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인존시대에서는 시간과 더불어 9궁을 사용한다.
8괘가 자연만물의 형상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면, 9궁은 인간의 마음과 의식에 기준을 둔 것이다.
그러므로 성경에 말하기를 ‘천국은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누가복음 17장, 20절, 21절)’고 하신 말씀이 응하게 된다.
말로만 천국이 내 마음에 있다고 하면 안 된다.
내 마음에 자성이 밝아져 9궁을 바로 사용할 적에 비로소 9천을 내 맘대로 오갈 수 있는 법이다.
낙서에서는 120분을 1시간으로 하였기 때문에 하루 12시간이 되어 9궁이 응할 수 없었지만, 인존시대에서는 9 ☓ 9 = 81분을 1궁으로 사용한다. (81의 1은 체가 되어 80을 사용한다) 하루 1,440분을 80분으로 나누면 18궁이 된다.
이것은 음양으로 나누지 않은 것이므로 선반 오전과 후반 오후로 나누면 각기 9궁이 된다.
따라서 오전에는 9변을 하고, 오후에도 9복을 한다. 이렇게 하루에 운행하는 9궁을 가리켜 소궁(小宮)이라고 한다.
그것은 이미 앞에서 도표 ‘황극수 구궁행로’에서 소개한 바 있다. 다음은 대궁에 대해서 알아보자.
하루에 18궁씩을 가면 4 · 5일이 지나면 81궁이 이루어진다. (81궁 ÷ 18 = 4 · 5) 이것을 가리켜 일자(一字)라고 하는데, 일자가 아홉 개 모이면 1천(一天)이라고 한다.
따라서 1천은 9 × 4 · 5일 = 40 · 5일이다. 1천이 다시 아홉 개가 모이면 구천(九天)이라고 하는데, 364 · 5일이 된다.
이것이 바로 황극력의 1년이다. 나머지 1 · 5일은 정역에서 말한 15존공(尊空)이다.
존공까지 합하면 태양력 366일이 된다. 존공은 하도의 중심에 있는 15도수를 가리키는 것인데, 가장 기본적인 천지인 3신의 중심 5이기 때문에 비워 두어야 한다.
이렇게 하여 1년에 81궁이 존재하는데, 이를 가리켜 대궁(大宮)이라고 한다. 대궁을 도표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황극역방도(皇極易方圖)
厲 須 閑 蒙 直 信 守 潛 原 동지 1천 10지2 9지2 8지2 7지2 6지2 5지2 4지2 3지2 2지2 華 親 易 柔 常 祈 振 冲 입춘 成 2천 10지3 9지3 8지3 7지3 6지3 5지3 4지3 3지3 2지3 舒 欣 興 壯 育 交 從 춘분 獲 見 3천 10지4 9지4 8지4 7지4 6지4 5지4 4지4 3지4 2지4 靡 錫 盈 章 益 公 입하 晋 開 比 4천 10지5 9지5 8지5 7지5 6지5 5지5 4지5 3지5 2지5 寡 疑 過 伏 中 하지 升 豫 決 庶 5천 10지6 9지6 8지6 7지6 6지6 5지6 4지6 3지6 2지6 遠 翕 郤 用 입추 損 昧 虛 戾 飾 6천 10지7 9지7 8지7 7지7 6지7 5지7 4지7 3지7 2지7 收 訟 分 추분 競 疾 弱 除 懼 迅 7천 10지8 9지8 8지8 7지8 6지8 5지8 4지8 3지8 2지8 結 戎 입동 止 報 革 堅 危 賓 實 8천 10지9 9지9 8지9 7지9 6지9 5지9 4지9 3지9 2지9 終 동지 墮 移 固 任 囚 勝 遇 養 9천 10지10 9지10 8지10 7지10 6지10 5지10 4지10 3지10 2지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