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도와 태극, 양의
도생천지이태극자(道生天地而太極者) 도지전체야(道之全體也) 태극생양의(太極生兩儀) 양의(兩儀) 형지판야(形之判也)
: 도는 천지를 낳고 태극은 도의 전체이다. 태극이 양의를 낳고 양의는 형상을 가름한다.
② 천도는 음양, 지도는 강유, 인도는 인의
양의생사상(兩儀生四象) 사상생이후(四象生以後) 천지지도비언(天地之道備焉) 입천지도왈음여양(立天之道曰陰與陽) 입지지도왈유여강(立地之道曰柔與剛) 입인지도왈인여의(立人之道曰仁與義)
: 양의가 사상을 낳고 사상이 나온 후에 천지의 도가 갖추어 짐이요, 하늘의 도가 서매 음양이 더불어 있고, 땅의 도가 서매 강유가 함께 하고 사람의 도가 서매 인의(仁義)가 함께 한다.
③ 하늘, 땅, 사람의 몸
음양(陰陽) 변어상이일월성신생언(變於上而日月星辰生焉) 강유화어하이수화토석성언(剛柔化於下而水火土石成焉) 일월성신성상어천(日月星辰成象於天) 수화토석성체어지(水火土石成體於地)
: 음양이 위에서 변하여 일월성신이 나오고, 강유가 밑에서 화하매 수화토석이 이루어진다. 일월성신은 하늘에서 상을 이루고, 수화토석은 땅에서 몸을 이루고
④ 상, 체, 시의 변화
상동어상이만시생언(象動於上而萬時生焉) 체교어하이만물성언(體交於下而萬物成焉) 시유소장영허물유동식주비(時有消長盈虛物有動植走飛) 소장영허자(消長盈虛者) 시지변야(時之變也) 동식주비자(動植走飛者) 물지류야(物之類也)
: 상(象)은 위에서 움직여 만시가 나오고, 몸은 아래에서 교차하여 만물을 이룬다.
때에는 소장영허가 있고 만물에는 동식주비가 있다. 소장영허는 때가 변함이요, 동식주비는 만물의 종류다.
⑤ 숫자의 의미
시유변기물이유응(時有變起物以類應) 시지물유수존언(時之物類數存焉) 수자(數者) 하야(何也) 도지운야(道之運也) 이지회야(理之會也) 음양지변야(陰陽之變也) 만물지기야(萬物之紀也)
: 때에는 물질이 변화하여 종류를 내어 응하고 물류에는 수(數)가 있으니 수는 어쩐 것이냐?
그것은 도가 움직이는 것이며 이(理)가 모이는 것이고, 음양이 변하는 것이며, 만물의 벼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