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자 2

영부, 精山 2010. 6. 15. 14:39

 

* 일러두기

 

이 책은 한자급수 시험생은 물론 한자공부를 하려는 모든 이들을 위해 만들었다. 이 책을 엮는데 있어 몇 가지 중점을 두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① 6서에 대한 구분을 명쾌하게 하였다.

② 부수에 대한 설명과 용례를 충분하게 수록하였다.

③ 획수를 밝혔다.

④ 字源과 字意에 대해 쉽고도 재미있게 기술하였다.

6서는 한자를 분류하는 방편으로 나왔는데, 상형(象形 : 사물의 모양을 본더 만든 글자), 지사(指事 : 생각이나 뜻을 부호나 도형으로 나타낸 글자), 회의(會意 : 두 개 이상 글자의 뜻을 합해 만든 글자), 형성(形聲 : 두 개 이상 글자의 음과 뜻을 합해 만든 글자), 전주(轉注 : 새로운 뜻으로 파생, 전용되어 쓰이는 글자), 가차(假借 : 뜻은 전혀 상관없이 음만 빌려 쓰는 글자)가 그것이다.

 

 

 

8급 ---------------------------------- 2

7급 ---------------------------------- 19

6급 ---------------------------------- 44

 

 

 

 

 

 

 

 

 

 

 

 

8급 (77자)

 

 

一, 二, 三, 四, 五, 六, 七, 八, 九, 十, 日, 月, 火, 水, 木, 金, 土, 上, 中, 下, 山, 父, 母, 王, 子, 女, 白, 人, 口, 小, 學, 校, 工, 夫, 先, 生, 注, 意, 見, 文, 章, 內, 用, 動, 物, 事, 親, 舊, 秋, 鳥, 牛, 毛, 天, 門, 死, 海, 方, 言, 美, 石, 年, 計, 國, 軍, 南, 東, 萬, 民, 北, 室, 外, 長, 弟, 靑, 寸, 韓, 兄

 

 

 

 

一: 한 일, 하나 일, 클 일, 가를 일 (指事) 1획

 

하나, 한 번, 오직, 모두, 가르다 등의 의미가 있다. 무언가 한 번, 혹은 큰 것을 손가락으로 가리킨다고 하여 지사문자라고 한다. 무언가 하늘에서 생기는 것을 一이라고 한다. 그것을 가리켜 태극이라고 부른다.

 

(보기) 一國(일국 :한 나라), 一日(일일 : 하루), 一家(일가 : 한 집안)

 

二 : 두 이, 거듭 이 (指事), 2획

 

역시 무언가를 두 번 가리키거나, 두 번 가른 모습을 가리킨다. 거듭한다는 의미도 있다. 땅에서 구체적인 형상으로 나타나는 걸 二라고 하는데, 음양이라고 부른다.

 

(보기) 二人(이인 : 두 사람), 二世(이세 : 자녀), 二心(이심 : 두 마음), 二言(이언 : 두 말, 거짓말) 二十(이십 : 스물)

 

三 : 석 삼 (指事) 3획

 

하늘의 무형과 땅의 유형을 합한 것이 사람이다. 그러므로 三은 人에 속한다. 천지만물이 비록 복잡다단하다고 하지만, 세 번에 걸쳐 갈라지는데 이를 가리켜 三才라고 한다. 三은 본래 하늘에 해당하는 一이 땅인 二와 합하여 나온 자녀를 가리키므로 그 근본인 一을 부수로 한다.

 

(보기) 三光(삼광 : 해, 달, 별), 三敎(삼교 : 유교, 불교, 도교), 三權(삼권 : 입법권, 사법권, 행정권) 三年

 

四 : 넉 사 (指事) 4획

 

천지의 큰 그릇을 가리키는 ‘口‘와 좌우로 나눈다는 뜻을 지닌 ‘八’을 합한 글자. 천지의 사물을 담고 있는 그릇이므로 口를 부수로 함. 갈라지는 것은 三에 이르러 마치고, 그 다음에는 갈라진 걸 주워 담는 그릇이 있어야 하는데, 四가 바로 그것이다. 이를 가리켜 四象이라고 한다.

 

(보기) 四季(사계 : 봄, 여름, 가을, 겨울), 四君子(사군자 :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四方(사방 : 동, 서, 남, 북)

 

五 : 다섯 오 (指事) 4획

 

음양을 가리키는 二가 곱해지는 상태를 가리킨 ×와 합하여 다섯을 가리키는 글자가 됐다. 음양이 합하면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여 셋이 되는데 2 + 3 = 5다. 이처럼 음양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二를 부수로 한다. 4가 사상을 가리킨다면 5는 천지 사방과 중심에 들어 있는 다섯 가지의 기본요소를 가리키는데, 이를 五行이라고 한다.

 

(보기) 五官(오관 : 눈, 귀, 코, 혀, 피부의 감각기관), 五里(오리 : 2키로미터), 五色(오색 : 다섯 가지의 색), 五月(오월)

 

六 : 여섯 육 (會意) 4획

 

亠와 八을 합한 글자다. 亠는 ‘들 입(入)‘자와 동일하다. 짝수에서 가장 큰 수는 八인데, 8에서 한 걸음이 안으로 들어간 수가 6이다. 짝수는 형상으로 갈라진 상태를 가리키는데, 형상이 끝까지 갈라지면 8방, 혹은 8괘라고 한다. 이처럼 六은 형상이 모습을 갖추고 갈라진 것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八을 부수로 한다. 6은 상, 하, 전, 후, 좌, 우의 六合을 가리키는데, 거기에는 六氣가 있다. 6기는 風氣, 寒氣, 暑氣, 濕氣, 燥氣, 火氣를 가리킨다.

 

(보기) 六甲(육갑 : 60갑자), 六龍(육룡 : 임금의 수레를 끄는 여섯 마리의 용), 六十(육십 : 60)

 

七 : 일곱 칠 (指事) 2획

 

본래 7은 ‘十‘으로 쓰고, 10은 ‘丨‘로 썼는데, ‘十‘과 ‘丨‘이 혼동을 가져온다고 하여 가운데 획을 구부려 ’七‘로 했다. 7은 입체물의 중심 一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一을 부수로 한다. 7은 하늘의 七星이나 땅의 七曜(일주일)를 가리킨다.

 

(보기) 七步(칠보 : 일곱 걸음), 七夕(칠석 : 음력 7월 7일 밤), 七顚八起(칠전팔기 : 일곱 번 넘어져도 다시 일어남)

 

八 : 여덟 팔 (指事) 2획

 

八은 사물이 둘로 나뉘어져 갈라진 모양을 나타낸다. 물질이 나누어지면 8조각이 가장 큰 것이므로 八은 ‘나눌 팔’, 여덟 팔‘로 쓴다. 八 자체가 부수다. 8은 건, 태, 이, 진, 손, 감, 간, 곤의 8괘를 가리킨다.

