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상은 본래 2진법으로 돼있습니다.
그래서 맨 위의 상효를 1이라 하면, 다음은 2가 되고, 마지막은 4가 됩니다.
이 셋을 합하면 7이지요.
이처럼 7이 되는 이유는 8의 내용이 7이라는 얘기입니다.
8은 짝수이므로 그릇이 되는데, 천지인 삼계를 담는 그릇이고, 그 속에 담기는 내용물은 홀수 7입니다 홀수는 본래 동적인 것인데 비유하자면 8등신이라는 육신 속에서 움직이는 7정(희노애락애오욕)을 가리킨다고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겁니다.”
운곡선생은 다시 칠판에 괘상과 수를 함께 집어넣기 시작했다.
건 |
태 |
이 |
진 |
손 |
감 |
간 |
곤 |
비고 |
ㅡ 1 ㅡ 2 ㅡ 4 7 |
-- ㅡ 2 ㅡ 4 6 |
ㅡ 1 -- ㅡ 4 5 |
-- -- ㅡ 4 4 |
ㅡ 1 ㅡ 2 -- 3 |
-- ㅡ 2 -- 2 |
ㅡ 1 -- -- 1 |
-- -- -- 0 |
음은 양과 반대임. |
“이 도표는 양이 최대한 충만한 7에서 점점 사그라들어 마침내 곤에 이르러 0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즉 복희도의 건태이진손감간곤은 양기의 비중대로 그린 것임을 알게 됩니다. 그럼 다음의 도표는 어떤가요?”
건 |
손 |
이 |
간 |
태 |
감 |
뢰 |
곤 |
비고 |
ㅡ 4 ㅡ 2 ㅡ 1 7 |
ㅡ 4 ㅡ 2 -- 6 |
ㅡ 4 -- ㅡ 1 5 |
ㅡ 4 -- -- 4 |
-- ㅡ 2 ㅡ 1 3 |
-- ㅡ 2 -- 2 |
-- -- ㅡ 1 1 |
-- -- -- 0 |
음은 양과 반대임. |
‘수치는 동일하지만 괘의 순서는 다르게 배열됐죠?
왜 이렇게 달라졌을까요?
잘 살펴보면 위의 도표는 위에서부터 1, 2, 4로 계산을 한 반면, 밑의 도표는 4, 2, 1로 계산을 하였습니다.
즉 위 도표는 위에서 밑으로, 아래 것은 밑에서 위로 계산을 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가리켜 ’체와 용의 관점‘이라고 합니다.
괘를 볼 적에는 반드시 체와 용이라는 양면으로 보아야 합니다.
體는 靜이요, 用은 動입니다.
손괘를 예로 든다면 ☴ 위에서 밑으로 보면 양이 1과 2의 합 3이지요?
그러나 반대로 보면 4, 2의 합 6이 됩니다.
이건 양을 기준으로 본 것이고, 음을 기준으로 본다면 양과 정반대의 입장이 됩니다.
음을 위에서 밑으로 보면 4가 되고, 밑에서 위로 본다면 1이 됩니다.
이때에 양에도 체용이 있고, 음에도 체용이 있다는 걸 유념하면서 보아야 합니다.
8괘를 이런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陽의 體 + 陰의 用 |
陰의 體 + 陽의 用 |
양이 많으면 음이 적고, 음이 많으면 양이 적다. 즉 음양은 체와 용이 서로 7을 채워준다. | |
건괘 |
7 + 0 = 7 |
0 + 7 = 7 | |
태괘 |
6 + 1 = 7 |
1 + 6 = 7 | |
이괘 |
5 + 2 = 7 |
2 + 5 = 7 | |
진괘 |
4 + 3 = 7 |
3 + 4 = 7 | |
손괘 |
3 + 4 = 7 |
4 + 3 = 7 | |
감괘 |
2 + 5 = 7 |
5 + 2 = 7 | |
간괘 |
1 + 6 = 7 |
6 + 1 = 7 | |
곤괘 |
0 + 7 = 7 |
7 + 0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