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글 창제의 바탕 이론은 천문학 - 하도, 낙서 1

영부, 精山 2009. 9. 23. 16:22

 <한글 창제의 바탕 이론은 천문학>                 <사>한배달 강의실 4342(2009) 5. 26. 18:00




              한글 창제의 바탕 이론은 천문학


                                                  




. 문제 제기 ...................................................................... 1

 ㄱ. 한글 중성의 나열 순서 .................................................. 2

 ㅋ. 한글 초성의 나열 순서 .................................................. 2

 ㄴ. 해례본의 가운데 소리 나열 순서가 지금과 다른 이유.... 3

     가운데 소리는 천문도인 하도에서 기원함

 ㄷ. 해례본의 첫소리 나열 순서가 지금과 다른 이유 ........... 6

     첫소리는 천문도인 낙서에서 기원함

 ㅌ. 한글이 모두 28자로 만들어진 이유 ............................... 8

 ㄹ. ㅋㅌ과  에 획을 더한 모양이 서로 다른 이유.... 9

 ㅁ. 맺는 말 ........................................................................ 10




 훈민정 연구소장 씨아 반재원

 

<한글 창제의 바탕 이론은 천문학>                           <사>한배달 강의실 4342(2009) 5. 26. 18:00 


        한글 창제의 바탕 이론은 천문학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장)


  한글 창제 원리는 학자들 간에 이미 다 밝혀진 것으로 인식되어 있어서 창제원리에 대한 연구는 일단 관심거리에서 벗어나 있는 것이 오늘날 학계의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한글 창제원리와 천문학과의 관계>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는 학자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오늘의 발표는 한글과 천문학의 관계를 각론적인 측면에서 깊이 파헤쳤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ᅌ. 문제 제기


   ᅌ) 해례본의 가운데 소리의 나열 순서에 대한 어떠한 논문에도 해례본의 순서에 대한          언급이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    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ㄱ) 해례본의 첫소리 나열 순서가 전청-차청-불청불탁으로 나열하였기 때문에 ㄱ               ㅋ ᅌ,   ㄷ ㅌ  ㄴ,   ㅂ ㅍ ㅁ,   ㅈ  ㅅ,   ᅙ  ㅇ,  ㄹ,  의 순서가 되었          다고 정의하고 있는 학자들 중 어느 누구도 왜 전청-차청-불청불탁으로 했는가            에 대한 언급이 없다. 또 첫소리의 나열 순서를 불청불탁-전청-차청(ᅌ ㄱ ㅋ ~)          의 순서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지만 해례본의 전청-차청-불청불탁          으로 나열된 이유에 대해서는 역시 어떠한 언급도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 

ㄱ  ㅋ  ᅌ,   ㄷ ㅌ ㄴ,   ㅂ ㅍ ㅁ,   ㅈ  ㅅ,   ᅙ  ㅇ,  ㄹ, .

전청  차청  불청불탁(이하 같음)


   ㅋ) 한글이 28자로 창제된 이론적인 배경은 무엇인가?

   ㄴ) ㅋ ㅌ과   에 획을 더한 모양이 서로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ㄷ) 앞에서 제기한 바와 같이 우선 해례본 서문에 있는 초성과 중성의 나열 순서 이유          부터 다룰 필요가 있으므로 그 문제에 대한  발표자의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          론부터 말하자면 그 이유는 동양 천문학이 한글 창제의 이론적 배경이 되었기 때문          이다.                                              

  ㅌ) 정부에서는 없어진 4글자를 비롯한 옛 글자를 살려 쓴 <외국어 표준 표기법 제정>을        추진할 의사가 있는가?

                                                             -1-

ㄱ. 한글 중성의 나열 순서


   ) 현행의 중성 순서가 정해진 이유

       최세진의 훈몽자회에 근거하고 있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ㄱ) 훈민정음 해례본의 중성 순서

       •    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ㅋ) 현행의 중성 나열 순서가 잘 되었는가

       분명히 잘 못되어 있다. 이것 역시 해례본의 순서를 따르는 것이 맞다.