 

(보기) 八等身(팔등신 : 미인의 표준), 八方(팔방), 八字(팔자 : 사람이 탄생한 연월일시의 간지),

 

九 : 아홉 구 (象形) 2획

 

음기가 강하게 남아 있는 초봄에 초목이 힘차게 곱게 돋아나지 못하고 구부려져 있는 모양을 본 뜬 글자. 乙은 본래 ‘제비 을( )‘과 모양이 흡사하여 통용하게 되었다. 또는 甲은 양을 상징하고, 乙은 음을 상징하는데, 음의 마지막 수인 八에서 한 번 더 삐진 것(丿)이 九다. 즉 乙이 丿한 상태를 가리킨다. 이처럼 乙의 형상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부수는 乙이다. 9는 천, 지, 인이 각기 3변하여 9변하는 상태를 가리키는데, 九宮을 만들어낸다.

 

(보기) 九年(구년 : 아홉 해), 九百(구백 : 900), 九死一生(구사일생 : 여러 차례 죽을 고비에서 겨우 살아 남)

 

十 : 열 십, 완전 십 (指事) 2획

 

동서, 가로, 씨줄을 가리키는 一과 남북, 세로, 날줄을 가리키는 丨이 합해서 이루어진 글자다. 따라서 동서남북과 중앙의 모든 공간과 시간이 열린 상태이기 때문에 ‘열 십‘이라고 한다. 十 자체가 부수다. 十은 無極이라도 하는데, 우주의 무형적인 본체를 가리킨다.

 

(보기) 十五(십오 : 15), 十人(십인 : 열 사람), 十家(십가 : 열 집), 十干(십간 : 10개의 천간 :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日 : 날 일, 태양 일 (象形) 4획

 

태양의 형상을 본 뜬 글자다. 태양 속의 흑점을 가리킨다고 하는데, 口라는 사방의 공간과 시간 속에 태극을 가리키는 一을 품고 있는 모습으로도 본다. 즉 공간과 시간의 원소를 품고 있기에 모든 사물의 광명인 태양이다. 日 자체가 부수다.

 

(보기) 日月(일월 : 해와 달), 日出(일출 : 태양이 솟음), 日刊(일간 : 날마다 발행함), 日記(일기 : 매일의 일을 기록함)

 

月 : 달 월 (象形) 4획

 

달이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모양을 본 뜬 글자이므로 상형문자라고 한다. 또는 밑이 터진 冂(멀 경, 클 경) 속에 음양을 가리키는 二가 들어간 상태를 가리킨다고도 보는데, 태양은 변하지 않는 태극(一)을 간직하고 있는데 비해, 月은 음양(二)을 품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썼다. 月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月刊(월간 : 한 달에 한 번 발행함), 月給(월급 : 일의 댓가로 한 달에 한 번 받는 급료), 月光(월광 : 달 빛)

 

火 : 불 화 (象形) 4획

 

불길이 위로 솟구치면서 타오르는 모습을 븐 뜬 글자다. 물체가 탈 때 나는 빛과 열을 가리킨다. 火도 역시 스스로 부수가 된다. 火가 밑에 부수로 사용 될 적에느 그 모습이 灬로 변한다. 烈, 煎 등이 그것이다.

 

(보기) 火口(화구 : 아궁이), 火光(화광 : 불 빛), 火急(화급 : 매우 급함), 火力(화력 : 불기운), 火木(화목 : 땔나무)

 

水 : 물 수 (象形) 4획

 

물이 끊임없이 흘러내리는 모양을 본 뜬 글자다. 火와 차이가 있다면 水에는 중심에 수직으로 그은 기준선 丨이 있는데 비해, 火에는 그런 게 없다. 그것은 물은 강력한 구심점이 있어 한 군데로 모이지만, 불은 반대로 사방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이다. 水가 왼 쪽 번에 쓰일 때에는 氵(삼수)가 되고, 밑에 쓰일 때에는 氺가 된다. 氵가 붙는 것으로는 液, 浩, 湖가 있으며, 氺가 붙는 것으로는 泰가 있다. 水도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水路(수로 : 물 길), 水力(수력 : 물의 힘), 水上(수상 : 물 위), 水夫(수부 : 뱃사공), 水平(수평 : 평평한 상태)

 

木 : 나무 목 (象形) 4획

 

줄기, 뿌리, 가지 등을 갖추고 서 있는 나무의 형상을 본떴다. 혹은 十과 八의 합성어로도 볼 수 있는데, 十은 無極이요, 八은 음양이 벌어진 모습이다. 十은 음(-), 양(-)의 합이며, 1, 2, 3 ,4의 합, 즉 동서남북의 합이다. 그것이 8방으로 그 모습을 펼쳐내기 위해서는 강력한 생명력이 있어야 하는데, 그걸 상형한 것이 바로 木이다. 木도 역시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木石(목석 : 나무와 돌), 木刻(목각 : 나무에 새김), 木器(목기 : 나무로 만든 그릇), 木星(목성 : 태양에서 다섯 번째로 가까운 행성)

 

金 : 쇠 금 (形聲) 8획

 

今(이제 금)과 ソ, 土가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今에서 음을 따 왔기에 형성문자라고 한다. 흙에서 기운이 솟아나 이제 단단하게 되는 상태라고 하여 금속이나 광물을 가리키는 ‘쇠금‘이라고 하였다. 혹은 쇠처럼 단단하게 입을 다물었다고 하여 ’입 다물 금‘이라고도 하는데 금구폐설(金口閉舌)이 대표적이다. 金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金石(금석 : 쇠붙이와 돌), 金剛山(금강산 : 산 이름), 金利(금리 : 돈의 이자), 金言(금언 : 황금 같이 귀한 말씀, 즉 깊은 교훈) 金銀(금은 : 금과 은)

 

土 : 흙 토 (象形) 3획

 

흙더미가 쌓인 모습을 본떴다. 혹은 十무극과 一태극이 합친 모습이라고도 볼 수 있다. 하늘에서 무형인 十무극이 땅으로 내려 와 一태극으로 화하게 하는 것은 마치 흙이 무형의 생명을 형상으로 발아시키는 것과 같으므로 土라고 하였다. 土도 역시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土地(토지 : 농사짓는 땅), 土臺(토대 : 흙으로 쌓은 대, 바탕), 土砂(토사 : 흙과 모래)

 

上 : 윗 상, 높을 상 (指事) 3획

 

가로 획(-)은 일정한 위치를 가리키고, 세로 획(l)은 그 위치보다 높은 장소를 합하는데, 이 두 가지가 합하면 높은 곳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지사문자다. 가로 획 一을 바탕으로 하므로 一을 부수로 한다.

