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대학을 시전이라 하고, 소학을 서전이라 한 것은 글자의 크기로 구분한 겁니다.
큰 글자는 대학인데, 마치 시처럼 함축적으로 뜻을 담고 있기에 시전이라 한 겁니다.
작은 글자는 소학인데, 시전과 상대적인 서전이라 하였군요.
서종과에는 대학이 12자요, 소학이 5자로 되어 있는데, 12는 ‘익자삼우(손괘, 리괘, 태괘)‘와 ‘손자삼우(진괘, 감괘, 간괘)’와 ‘기서재동(동서남북 4방 중에서 동방에 후천의 상서가 시작한다는 뜻)‘을 합한 숫자입니다.
이는 곧 8괘가 사방에 벌어진 상태를 가리킵니다.
또한 ’言聽神計用‘이라는 다섯 자의 소학은 ’익자삼우‘와 합하여 9궁을 이루어 ’地 + 人 ‘의 상태를 가리키고, ’손자삼우’와 합하여 9궁을 이루어 ‘天 + 人’의 상태를 나타내기도 하며, ‘기서재동’과 합하여 9궁을 이루어 ‘天 + 地’의 상태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것을 가리켜 ‘天更生, 地更生, 人更生’이라고 합니다.
이 모든 갱생의 바탕에는 ’언청신계용‘이 바탕을 이룬다는 걸 명심해야 합니다.
인간의 중심에서 신이 밝아지지 않으면 모든 것은 砂上樓閣(사상누각)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처럼 서종과에서는 8괘와 9궁이 맞물려 사람의 이목구비를 열어 자성을 밝히게 된다는 걸 암시하고 있으니 어찌 팔괘와 구궁에 관한 공부를 게을리 할 수 있겠습니까?
요즘 단학이니, 단전호흡이니 하는 것이 요가와 더불어 인기를 끌고 있는데, 서종과의 구조와 연결시켜서 이야기를 하면 그 실상이 저절로 보이게 마련입니다.”
운곡선생은 칠판에 커다랗게 그림을 하나 그렸다.
損 益
者 者 머
三 三 리
友 友
其
瑞
在 배
東
計 神 言 단 사
用 聽 전 지
선천의 단전은 천지의 기운을 끌어들여 축기(畜氣)를 한다고 하였지만, 후천의 단전은 신이 직접 강림합니다.
이것이 시천주입니다.
천지의 기는 주인공이 아닙니다.
기는 어디까지나 주인공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선천에는 가을이 오지 않았기에 열매가 없어서 할 수 없이 기를 가지고 운운했으나, 후천 가을 문명은 이와 기를 동시에 갖춘 신이 직접 단전에 자리를 잡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은 팔괘와 구궁을 통해서 구체적인 형체를 나타낸다는 게 바로 현무경 서종과의 선언입니다.“
운곡선생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는 힘이 넘쳤다. 정도는 자신도 모르게 가슴이 뜨거워지는 것을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