 10개의 천간으로 되었고, 땅은 천지인 3신이 움직이는 4방이므로 3 곱하기 4는 12지지가 되었다.
설명은 나중에 상술하기로 하고 우선 선천 낙서 문왕도와 9궁 성리도와 후천 용담도와 9궁 성리도를 소개하기로 하겠다. 이 도표는 절대적인 것이므로 반드시 눈을 감고도 그릴 수 있을 정도로 각인해야 한다.
(하도와 복희도)
(낙서와 문왕도)
(용담도와 9궁행로)
황극수 9궁행로
10건천 |
9리화 |
8간산 |
7손풍 |
6중앙 |
5진뢰 |
4태택 |
3감수 |
2곤지 |
순서 |
80분 |
시간 |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1차궁 |
11시 - 12시 20분 |
9 |
8 |
5 |
10 |
6 |
2 |
7 |
4 |
3 |
2차궁 |
12시 20분 - 1시 40분 |
8 |
5 |
2 |
9 |
6 |
3 |
10 |
7 |
4 |
3차궁 |
1시 40분 - 3시 |
7 |
10 |
9 |
4 |
6 |
8 |
3 |
2 |
5 |
4차궁 |
3시 - 4시 20분 |
6 |
6 |
6 |
6 |
10 |
6 |
6 |
6 |
6 |
5차궁 |
4시 20분 - 5시 40분 |
5 |
2 |
3 |
8 |
6 |
4 |
9 |
10 |
7 |
6차궁 |
5시 40분 - 7시 |
4 |
7 |
10 |
3 |
6 |
9 |
2 |
5 |
8 |
7차궁 |
7시 - 8시 20분 |
3 |
4 |
7 |
2 |
6 |
10 |
5 |
8 |
9 |
8차궁 |
8시 20분 - 9시 40분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9차궁 |
9시 - 40분 - 11시 |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나중에 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