 

(보기) 上下(상하 : 위와 아래), 上天(상천 : 윗 하늘), 上官(상관 : 계급이 높은 관리), 上古時代(상고시대 : 아주 오랜 옛날)

 

中 : 가운데 중 (象形) 4획

 

고대에 큰 일이 생기면 깃발을 높은 곳에 세워 사람들을 모이게 하였다. □는 사방의 땅을 가리키고, 거기에 깃발(丨)을 세운 걸 본 떴다. 혹은 하늘에서 물질(땅)의 불변하는 기준을 세운 걸 가리켜 모든 것의 ‘중심’이라는 개념을 부여했다. 이처럼丨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부수도 丨(세울 곤, 뚫을 곤)으로 하였다.

 

(보기) 中心(중심), 中學校(중학교), 中間(중간), 中央(중앙), 中年(중년 : 젊은이와 늙은이의 중간), 中性(중성 : 이것도 저것도 아닌 경우)

 

山 : 뫼 산 (象形) 3획

 

밑에 있는 땅(一) 위에 봉우리가 세 개 솟은 상태를 본 뜬 글자이므로 ‘뫼 산’이라고 한다. 혹은 凵(벌릴 감)에 하늘로부터 丨이 내려온 형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늘의 정기를 굳세게 받치고 있는 게 산이다. 山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山水(산수 : 산과 물), 山脈(산맥), 山上(산 위), 山頂(산정 : 산꼭대기)

 

父 : 아비 부 (會意) 4획

 

又와 丨이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又는 손을 가리키고, 丨은 채찍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손에 채찍을 들고 가정을 거느리는 존재라고 하여 ‘아비 부’라고 한다. 혹은 八과 乂(다스릴 예, 벨 예)가 합한 글자라고도 할 수 있으니, 8방에 있는 사물을 다스리는 존재가 아버지라는 의미를 지닌다. 父도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父母(아버지와 어머니), 父子(아버지와 아들), 父女(아버지와 딸), 父情(아버지의 사랑)

 

母 : 어미 모 (象形) 5획

 

女가 두 개의 점으로 상징되는 음양(혹은 자녀)을 품고 있는 걸 본 든 글자다. 毋는 女와 一을 합한 글자다. 이때의 一은 외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패 막을 가리킨다. 여성은 남성들이 함부로 침범하지 못하게 막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나온 회의문자로서 ‘~을 하지 말라’는 금지의 뜻이 있다. 이처럼 ‘금지’의 의미가 있게 된 것은, 毋(~하지 말 무)를 부수로 하기 때문이다.

 

(보기) 母情(어머니의 사랑), 母子(어머니와 아들, 母女(어머니와 딸), 무론(毋論 : ~을 얘기하지 말라)

 

王 : 임금 왕 (指事) 4획

 

三을 하나로 꿰뚫은 상태다. 즉, 천지인을 하나로 꿰어 뚫은 존재가 왕이다. 예전의 왕은 천지인의 이치를 훤히 꿰뚫은 사람이므로, 하늘을 대신하였다고 하여 天子라고 불렀다. 王의 부수는 玉이다. 玉은 값진 보물을 가리키는데, 임금은 하늘을 대신하여 백성을 보살피는 값진 존재라고 하여 王의 부수가 됐다.

 

(보기) 王權(왕의 권력), 王命(왕의 명령), 王座(왕이 앉는 자리), 王冠(왕의 머리에 쓰는 모자)

 

子 : 아들 자, 사랑할 자 (象形) 3획

 

어린 아이의 머리와 두 팔을 본 뜬 글자다. 또 了(마칠 료, 깨달을 료)와 一가 합한 글자라고도 할 수 있는데, 깨달음을 마무리 하여 새로운 생명의 씨(子)를 탄생한다는 의미가 있다. 子는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子女(자녀 : 아들딸), 子息(자식 : 아들, 자녀), 子宮(아기 집), 子孫(자손 : 후손)

 

女 : 계집 녀, 너 여, 짝 지을 녀 (象形) 3획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모우고 앉아 있는 모습이다. 女도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女子(여자), 女性(여성), 여권(여성의 사회적 권리), 女息(여식 : 딸)

 

白 : 흰 백 (指事) 5획

 

入과 二가 합한 글자다. 入은 양의 성질과는 달리 안으로 흡수하는 음의 성질을 가리킨다. 二는 음양을 가리키는데, 음양을 안으로 흡수하는 서방의 태양은 그 기운이 어슴푸레하며 희미하게 보인다고 해서 ‘흰 백’이라고 하였다. 혹은 태양(日)이 스스로 빛을 비치는(丿) 모양을 가리킨다고도 볼 수 있다.白도 역시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白色(백색 : 흰색), 白日(백일 : 밝은 대낮), 白玉(백옥 : 눈이 부실 정도로 깨끗한 보석), 白人(백인 : 피부가 흰 사람, 서양인)

 

人 : 사람 인 (象形) 2획

 

사람이 팔을 뻗치고 서 있는 모양을 옆에서 그린 글자다. 혹은 왼 편은 남자요, 오른 편은 여자로 보아 사람은 남녀가 서로 의지하면서 살아가는 존재라고도 본다. 人도 역시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人生(인생 : 사람이 살아가는 것), 人間(인간), 人物(인물), 人權(인권 : 사람의 권리), 人名(인명 : 사람의 이름), 人命(인명 : 사람의 목숨)

 

口 : 입 구 (象形) 3획

 

사람의 입을 본 뜬 글자다. 입을 동그랗게도 그릴 수 있으나, 굳이 네모지게 그린 것은 입으로 들어가는 건 땅의 물질이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하늘은 원(○)이라 하고, 땅은 방(□)이라고 했다. 하늘은 무형이기에 원으로 그리고, 땅은 사방이 있기에 방으로 그렸다. 口도 역시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口舌(구설 : 입과 혀), 口腔(구강 : 입 안의 빈 곳), 口頭(구두 : 직접 입으로 하는 말) 口味(구미 : 입 맛)

 

小 : 작을 소 (會意) 3획

 

八과 丨이 합한 글자다. 중앙에 있는 작은 물건(丨)을 둘로 나누었으니 매우 작은 모양이다. 또한 고문이나 소전을 보면 小는 火를 가리킨다고 하였다. 그것은 丨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불꽃이 퍼지는 기세를 상징한 것이다. 小 자체가 부수다.

