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인곽

영부, 精山 2010. 1. 6. 07:42

56절

<구류간에 바람을 통하는 작은 구멍이 있고 그 구멍에 종가리 한 개를 두어 오줌을 받아내는데 마침 그 종가리에 오줌과 오줌 찌꺼기가 반쯤 괴어 있는지라 개벽주 종가리를 손에 들으시고 공신을 인곽으로부터 일으켜 세우신 뒤에 개벽주 먼저 종가리에 있는 오줌 찌꺼기를 친히 마시시되 얼굴 빛이 변하지 아니하시고 나머지를 공신에게 마시라 명하시니 공신이 생각하되 선생은 나를 살리기 위하여 더러움을 생각지 않고 마시시니 조금도 얼굴 빛을 변치 아니하시거늘 내가 어찌 마시지 못 하리오 하고 받아 마시니 오장이 거꾸로 올라오는 듯 하나 억지로 참거늘 가라사대 참지 말고 올라오는 대로 다 토하라 공신이 비로소 깨닫고 토하였더니 이 뒤로 땀이 많이 나서 열이 개고 결리는 곳이 나으니라>

 

 

해설

 

정월 초하루의 일진은 정해일이다. 정해는 남방에서 심령신대가 이루어지는 상징이다. 공신이 죽으면 천지공사 자체가 수포로 돌아가는 것이므로 우리가 다 죽는다고 하였다. 인곽은 용담도를 상징하는 것이므로 18人으로 인곽을 짰다. 아래에는 1인, 위에는 2인을 배치한 것은 1水, 2火를 상징한 것이며, 좌우의 7인은 수화가 변화하는 과정이 7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水()에서 火()이 이르기까지 7단계가 된다.

                                             水

                             화뢰 서합                                        산화 비

                        수산 건                                            뇌수 해

                        화수 미제                                         수화 기제

                        풍화 가인                                         화택 규

                        택수 곤                                           수풍 정

                                                        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