       그러나 그러려면 해례본에 나열된 이유부터 먼저 규명하는 것이 순서이다. 나열 순         서의 오류를 다루는 문제는 그 다음의 일이다.

 

   ㄴ) 바른 순서

      훈민정음 해례본의 나열 순서가 바른 순서이다. 이대로 사용함이 옳을 것이다. 

       •    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ㅋ. 한글 초성의 나열 순서

 

  ᅌ) 현행의 초성 순서가 정해진 이유

      최세진의 훈몽자회에 근거하고 있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

  ㄱ) 훈민정음 해례본의 초성순서

     ㄱ ㅋ ᅌ,  ㄷ ㅌ ㄴ,  ㅂ ㅍ ㅁ,  ㅈ  ㅅ,  ᅙ  ㅇ,   ㄹ,    .

       아.    설.     순.     치.     후. - 설. - 치.

  

  ) 현행의 초성 나열 순서가 잘 되었는가

      분명히 잘 못되어있다. 이것은 훈몽자회에서 첫소리를 종성에 쓰는 것과 구분하여 쓸        때에는 괜찮았고, (해례본에ㄱ  ㄷ ㄴ ㅂ ㅁ ㅅ ㄹ 8자 可足用也라 하였지만 의       갗狐皮, 舌, 漂, 頭 등 8자 이외에도 쓰였음.) 지금은 초성을 종성에 구분하        지 않고 쓰기 때문에 해례본의 순서대로 고쳐야 한다는 그런 문제가 아니라 해례본의        순서가 왜 지금과 다르게 나열되어 있는지를 먼저 밝히는 것이 연구의 순서이다. 그        것이 선행되지 않은 토론은 장님 코끼리 더듬는 식의 주장에 불과 할 뿐이다.

  

   


                                                                         -2- 

  ㄴ). 바른 순서

       훈민정음 해례본의 나열 순서가 바른 순서이다.                        

      ㄱ ㅋ ᅌ,  ㄷ ㅌ ㄴ,  ㅂ ㅍ ㅁ,  ㅈ  ㅅ,  ᅙ  ㅇ,   ㄹ,  ▵.

       그러나 현실에 쓰기에는 여린 순서대로 사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라고 본다.

      ᅌ ㄱ ㅋ ,  ㄴ ㄷ ㅌ ㄹ ,  ㅁ ㅂ ㅍ , ㅅ ㅈ  ,  ㅇ ᅙ 


ㄴ. 해례본의 가운데 소리 나열 순서가 지금과 다른 이유


    가운데 소리는 천문도인 하도에서 기원함


  ‘ㅗ가 처음으로 하늘에서 나니 천일생수天一生水(임壬. 북)의 자리이며,

  ㅏ가 다음이 되니 천삼생목天三生木(갑甲. 동)의 자리이다.

  ㅜ가 처음으로 땅에서 나니 지이생화地二生火(정丁. 남)의 자리이며,

  ㅓ가 다음이 되니 지사생금地四生金(신辛. 서)의 자리이다.

  ㅛ는 두 번째로 하늘에서 나니 천칠성화天七成火(병丙. 남)의 수數이며,

  ㅑ가 다음이 되니 천구성금天九成金(경庚. 서)의 수이다.

  ㅠ가 두 번째로 땅에서 나니 지륙성수地六成水(계癸. 북)의 수이며,

  ㅕ가 다음이 되니 지팔성목地八成木(을乙. 동)의 수이다.

   • 는 천오생토天五生土(무戊. 중앙)의 자리이며,

  ㅡ는 지십성토地十成土(기己. 중앙)의 수이다.

  

  ㅣ만이 자리와 수가 없는 것은 대개 사람은 무극의 진리와 음양오행의 정기가 묘하게 합      하여 엉긴 존재이니 진실로 일정한 자리와 온전한 수를 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로써      가운뎃소리 역시 스스로 음양과 오행, 방위, 수를 지니고 있다.’1)라고 하여 가운데 소리      의 제자 원리가 바로 오행성의 운행을 나타낸 하도라는 천문도에서 기원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       다. <하도>와 <중성도> 참조.

        <하도>                       <중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