 

(보기) 小人(소인 : 키가 작은 사람), 小賣(소매 : 소비자에게 물건을 직접 파는 행위), 小計(소계 : 작은 수의 합계)

 

 

(교과서에 쓰이는 20자)

 

學 : 배울 학 (會意) 16획

 

爻(밝힐 효, 효 효)와 冂(클 경)과 臼(절구 구)와 子가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臼는 두 손을 맞잡은 모양인데, 어린이(子)가 큰 건물(冂)안에서 두 손으로 가르침(爻)을 받들어 모시는 상태를 가리킨다. 여기에서 주인공은 어린아이이므로 子를 부수로 한다.

 

(보기) 學生(학생 : 배우는 사람), 學校(학교 ; 학생들이 모여서 배우는 곳), 學文(학문 : 글을 배움), 學業(배워서 쌓아 놓음)

 

校 : 학교 교 (形聲) 10획

 

木과 交(사귈 교)가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木은 十이 八방으로 뻗어가는 상태를 가리킨다. 交의 윗부분은 六인데, 大라고도 하는 것으로 사람이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모습이다. 밑의 乂는 종아리를 서로 교차시킨 모양이다. 따라서 交는 사람이 다리를 서로 교차하는 것처럼 ‘사귄다’는 의미가 있다. 校는 十무극이 八방에서 서로 사귀는 이치를 배우는 곳이라는 뜻이 있다. 이처럼 십무극을 팔방으로 배우는 게 주된 의미이므로 木을 부수로 한다.

 

(보기) 校長(학교에서 제일 높은 어른), 校歌(교가 : 학교를 상징하는 노래), 校花(교화 : 학교를 상징하는 꽃),

 

工 : 만들 공, 장인 공 (會意) 3획

 

二와 丨을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丨은 먹줄이요, 二는 상하의 위치를 재는 수준기다. 장인이 집을 지을 적에 수준기를 가지고 먹줄로 재는데서 유래했다. 혹은 상, 하를 하나로 이어가면서 물건을 만든다고 하여 ‘만들 공’이라고도 한다. 工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工業(물건을 생산하는 업종), 工場(공장 : 물건을 생산하는 곳), 工具(공구 : 물건을 만들어 내는데 사용하는 도구),

 

夫 : 지아비 부 (會意) 4획

 

비녀를 가리키는 一과 사람을 가리키는 大가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남자 나이가 스물이 되면 머리에 관(冠)을 쓰는데, 이때에 관이 벗어지지 않게 갓끈에 매어 머리에 비녀를 꽂았다. 따라서 夫는 남자 중에서도 어른이 된 남자라는 의미다. 이처럼 夫는 大를 지탱하는 글자이므로 大를 부수로 한다. 또는 天을 위로 뚫고 올라갔다고 하여 하늘보다 더 한 존재가 지아비라고도 한다.

 

(보기) 夫婦(부부 : 남편과 아내), 夫人(부인 : 남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말),

 

先 : 먼저 선, 앞설 선 (會意) 4획

 

止(그칠 지)와 儿(세운 사람 인)이 합하여 만들어졌다. 止는 발의 형상이다. 사방을 가리키는 □을 위에 붙이면 足(발 족)이 되는 것도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사방을 돌아다니게 하는 것이 발이라는 뜻이다. 앉아 있지 않고 서 있는 사람의 발은 다른 이보다 먼저 모든 면에서 앞서게 마련이므로 ‘먼저 선, 앞설 선’이라고 했다. 이 모든 것의 주인은 사람이므로 부수도 儿(세운 사람 인, 어진 사람 인)이 된다.

 

(보기) 先生(선생 : 먼저 태어난 사람, 혹은 남을 가르치는 사람), 先頭(대열이나 행렬의 맨 앞), 先塋(선영 :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곳) 先後(선후 : 먼저와 나중)

 

 

生 : 낳을 생 (象形) 5획

 

밑의 一은 땅이요, 그 위는 초목이 자라서 땅위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생물은 모두 땅에서 나온다고 하여 ‘낳을 생’이라고 했다. 또는 牛(소 우)가 밭(一)위에 서 있는 모습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소는 밭을 갈아서 농작물을 낳게 한다. 生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生死(생사 : 삶과 죽음), 生命(생명 : 목숨) 生業(생업 : 먹고 살기 위하여 하는 일), 生産(생산 : 만들어 냄), 生體(생체 : 살아 있는 몸)

 

活 : 살 활, 물 흐를 활 (形聲) 9획

 

氵(水와 동일)와 舌(혀 설)이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혀에 물이 풍부하게 흘러넘치는 모양을 가리킨다. 혀는 맛을 보고 말을 하는 곳인데, 물기가 부족하면 입맛도 없어지고, 말도 어눌해진다. 그러므로 혀에 물기가 풍족하다는 것은 곧 모든 게 활발해진다는 의미다. 舌은 입(口)에서 혀가 튀어나온 모양을 본 뜬 글자인데, 천지사방에서 千 즉, 十무극이 활발하게 삐친(丿) 형국이다. 즉 혀는 만물의 근원인 무극을 드러내는 존재라는 뜻이다. 이처럼 活은 혀에 水가 활발하게 잘 도는 걸 가리킨다고 하여 부수를 水로 한다.

 

(보기) 活力(활력 : 살아 있는 힘), 活用(활용 : 지닌 기능을 잘 살려 씀), 活字(활자 : 인쇄에 쓰는 자형),

 

注 물 댈 주 (形聲) 8획

 

氵와 主(주인 주)가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主에서 음을 따왔으므로 형성문자라고 한다. 主는 촛대(王) 위에서 타고 있는 불꽃(丶)을 본 뜬 상형문자다. 王은 모든 걸 밝혀주는 존재라는 면에서 세상의 촛대다. 초가 밝아지면 사물을 밝게 보는 주인공이 된다고 하여 주인 主가 됐다. 主가 모든 걸 밝게 하기 위해서는 항상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풍족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물이기에 注라고 하였다. 이처럼 水를 중점으로 하는 글자이므로 부수를 水로 한다.

 

(보기) 注目(주목 : 한 곳을 바라 봄), 注視(주시 : 눈여겨 봄), 注意(주의 : 마음에 새겨서 조심 함)

 

意 뜻 의 (會意) 13획

 

立과 日과 心이 합한 글자이니, 마음에 태양과 같은 ‘뜻’을 세우는 걸 가리킨다고 하여 ‘뜻 의’라고 한다. 立은 사람이 땅(一)위에서 팔을 벌리고 서 있는 大와 합한 상태를 가리키는 회의문자다. 이처럼 마음에서 당당하게 뜻을 세우는 법이므로 心을 부수로 한다.

