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가 4획인 것으로는 心, 戈, 戶, 手, 支, 攵, 文, 斗, 斤, 方, 无, 日, 曰, 月, 木, 欠, 止, 歹, 殳, 毋, 比, 毛, 氏, 气, 水, 火, 爪, 父, 爻, 爿, 片, 牙, 牛, 犬, 尣, 王, 礻, 㓁, 罓, 耂, 肉, 艹, 辶
1. 心 마음 심
心은 이미 3획의 忄에서 언급을 하였으므로 그 곳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2. 戈 창 과
戈는 弋(주살 익)과 혼동하기 쉬운 글자다.
둘 다 같이 무력을 가리키는 건 맞지만 戈는 창을 사용하고, 弋은 활을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창을 사용하여 적이나 그릇 된 것을 무찔러 없앤다는 의미가 들어 있으니, 개혁을 의미한다.
一을 파내고(乀 파일 불), 다시 크게 움직여(丿) 무언가 있게 하는(丶) 상태를 가리키므로 극심한 변혁이나 개혁을 상징한다.
戈를 부수로 하는 한자어는 그리 많은 편은 아니나,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것만은 분명하다.
我(아), 成(성), 戒(계), 戚(척), 戡(감), 戴(대) 등이 있다.
我는 手(손 수)와 戈가 합한 글자다.
手는 천지인 3재를 하나의 갈고리로 꿰뚫어 놓은 상태다.
手를 가리켜 扌라고도 하는데, ‘재주‘를 가리킨다.
즉 손에서 모든 재주가 다 이루어진다는 의미다.
손에 창을 들고 있는 것이 我의 형국인데, 손은 본래 巽卦(손괘)를 가리킨다.
즉 동남방 손괘가 있는 곳에서 선, 후천과 음, 양이 하나 되는 개벽을 이루는 주체를 가리킨다.
그 주체는 당연히 자기 자신이다.
그러므로 我는 ‘나 아’라고 한다.
‘我軍(아군)과 敵軍(적군)’이라고 할 적에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