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소멸음해부 2

영부, 精山 2007. 8. 27. 08:29
 


일자오결에서의 핵심은 3, 8 중도를 이루는 것인데, 그것은 결국 시전으로 대학을 이룬다는 말이지요.

후천의 대학인 현무경이야말로 시(詩) 중의 시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시라는 것은 모든 언어를 함축적으로 간단하게 하면서도 상징적으로 모든 걸 담아내는 언어의 극치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국토를 분단하고 있는 삼팔선으로 상징되었습니다.

하고 많은 민족과 국가 중에서 하필 우리민족이 아직도 유일한 이데올로기의 희생양으로 남아 있는 것은, 그만큼 우리 한민족의 역할과 책무가 크다는 걸 반증하는 셈이지요.

쉽게 말하면 인류가 만들어 놓은 허구인 자본과 공산의 그릇 된 생각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는 유일한 민족이 우리이기 때문에 그런 짐을 지워주었다고 보면 될 겁니다.

 용담도의 팔괘를 보면 동방에 3, 8목이 있으며 간괘(艮卦)가 정동방에 자리를 잡고 있는 것도 이런 이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간괘는 ‘모든 걸 마치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주역에 이르기를 ‘시어간 종어간 (始於艮終於艮)’이라고 하였으니 시작하는 곳도 간방이요, 끝나는 곳도 간방이라고 한 그곳은 바로 우리 한국을 가리킵니다.

 

 

生數 1, 2, 3, 4, 5의 중도는 3이요, 成數 6, 7, 8, 9, 10의 중도는 8입니다. 3, 8이 중도라는 의미는 많은 생각을 해야 합니다. 5, 10토가 중앙이라고 하는 것은 사상의 중심을 가리키고, 1, 6이 중앙에 들어갈 때에는 사물의 변화를 기준으로 할 경우이며, 3, 8이 중심이 되는 경우는 이 두 가지를 모두 합한 경우입니다. 예를 들면


 1       2       3       4       5

 6       7       8       9      10

 7       9      11      13      15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3, 8은 생수의 중심도 되는 동시에, 유일하게 11귀체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현실에서도 3, 8선이 문제가 된 것입니다. 우리민족의 3, 8선은 단순한 한민족의 문제가 아니라, 이 세상의 모든 이념과 사상이 중도를 이루기 위한 한 맺힌 상징입니다. 현무경 첫 머리에 ‘其瑞在東’이라는 문구가 있는데, 서구에서 발생한 멸망의 가증한 것이 3, 8목 동방의 8艮山에 우뚝 솟아나 있습니다. 성경에 말하기를 ‘그날에 멸망의 가증한 것이 거룩한 곳에 선 것을 보는 자는 빨리 산으로 도망하라’고 한 것은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입니다. 멸망의 가증한 것은 물질적인 사고방식에 물든 인간의 어리석은 생각이며, 그것이 오랜 세월을 두고 열매를 맺은 것이 바로 서구의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입니다. 만들기는 서구인, 정확히 말하면 유대인들이 만들었는데, 왜 우리 한민족이 아직까지도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어야 하는 건가요? 짧은 안목으로 보면 하늘이 원망스럽기도 하겠지만, 우리가 아니면 그릇된 사상과 이념을 해결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하늘은 3, 8선에 심장한 의미를 부여한 채, 통일의 날을 기다리고 있는 겁니다. 우리의 통일은 단순한 우리만의 것이 아니라, 전 인류와 세계가 한 식구가 되는 진정한 통일의 시발입니다.


 후천에는 과거처럼 윤달이 없는 황극력을 사용하게 되는데, 그것은 철저하게 3, 8중도를 이루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실례를 든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황극력으로 매년의 정월 초하루의 일진을 찾을 적에는 반드시 3, 8을 기준으로 한다. 선천 태양력, 태음력에서는 윤달이 있어 정월 초하루의 일진이 들쭉날쭉하였기에 無道세상이 벌어졌습니다. 실례를 찾아가면서 얘기를 하기로 하겠습니다. 서기 2007년 정해년 초하루의 일진은 양력으로는 乙未日이요, 음력으로는 丁亥日입니다. 2,016년까지의 초하루 일진을 모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초하루 날자 및 일진의 변화

