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설명을 하였고, 이번에는 천간과 지지의 조합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천간의 시작은 甲이요, 지지의 시작은 子라고 합니다. 다음에 乙과 丑을 합하고, 다음으로 丙과 寅을 합하는 식으로 차서를 따라 조합을 하면 도합 60개의 조합이 나옵니다.
이를 가리켜 60갑자라고 부릅니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차례 본 카페에서 언급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하나 하나의 의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언급한 바 없습니다.
이번 기회에 조금이나마 그런 면에 대한 언급을 하려고 합니다.
子에는 甲子, 丙子, 戊子, 庚子, 壬子의 5子가 있습니다.
丑에도 乙丑, 丁丑, 己丑, 辛丑, 癸丑의 5丑이 있습니다.
寅에도 甲寅, 丙寅, 戊寅, 庚寅, 壬寅의 5寅이 있습니다.
卯에도 乙卯, 丁卯, 己卯, 辛卯, 癸卯의 5卯가 있습니다.
辰에도 甲辰, 丙辰, 戊辰, 庚辰, 壬辰의 5辰이 있습니다.
巳에도 乙巳, 丁巳, 己巳, 辛巳, 癸巳의 5巳가 있습니다.
午에도 甲午, 丙午, 戊午, 庚午, 壬午의 5午가 있습니다.
未에도 乙未, 丁未, 己未, 辛未, 癸未의 5未가 있습니다.
申에도 甲申, 丙申, 戊申, 庚申, 壬申의 5申이 있습니다.
酉에도 乙酉, 丁酉, 己酉, 辛酉, 癸酉의 5酉가 있습니다.
戌에도 甲戌, 丙戌, 戊戌, 庚戌, 壬戌의 5戌이 있습니다.
亥에도 乙亥, 丁亥, 己亥, 辛亥, 癸亥의 5亥가 있습니다.
이런 걸 가리켜 오운이라고 합니다.
이에 비해서 육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甲에는 甲子, 甲寅, 甲辰, 甲午, 甲申, 甲戌의 6甲이 있습니다.
乙에는 乙丑, 乙亥, 乙酉, 乙未, 乙巳, 乙卯의 6 乙이 있습니다.
丙에는 丙子, 丙寅, 丙辰, 丙午, 丙申, 丙戌의 6 丙이 있습니다.
丁에는 丁丑, 丁亥, 丁酉, 丁未, 丁巳, 丁卯의 6丁이 있습니다.
戊에는 戊子, 戊寅, 戊辰, 戊午, 戊申, 戊戌의 6戊가 있습니다.
己에는 己丑, 己亥, 己酉, 己未, 己巳, 己卯의 6己가 있습니다.
庚에는 庚子, 庚寅, 庚辰, 庚午, 庚申, 庚戌의 6庚이 있습니다.
辛에는 辛丑, 辛亥, 辛酉, 辛未, 辛巳, 辛卯의 6辛이 있습니다.
壬에는 壬子, 壬寅, 壬辰, 壬午, 壬申, 壬戌의 6壬이 있습니다.
癸에는 癸丑, 癸亥, 癸酉, 癸未, 癸巳, 癸卯의 6癸가 있습니다.
우리 말에 '육갑'한다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이런 경우를 두고 한 말입니다.
지지는 '갑병무경임'의 5양간과 '을정기신계'의 5음간을 축으로 돌고, 천간은 '자인진오신술'이라는 6양지와 '축해유미사묘'라는 6음지를 축으로 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갑자에는 천간을 기준으로 볼 수도 있고, 지지를 기준으로 볼 수도 있다는 논리가 성립합니다.
다른 60갑자도 마찬가지입니다.
구체적으로 실례를 들면, 갑자를 천간을 기준으로 볼 적에는 甲에서 바라 본 子가 될 것이고, 지지를 기준으로 볼 적에는 子에서 바라 본 甲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다른 것도 마찬가지인데, 이것을 잘 풀이하면 온갖 사물의 이치가 바로 보이게 됩니다.
다음에는 이런 것을 중점적으로 살피기로 하겠습니다.
여러분도 함께 고찰했으면 좋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