 

(보기) 意見(의견 : 어떤 대상에 대하여 가지는 생각), 意氣(의기 : 의지와 용기), 意志(의지 : 깊이 생각하고 실행하려는 적극적인 마음)

 

見 볼 견, 나타날 현 (會意) 13획

 

目과 儿이 합한 글자. 目은 사람의 눈을 상형한 글자인데, 음양(二)으로 사방(□)의 사물을 본다는 의미가 있다. 더욱이 사람(儿)이 目을 세운 상태이니 그 의미는 ‘사물의 실상을 확실하게 본다’는 뜻이다. 見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견성(見性 : 본래의 천성(天性)을 깨달음), 견식(見識 : 견문과 학식), 견해(見解 : 자기의 의견으로 본 해석), 見身(현신 : 부처가 중생을 위하여 드러내는 몸)

 

文 무늬 문, 꾸밀 문 (象形) 4획

 

물방울의 무늬를 본 뜬 글자라고 하는데, 亠(돼지해머리 두, 뜻 없는 머리 두)와 乂(다스릴 예, 벨 예)가 합한 글자라고도 할 수 있다. 亠는 뜻이 없다고 하지만 무언가 시작한다는 뜻이 있다. 즉 사물을 다스리기 위한 시작을 文이라고 한다. 모든 물질은 물로부터 시작하는데, 물은 천지의 기운이 엉기어 형성되는 최초의 무늬인데, 그것은 반드시 음양으로부터 비롯한다. 乂의 왼편은 양이요, 오른편은 음을 가리킨다. 文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文書(글로 써 놓은 것), 文魚(문어 : 반점이 있는 물고기), 문방사우(文房四友 : 붓, 벼루, 먹, 종이)

 

章 글 장 (形聲) 11획

 

辛(매울 신)과 日이 합한 글자다. 辛은 예전에 죄인의 얼굴에 글자를 새기던 칼을 본떠서 만든 상형문자다. 그러기 때문에 辛이 들어가면 고생이나 살상 등, 매운 맛을 가리킨다고 보는데, 본래의 의미는 어두운 죄악을 잊지 않도록 깊이 새긴다는 것이다. 그것이 태양을 상징하는 日과 합하면 어두운 미망을 벗겨내는 글을 상징하는 셈이므로 ‘글 장’이라고 한다. 이것은 곧 기준을 세우는 일이므로 立을 부수로 한다.

 

(보기) 장구(章句 : 문장의 구성 단위인데 章決句斷의 줄임말이다),

 

內 안 내, 들일 납 (會意) 4획

 

冂(클 경)과 入이 합한 글자다. 밑이 터진 그릇(冂)으로 무언가 들어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밖에서 안쪽으로 들어간다는 뜻이기에 ‘안 내’라고 하였다. 들어간다는 데에 초점이 있으므로 入을 부수로 한다.

 

(보기) 내용(內容 : 안의 모습 또는 상태), 내신(內申 :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은밀히 윗사람이나 관청에 보고 함), 내실(內室 : 안 방)

 

容 얼굴 용 (會意) 4획

 

집을 가리키는 宀(보호할 면, 집 면)과 골짜기를 가리키는 곡(谷)을 합한 글자다. 집이나 골짜기는 무언가 받아들이고 담는다는 의미가 있다. 얼굴은 얼을 받아들인 곳을 가리킨다. 이처럼 무언가를 받아들여 보호한다는 의미에 초점이 주어졌으므로 容은 宀을 부수로 한다.

 

(보기) 용서(容恕 : 남을 이해하여 너그러이 받아들임), 용모(容貌 : 얼굴의 모양)

 

動 움직일 동 (形聲) 11획

 

重(무거울 중, 거듭 중)과 力(힘 력)이 합하여 만들어졌다. 重은 壬(북방 임)과 東(동녘 동)이 합한 글자인데 ‘동‘이 음을 나타낸다. 動을 ’동‘이라고 한 것도 여기에서 비롯한 것이므로 형성문자다. 거듭 거듭 힘(力)을 쏟으면서 움직인다고 하여 ’움직일 동‘이 되었다. 이처럼 힘을 쓴다는 걸 위주로 만들어진 글자이므로 부수는 力이다.

 

(보기) 동향(動向 ; 마음이나 행동의 방향), 동태(動態 : 움직여서 변해가는 상태), 동정(動靜 : 움직임과 고요함)

 

植 심을 식, 꽂을 치 (形聲) 11획

 

木과 直(곧을 직)이 합하여 된 글자인데, ‘직’에서 음을 따와 ‘식’이라고 한다. 直은 十과 目과 ㄴ(숨을 은)이 합한 글자다. 열 개의 눈이 바라보기 때문에 아무리 숨기려고 해도 곧바로 드러난다고 하여 ‘곧을 직’이라는 회의문자가 되었다. 혹은 사물의 바탕인 十무극은 아무리 숨기려고 해도 눈에 곧게 드러난다는 의미라고도 할 수 있다. 거기에 木이 붙으면 나무를 곧게 심어야 하므로 ‘심을 식’ 혹은 ‘꽂을 치’가 되었는데, 木을 부수로 한다.

 

(보기) 식물(植物 ; 초목 따위를 가리키는 말), 식민(植民 : 강대국이 종속 관계에 있는 나라에 자기 나라 백성을 이주시키는 일), 식수(植樹 : 나무를 심음)

 

事 일 사, 섬길 사 (象形) 8획

 

원래 事는 十과 口와 又를 합한 글자가 세월이 흐르면서 事로 변했다. 又는 흔히 ‘또 우’라고 하는데 본래는 오른 손의 손가락을 세 손가락으로 줄여 놓은 모습이다. 右나 友는 다 같이 여기에서 파생한 글자다. 十으로 상징되는 나무나 깃대에 깃발을 상징하는 口를 손(又)으로 세우는 일을 하고 있다는 데서 나왔으므로 ‘일 사’라고 한다. 깃발을 세우는 일은 곧 ‘섬기는’ 자세이므로 ‘섬길 사’라고도 한다. 깃대는 위로 세우는 것이므로 세울 곤(丨))을 부수로 한다.

 

(보기) 사건(事件 : 벌어진 일이나 일거리), 사대(事大 : 약자가 강자를 섬기는 일), 사리(事理 : 일의 이치), 사물(事物 : 모든 일과 물건), 사유(事由 : 일의 까닭)

 

物 만물 물, 일 물 (形聲) 8획

 

牛(소 우)와 勿(말 물)이 합한 글자다. 牛는 머리와 두 뿔이 솟고 꼬리를 늘어뜨린 소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문자다. 소는 밭을 갈아서 농사를 짓는 대표적인 짐승이므로 만물은 소를 떠나서는 결코 말하지 말라는 의미에서 ‘만물 물’이라고 한다. 勿에서 음을 따와 ‘물’이라고 하므로 형성문자다. 소가 주인공이므로 牛를 부수로 한다.

