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사상강유설 - 2

영부, 精山 2007. 4. 12. 04:04

者體形情性於化之地 

 

巽 

坎 

艮 

 

 

 

 

 

 

 

 

 

 

 

 

坤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應 

雷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露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風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雷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雷 

而 化 

者 木 

之 

形 

應 

露 

而 化 

者 木 

之 

形 

應 

風 

而 化 

者 木 

之  

形 

應 

雷 

而 化 

者 木 

之 

形 

應 

雷 

而 化 

者 木 

之 

情 

應 

露 

而 化 

者 木 

之 

情 

應 

風 

而 化 

者 木 

之  

情 

應 

雷 

而 化 

者 木 

之 

情 

應 

雷 

而 化 

者 木 

之 

性 

應 

露 

而 化 

者 木 

之 

性 

應 

風 

而 化 

者 木 

之  

性 

應 

雷 

而 化 

者 木 

之 

性 

木 

之 

體 

者 

善 

鼻 

草 

之 

體 

者 

善 

口 

飛 

之 

體 

者 

善 

目 

走 

之 

體 

者 

善 

耳 

木 

之 

形 

者 

善 

 

草 

之 

形 

者 

善 

口 

飛 

之 

形 

者 

善 

目 

走 

之 

形 

者 

善 

耳 

木 

之 

情 

者 

善 

鼻 

草 

之 

情 

者 

善 

口 

飛 

之 

情 

者 

善 

目 

走 

之 

情 

者 

善 

耳 

木 

之 

性 

者 

善 

鼻 

草 

之 

性 

者 

善 

口 

飛 

之 

性 

者 

善 

目 

走 

之 

性 

者 

善 

耳 

 

 

 

(해설) 

 

                           사상강유설(四象剛柔說) 

 

                       하늘과 땅의 삼오착종(三五錯綜) 

 

삼오착종(三五錯綜)은 3과 5가 서로 섞이는 것을 가리키는데, 이는 곧 천지의 변화를 의미한다.

 

3은 기(氣)의 변화를 가리키고, 5는 형(形)의 변화를 가리킨다. 따라서 3·5착종은 기와 형의 변화다.

 

 기는 무형이므로 어느 곳에서건 변화한다.

 

그러나 형은 유형이므로 반드시 사방이라는 틀 속에서 변화한다.

 

기는 형체가 아닌 빛으로 변화하는데, 빛은 7성에서 나오는 것이므로 두 개의 7성과 그 중앙까지 합하여 15도수로 움직인다.

 

이를 가리켜 천행(天行) 15도라고 한다. 천행 15도는 원부두에서 도부두가 나오는 기간을 가리킨다. 24절기의 머리인 절수(節首)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이에 비해 형은 4방이라는 틀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므로 변화의 기본인 3과 곱하여 3 × 4 = 12와 바탕인 중심 1을 합하여 13으로 변화한다.

 

이를 가리켜 천유(天有) 13도라고 한다. 천유13도는 이미 앞에서 언급을 했으므로 이해하고 있을 줄로 믿지만, 자전과 공전이 일치하여, 일진과 절수의 머리가 되는 용부두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