                                              2,007년 ~ 2,0016년까지 10년 간

연도

태세

양력 日辰

음력 日辰

황극력 日辰

양력 日字

음력 日字

황극력 日字

2007년

丁亥年

乙未日

癸未日

己亥日

1월 1일

2월 18일

5월 5일

2008년

戊子年

庚子日

丁丑日

乙巳日

1월 1일

2월 7일

5월 5일

2009년

己丑年

丙午日

辛丑日

辛亥日

1월 1일

2월 25일

5월 6일

2010년

庚寅年

辛亥日

乙未日

丁巳日

1월 1일

2월 14일

5월 7일

2011년

辛卯年

丙辰日

己丑日

癸亥日

1월 1일

2월 3일

생략

2012년

壬辰年

辛酉日

癸丑日

己巳日

1월 1일

2월 22일

2013년

癸巳年

丁卯日

丁未日

乙亥日

1월 1일

2월 10일

2014년

甲午年

壬申日

壬寅日

辛巳日

1월 1일

1월 31일

2015년

乙未年

丁丑日

丙寅日

丁亥日

1월 1일

2월 19일

2016년

丙申年

壬午日

辛酉日

癸巳日

1월 1일

2월 9일


 위의 도표에서 보는 것처럼, 선천의 태양력과 태음력은 매년 초하루의 일진이 매번 불규칙적으로 변하지만, 황극력의 地支는 반드시 한 해 걸러 한 번씩 巳亥가 규칙적으로 순환합니다. 巳亥가 기준이 되는 까닭은 후천은 인존문명이 서게 되는데, 巳는 사람의 머리요, 亥는 사람의 복부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天干은 을정기신계(乙丁己辛癸)의 순서로 흘러가는데, 그것은 잘 알다시피 양간(陽干)이 아니라, 후천은 陰干이 주도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변하는 정월 초하루의 일진을 면밀히 살피면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되는데, 천간이 陰年의 해에는 반드시 초하루의 일진의 지지는 亥로 되게 마련이고, 陽年이 태세를 이루는 해의 초하루의 일진은 반드시 巳가 된다는 사실을 유념하기 바랍니다. 그것은 인체의 머리를 가리키는 巳는 陽에 해당하기 때문이며, 인체의 복부를 가리키는 亥는 陰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위의 도표를 보면서 황극력 초하루의 일진이 어떤 규칙으로 변하는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할까요? 먼저 태세가 陰年에 해당하는 경우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太歲가 陰年인 경우의 일진의 변화

연도

초하루 일진

규칙적인 변화

2007 丁亥年

己亥日

천간 丁에서 3번째가 己 : 음년에는 지지가 亥이므로 己亥日.

2009 己丑年

辛亥日

천간 己에서 3번째가 辛 : 음년에는 지지가 亥이므로 辛亥日.

2011 辛卯年

癸亥日

천간 辛에서 3번째가 癸 : 음년에는 지지가 亥이므로 癸亥日.

2013 癸巳年

乙亥日

천간 癸에서 3번재가 乙 : 음년에는 지지가 亥이므로 乙亥日.

2015 乙未年

丁亥日

천간 乙에서 3번째가 丁 : 음년에는 지지가 亥이므로 丁亥日.


 다음으로


                          태세가 陽年인 경우의 일진의 변화


연도

초하루 일진

규칙적인 변화

2008 戊子年

乙巳日

천간 戊에서 8번째가 乙 : 양년에는 지지가 巳이므로 乙巳日.

2010 庚寅年

丁巳日

천간 庚에서 8번째가 丁 : 양년에는 지지가 巳이므로 丁巳日.

2012 壬辰年

己巳日

천간 壬에서 8번째가 己 : 양년에는 지지가 巳이므로 己巳日.

2014 甲午年

辛巳日

천간 甲에서 8번재가 辛 : 양년에는 지지가 巳이므로 辛巳日.

2016 丙申年

癸巳日

천간 丙에서 8번째가 癸 : 양년에는 지지가 巳이므로 癸巳日.


 의 순서로 질서정연하게 변화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후천의 역법에서는 3, 8이 중도를 이루므로 달력이 없어도 얼마든지 매 년의 초하루 일진을 알 수 있으니, 無道에서 有道로의 전환점이 마련되었다고 하겠습니다.

 

 

 

일자오결을 한 후에 바로 나오는 곳이 ‘소멸음해부’입니다.

선천에 삼계를 음해하던 모든 것들을 소멸하는 부라는 의미이겠죠.

그런데 음해라는 글자를 보면 본래 害자의 머리는 갓머리(宀 : 보호할 면)인데, 개벽주는 민갓머리(冖 : 덮을 멱)로 써놓았습니다.

그것은 아마 害하는 모든 것들의 머리를 없애버린다는 암시로 보입니다.

그리고 주의할 것은 소멸음해부라는 글자가 하나는 가로로 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세로로 되어 있다는 점이며, 세로로 기록한 소멸음해부는 정자로 되어 있고, 가로로 기록한 소멸음해부는 반서로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가로와 세로로 기록된 것은 천지는 경위로 짜여졌기 때문에, 선천의 음해하던 것들도 역시 경위로 소멸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이를테면 선천의 낡은 옷을 버리고 새로운 옷을 짜는 직녀(織女)와 같다고 보면 될 겁니다.

세로는 경(經)이요, 가로는 위(緯)인데, 경을 정자로 하고 위를 반서로 한 것은 경은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주는 절대기준이기 때문이며, 위는 그걸 받아서 세상에 펼칠 적에는 반대 입장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기본 자료실의 허무장 도표 참조)

출처 : 천부동(天符洞)
글쓴이 : 정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