 

(보기) 물가(物價 : 물건 값), 물상(物象 : 물체의 형상), 물질(物質 : 물건의 본바탕)

 

親 친할 친 (形聲) 16획

 

친( )과 見이 합한 글자인데, 친에서 음이 왔기 때문에 형성문자다. 친은 立밑에 木이 있는 걸 보아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무언가 희망 섞인 일을 나무를 세우는 것처럼 한다는 의미가 있다. 즉 나무를 세워 놓고 본다는 여러 가지 뜻이 있는데, 이를 가리켜 ‘친하다’고 한 것이다. 나무보다는 서로 한 마음으로 본다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므로 見을 부수로 한다.

 

(보기) 친구(親舊 : 친척과 벗), 친명(親命 ; 부모의 명령), 친목(親睦 : 서로 친하여 뜻이 맞고 정다움), 친분(親分 :친밀한 정분), 친필(親筆 : 손수 쓴 글씨)

 

舊 옛 구 (形聲) 18획

 

밑에 있는 臼(절구 구)에서 음을 따 왔기에 ‘형성문자’라고 한다. 위에 있는 萑(풀 많을 추, 혹은 억새풀 환)과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인데, 절구에서 여러 번 찧어진 풀처럼 오래 되고 익숙한 사이라는 의미에서 ‘옛 구’라고 한다. 절구에 주된 의미가 있으므로 부수는 臼가 되었다.

 

(보기) 구면(舊面 : 전부터 아는 사람), 구랍(舊臘 : 전년도의 섣달), 구가(舊家 : 오래 된 집)

 

 

 

한자 성어(成語)

 

일석이조(一石二鳥) : 하나의 돌로 두 마리의 새를 잡는다 -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의 이득을 얻는 경우를 가리킨다.

 

일일삼추(一日三秋) : 하루가 3년이라는 뜻으로 몹시 지루하게 애태우며 기다리는 마음을 가리킨다.

 

삼삼오오(三三五五) : 서너 또는 대여섯 명씩 무리지어 다니거나 일을 하는 모양.

 

삼십육계(三十六計) : 상황이 불리할 때엔 달아나는 게 가장 좋다는 말.

 

구우일모(九牛一毛) :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 있는 한 개의 털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많은 것 가운데 아주 적은 것을 가리키는 말.

 

십중팔구(十中八九) : 열 가운데 여덟 혹은 아홉이라는 말, 대체로 그럴 것이라는 추측을 나타내는 말.

 

삼일천하(三日天下) : 3일 간 세상을 다스림, 아주 짧은 부귀영화를 가리 킴.

 

구사일생(九死一生) : 아홉 번 죽을 고비를 넘기고 살아나는 일, 겨우 살아난 경우.

 

팔방미인(八方美人) : 어느 모로 보나 미인이라는 뜻, 여러방면에 능통한 사람.

 

인산인해(人山人海) : 사람으로 이루어진 산과 바다, 산과 바다처럼 많이 모인 사람.

 

 

秋 가을 추 (형성) 9획

 

禾(벼 화)와 火(불 화)가 합한 글자다. 예전에는 禾와 초(거북 구 밑에 灬)를 합한 글자였는데, 후에 秋로 생략했다. ‘거북 구 밑에 灬‘는 무슨 의미였을까? 거북은 본래 우임금 때에 황하에서 낙서(洛書)를 등에 지고 나온 신령한 거북을 가리킨다. 낙서는 우주변화의 원리 중에서도 물질의 변화(양의 변화)를 위주로 한다. 즉 물질문명의 상징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거북 구 밑에 灬‘는 낙서의 물질문명이 여름의 뜨거운 태양의 열기에 의해 익어진 상태를 가리킨다. 낙서의 맨 마지막은 9離火 ☲다. 거북이 9離火 로 푹 구워지면 정신적인 알곡이 나오는 가을이 된다. 추’라는 발음은 ‘초’에서 왔기에 형성문자라고 한다. 거북은 물질문명인 洛書를 상징하는데, 벼가 중심이므로 禾를 부수로 한다.

 

(보기) 추수(秋收 : 가을 걷이), 추분(秋分 : 24절기의 하나, 밤낮의 길이가 같음), 추상(秋霜 : 가을의 찬 서리)

 

鳥 새 조 (象形) 11획

 

새의 모양을 본 뜬 글자다. 隹(새 추)가 꽁지 짧은 새를 가리킨다면, 鳥는 꽁지가 긴 새를 가리킨다. 鳥는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조류(鳥類 : 새의 종류), 조수(鳥獸 : 날짐승과 길짐승), 조감도(鳥瞰圖 : 위에서 아래를 한 눈에 내려다 본 그림)

 

毛 털 모 (象形) 4획

 

사람의 머리털과 짐승의 털 모양을 본 뜬 글자다.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모발(毛髮 : 사람의 머리털), 모피(毛皮 :털가죽), 모필(毛筆 : 짐승의 털로 만든 붓)

 

天 하늘 천 (會意) 4획

 

大와 一을 합한 문자. 큰 팔을 벌리고 서 있는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는 一은 끝없이 넓고 높은 하늘이다. 大를 부수로 한다.

 

(보기) 천간(天干 : 하늘의 방위를 가리키는 열 개의 부호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천륜(天倫 : 하늘의 도리) 천명(天命 : 하늘의 명령, 하늘의 뜻)

 

門 문 문 (象形) 8획

두 개의 문짝을 닫아 놓은 모양을 본 뜬 글자. 또는 태양(日)이 좌우로 길게 그 빛을 뻗은 형상을 본 뜬 글자라고도 본다. 즉 태양의 밝은 빛이 세상으로 내려오는 통로가 문이다. 門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문인(門人 : 제자), 문호(門戶 : 대문과 지게문), 문구(文具 : 공부 하는데 쓰이는 도구) 문벌(門閥 : 대대로 내려오는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死 죽을 사 (會義) 6획

 

人과 歺(부서진 뼈 알)이 합하여 이루어진 문자다. 사람이 부서진 뼈처럼 되면 죽음을 가리키므로 ‘죽을 사’라고 한다. 歺을 부수로 한다.

 

(보기) 사망(死亡 : 죽음), 사멸(死滅 : 죽어서 없어짐), 사별(死別 : 죽어서 이별 함)

 

 

 

海 바다 해 (形聲) 10획

 

水와 每(매양 매, 자주 매)가 합한 글자다. 每에서 음을 따 왔으므로 형성문자라고 한다. 매에 ‘자주‘라는 뜻이 있는데, 그것이 水와 합하였으므로 海는 자주 보는 바다, 즉 육지에서 가까운 바다를 가리키고, 洋은 먼 바다를 가리킨다. 원양어업은 멀리 나가서 고기 잡는 걸 가리킨다. 둘 다 水를 부수로 한다.

