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갑이 6기를 만나면 木이 다하여 土가 되므로 木克生土가 됩니다. 다시 말하자면 1갑이 60회전을 한 후에 다시 만나게 되는 것이 己라는 얘기이지요. 그걸 가리켜 목이 다하여 토가 된다고 본 것입니다. 선천의 형상적인 면으로 보면 木克土라고 하겠지만, 후천의 음양조화라는 면에서 보면 목의 생동력이 토의 지루함이나 느슨함을 제거하여 토의 본래 속성을 발현하게 해주기 때문에 목극생토라고 하게 된 것입니다. 즉 토가 살기 위해서는 陽木인 甲을 陰土인 己가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본 겁니다. 첫 머리가 土가 되면, 다음에는 자동적으로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목생화의 순서에 입각해 金水木火의 순서로 흐르게 마련이지요. 그래서 갑기화토 - 을경화금 - 병신화수 - 정임화목 - 무계화화의 순서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후천에서는 ‘갑을병정무’가 아닌 ‘기경신임계’가 기준을 삼게 되므로 ‘己甲化土’ ‘庚乙化金’ ‘辛丙化水’ 壬丁化木‘ ’癸戊化火‘라고 뒤집어진 표현을 하게 됩니다. 이걸 숫자로 나타내면 용담도의 숫자가 됩니다.”
7乙 2庚 9丁
8丙 1己6甲 4壬
3辛 10戊 5癸 |
7 2
8 9 3 1, 6 4
10 5 |
“여기서 보는 것처럼 과거에는 3,8 목은 동방에, 2, 7화는 남방에 4, 9금은 서방에, 1, 6수는 북방에 5, 10토는 중앙에 있는 걸로만 안다면 그야말로 우물 안 개구리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오행의 바탕을 가리킨 것이지, 선후천의 변화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여러분이 가끔씩 왜 용담도가 두 개나 되어서 헷갈리게 하는 거냐고 하는 겁니다. 한 장의 용담도는 癸甲이 북방에, 乙丙이 동방에, 丁戊가 남방에, 己庚이 중앙에, 辛壬이 서방에 있는데 비해, 다른 한 장의 용담도는 위에서 보는 것처럼, 동방에 3辛8丙, 남방에 7乙2庚, 서방에 9丁4壬, 북방에 10戊5己, 중앙에 1, 6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동방에 숫자로는 3,8목이요, 화오행으로는 辛丙化水가, 남방에는 숫자로 2,7화요, 화오행으로는 庚乙化金이, 서방에는 숫자로 4, 9금이요, 화오행으로는 壬丁化木이, 북방에는 숫자로 5, 10토요, 화오행으로는 癸戊化火가, 중앙에는 숫자로 1, 6수요, 화오행으로는 己甲化土가 들어 있다는 사실을 결코 잊으면 안 됩니다. 여기에 덧붙여 낙서의 변화도 함께 각인해야 하는데, 낙서는 ‘기동북이고수(氣東北而固守)하고 이서남이교통(理西南而交通)‘의 원리라고 보면 됩니다. 기로 보면 동북방에서 자리를 고수하고, 이로 보면 서남방에서 교통한다는 풀이가 되는데, 동북방에서 3,8목이 자리를 고수하고, 서남방에서는 2,7화와 4,9금이 서로 자리를 맞바꾸어 2·9착종이 된 상태를 가리킵니다.”
정도는 노트에 다음과 같은 정리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