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괘는 하늘을 가리킨다고 한다.
건괘는 세 개의 효가 모두 양으로만 이루어졌는데, 그것은 일체의 음기나 어둠이 없다는 의미다.
그것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면 땅(곤괘)을 바탕으로 한다는 걸 알게 된다.
여기에는 세 가지의 면이 있다.
1. 上 : 곤
7 → 간
1 → 감
2 → 손
3 → 진
4 → 리
5 → 태
6 → 건
7
2. 下 : 곤
7 → 진
1 → 감
2 → 태
3 → 간
4 → 리
5 → 손
6 → 건
7
이것은 하늘을 바탕으로 하여 곤괘가 형성되는 과정도 동일하다.
1. 上 : 건
7 → 태
1 → 리
2 → 진
3 → 손
4 → 감
5 → 간
6 → 곤
7
2. 下 : 건
7 → 손
1 → 리
2 → 간
3 → 태
4 → 감
5 → 진
6 → 곤
7
건곤의 변화나 순환을 이처럼 수치(數値)로 나타내는 이유는 그것처럼 정확하게 셈하는 방편이 없기 때문이다.
상중하 3단계의 변화를 살피는 건 매우 중대한 의미가 있다.
사실은 여기에 주역의 모든 것이 다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눈치 빠른 분들이라면 이쯤해서 알았을 터인데, 복희 8괘의 배치는 철저하게 上의 입장에서 본 것이다. 복희 8괘의 배치는 ‘천 - 택 - 화 - 뢰 - 풍 - 수 - 산 -지 (
7 →
1 →
2 →
3 →
4 →
5 →
6 →
7)’인데, 그것은 위에서 본 것이다.
만약 밑을 기준으로 하였다면 ‘천 - 풍 - 화 - 산 - 택 - 수 - 뢰 - 지 (
7 →
1 →
2 →
3 →
4 →
5 →
6 →
7)’로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