 

(보기) 해상(海上 : 바다 위), 해면(海面 : 바다 물 위), 해외(海外 : 국외)

 

方 모 방 (象形) 4획

 

두 척의 조각배를 나란히 하여 이물을 서로 묶어 놓은 모양을 본 뜬 글자. 모서리나 방위, 방법 등을 가리킨다. 方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방위(方位 : 자리 잡은 곳), 방금(方今 : 이제 막), 방략(方略 : 일을 하는 방법과 꾀), 방정(方正 : 말이나 행동이 바름)

 

言 말씀 언 (形聲) 7획

 

건(立 밑에丨이 있는 모습 )과 口가 합하여 만들어진 문자다. 건에서 음을 따 왔으므로 형성문자다. (건)은 立이 밑으로 丨한 모습인데, 하늘에서 무언가 기준을 세워서 밑의 땅(口)으로 내려 보낸 상황이다. 하늘에서 세운 기준은 절대적인 진리의 말씀이기에 ‘말씀 언’이라고 한다. 言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언로(言路 :정부나 임금에게 말이 전달되는 길), 언어(言語 : 말), 언쟁(言爭 : 말다툼)

美 아름다울 미 (會意) 9획

 

羊과 人을 합한 문자다. 사람이 머리에 양과 비슷한 장식(羊)을 쓰고 있는데, 그 모습이 아름답다고 해서 ‘아름다울 미’라고 한다. 왕관을 쓴 모습이 대표적이다. 혹은 일원상수 129,600년을 12개월로 나누면 1개월이 10,800년인데, 羊을 가리키는 未回에 실질적인 사람이 등장하는 후천이 시작할 적에 진정한 아름다움이 드러난다는 의미가 있다. 羊을 부수로 한다.

 

(보기) 미인(美人 : 모습이 예쁜 사람), 미담(美談 : 사람을 감동시킬 만한 아름다운 얘기), 미화(美化 : 아름답게 꾸밈)

 

石 돌 석 (象形) 5획

 

산의 언덕(厂) 에 있는 돌(口)의 모습을 본 뜬 글자다. 또는 큰 기운인 태극(一)이 크게 삐쳐(丿), 사방(口)으로 떨어져 나간 게 돌이라고도 한다. 石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석실(石室 : 돌로 만든 방), 석천(石泉 : 바위틈에서 흘러나오는 물), 석기(石器) : 돌로 만든 그릇)

 

年 해 년 (形聲) 6획

禾(벼 화)와 千을 합한 문자다. 세월이나 나이, 곡식이 익는 걸 가리킨다. 세월은 사람을 늙고 병들게 하는 것이므로 잘 방어해야 한다. 방어하는 건 방패이므로 干을 부수로 한다.

 

(보기) 연한(年限 : 정해진 햇수), 연장(年長 : 나이가 많음), 연봉(年俸 : 1년 단위로 정한 봉급), 연세(年歲 : 나이)

 

計 꾀 계(會意), 셈할 계 9획

 

言과 十을 합한 문자이므로 말(言)로 10까지 모든 걸 다 센다는 뜻이다. 말을 기본으로 해서 세기 때문에 言을 부수로 한다.

 

(보기) 계산(計算 : 수량을 헤아림), 계획(計劃 : 할 일을 미리 꾀함), 계량(計量 : 분량을 계산 함)

 

 

國 나라 국(會意), 11획

 

口와 或(나라 역, 혹 혹)을 합한 글자다. 或은 창(戈)을 들고 사방(口)의 어느 한 곳(一)을 지키는 형국인데, 지켜야 할 곳은 나라이므로 ‘나라 역‘이라고 한다. 거기에 큰 口를 더하여 범위가 더 넓은 ’나라 국‘이라고 했다. 사방을 가리키는 口를 부수로 한다.

 

(보기) 국민(國民 : 나라의 백성), 국군(國軍 나라를 지키는 군인), 국도(國都 : 나라의 수도), 국사(國史 나라의 역사)

 

軍 군사 군(會意) 9획

 

冖(덮을 멱)과 車(수레 거)가 합한 글자다. 본래는 임금이 탄 수레를 에워 싼 무리를 가리키는 것이 군대라고 하여 包(쌀 포)와 車를 한데 합하여 썼으나, 包를 생략하고 대신 冖을 집어넣어 만든 글자다. 수레가 중심이므로 車를 부수로 한다.

 

(보기) 군기(軍紀 : 군대의 기강), 군모(軍帽 군인이 쓰는 계급장이 달린 모자), 군화(軍靴 : 군인이 신는 구두), 군복(軍服 : 군인이 입는 계급장이 달린 옷)

 

南 남녘 남(象形) 9획

 

본래 질그릇으로 만든 악기를 본 떠 만든 글자였다. 火자처럼 생긴 모양의 악기였기에 나중에 불을 상징하는 남녘으로 가차(假借)하여 ‘남녘 남’이 되었다. 혹은 一태극이 크게 삐쳐(丿) 보자기(冂)로 풀처럼 돋아나는(艹) 十을 품은 형국이라고도 볼수 있다. 十은 음(一)과 양(丨)이 한데 합한 것이며, 그 기운이 강하게 솟는 것은 火인데, 그런 기운을 감싸고 있는 곳은 더운 남쪽이다. 火의 모양을 닮은 十을 부수로 한다.

 

(보기) 남산(南山 : 남쪽에 있는 산), 남행(南行 : 남쪽으로 감), 남양(南洋 : 남쪽 바다)

 

東 동녘 동(會意) 8획

 

日과 木이 합한 글자다. 태양이 떠 오르고 만물이 움직이는 곳은 동방인데, 이때 나무의 중간 정도에 태양이 걸친 모양을 나타낸 글자다. 동방은 만물의 기운이 나무처럼 강한 탄력을 지니는 법이므로 木을 부수로 한다.

 

(보기) 동서고금(東西古今 :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 동헌(東軒 : 고을 원이나 병사, 수령들이 공사를 처리하던 건물), 동궁(東宮 : 세자가 기거하는 궁)

 

萬 일만 만(象形) 13획

 

본래는 열대지방의 응달에 살고 있는 전갈의 모양을 본 뜬 글자다. ‘1만’이라고 하는 것은 가차(假借)한 것이다. 풀이 무성하게 우거진 것처럼 많다는 의미이므로 艹를 부수로 한다.

 

(보기) 만고풍상(萬古風霜 : 오랜 동안 겪어 온 많은 쓰라림), 만사(萬事 : 모든 일), 만세(萬歲 영구한 세월), 만수무강(萬壽無疆 : 오래 오래 삶)

 

 

民 백성 민(象形) 5획

 

口와 氏가 합한 글자다. 즉 동서남북의 땅(口)에 의지하여 살아가는 氏를 가리키는데, 氏는 초목이 땅속의 뿌리와 그 위로 내민 줄기 모양을 본 뜬 글자다. 氏를 부수로 한다.

 

(보기) 민중(民衆 : 다수의 일반 국민), 민생(民生 : 백성의 생계), 민간(民間 : 관이나 군대에 속하지 않은 일반 서민의 사회)

 

北 북녘 북, 달아날 배 (會意) 5획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맞대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라고 하여 ‘등지다, 달아나다’는 의미가 있다. 匕를 부수로 한다.

 

(보기) 북방(北方 : 북쪽 지방), 북창(北窓 : 북방으로 난 창문), 북해(北海 : 북쪽 바다, 발해의 딴 이름), 북신(北辰 : 북극성의 딴 이름)

 

室 집 실 (會意, 形聲) 9획

 

宀과 至(이를 지)가 합한 글자다. 사람이 마지막으로 자신의 몸을 맡기도록 이르게 하는 곳은 집이라는 의미에서 나온 글자다. 至는 새가 땅으로 내려앉는 모습을 가리키는 指事문자다. 즉 새가 날아 내려 땅에 이른다는 데서 ‘이르다’고 하였다. 집을 가리키는 한자이므로 宀(집 면)을 부수로 삼는다.

 

(보기) 실내(室內 : 집 안), 실외(室外 : 집 밖), 실려(室廬 : 가옥)

 

外 밖 외 (會意) 5획

 

夕(저녁 석)과 卜(점 칠 복)을 합한 글자다. 점은 보통 아침에 치는 법인데, 저녁에 치는 건 정상적인 행동의 밖이라는 의미에서 나온 글자다. 점을 친다는 것은 무언가 일의 실마리가 안 보여 풀리지 않기 때문이다. 밝음의 바깥은 어둠이요, 그걸 상징하는 것은 夕이므로 夕을 부수로 한다.

 

(보기) 외모(外貌 : 겉 모습), 외면(外面 : 대면하기를 꺼려 얼굴을 돌림), 외박(外泊 : 정해진 곳이 아닌 곳에서 잠을 잠), 외유(外遊 : 밖에서 노는 것, 혹은 마음을 다른 곳에 쏟음)

 

長 길 장, 어른 장 (象形) 7획

 

노인네가 머리털을 나부끼고 있는 모양을 본 뜬 글자다. 길다라는 뜻 외에도 오래다. 멀다, 깊다, 우수하다, 더하다 등의 뜻이 있다. 長은 그 자체가 부수다.

 

(보기) 장단(長短 : 길고 짧음), 장사진(長蛇陣 : 뱀의 긴 꼬리처럼 길게 늘어선 행렬이나 대열), 장광설(長廣舌 : 길고 줄기차게 늘어놓는 말솜씨, 혹은 쓸데 없이 오래 지껄이는 말) 장도(長途 : 먼 길, 여행)

 

弟 아우 제 (會意) 7획

 

弋(주살 익)과 弓(활 궁)을 합한 글자다. 새를 잡는 화살인 주살을 잃어버리지 않게 하기 위해 끈(弓)으로 단단히 묶은 모습이다. 끈을 묶을 때에는 반드시 순서가 있어야 하므로 ‘차례, 순서’라는 뜻으로 쓰다가 뒤에 ‘형제’라는 듯으로 파생되엇다. 弓을 부수로 한다.

 

(보기) 제수(弟嫂 : 동생의 아내, 季嫂라고도 함), 제자(弟子 : 스승의 가르침을 받았거나 받는 사람), 제형(弟兄 : 아우와 형)

 

靑 푸를 청 (會意) 8획

 

生과 井(우물 정)을 합한 글자다. 生은 초목이 나고, 자라며, 줄기가 뻗는 형상을 본 뜬 글자인데, 초목이나 우물은 다 같이 푸르기 때문에 ‘푸를 청’이라고 한다. ‘푸르다’는 ‘풀르다’에서 온 것인데, 겨우내 어둡고 음산한 기운에 갇혀 있던 생물들이 봄에 풀려나는 걸 가리킨다. 靑은 스스로 부사가 된다.

 

(보기) 청구(靑丘 : 남해 가운데 신선이 살고 있다는 곳, 우리나라의 옛 이름), 청와대(靑瓦臺 : 푸른 기와로 덮인 관청인데 대통령의 집무실), 청포(靑袍 : 푸른 도포)

 

寸 마디 촌, 법도 촌 (指事) 3획

 

又와 丶을 합한 글자다. 又는 손을 가리키는데, 丶(불똥 주)를 찍은 것은, 생명의 불똥이 뛰는 맥박이 있다는 뜻이다. 손목에서 손가락 하나를 깨워 넣을 정도의 거리에 맥박이 뛰는데 이 거리를 가리켜 ‘마디 촌’이라고 한다. 한방에서 맥진을 할 적에 주로 사용하는 곳이다. 寸 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촌구(寸口 : 손목의 맥을 짚는 곳), 촌철살인(寸鐵殺人 : 짤막한 경구로 사람의 마음을 찌름), 촌수(寸數 : 친척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는 수)

 

韓 나라 이름 한 (形聲) 17획

 

간(왼 편 글자)과 韋(가죽 위)가 합한 글자다. ‘간’에서 ‘한’이라는 음이 나왔다고 하여 형성문자로 본다. ‘간’은 상하의 북十자와 남十자 사이에 태양이 들어간 형국이므로 밝다는 의미가 있다. 韋는 가죽을 다듬질하여 부드럽게 한 상태다. 따라서 韓은 사물을 잘 다듬고 밝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 韋를 부수로 한다.

 

(보기) 한복(韓服 : 한국 고유의 옷), 한우(韓牛 : 한국 재래종 소), 한옥(韓屋 : 한국 고래의 양식으로 지은 집)

 

兄 맏 형, 멍할 황 (會意) 5획

 

口와 儿(사람 인)을 합한 글자다. 口는 입을 가리키는데, 사람의 인체의 높은 곳에 붙어 있으면서 잠시도 쉬지 않고 일을 하므로 ‘불어나다, 늘어나다’는 의미로 쓰였는데, 나중에 여러 형제 중의 ‘맏’이라는 뜻으로 변했다. 또는 □는 동서남북, 춘하추동을 가리키므로, 4방과 4시라는 시간과 공간을 두루 섭렵한 사람이 ‘형’이라는 의미라고도 볼 수 있다. 儿을 부수로 한다.

 

(보기) 형제(兄弟 : 형과 아우), 형망제급(兄亡弟及 : 장남이 사망할 경우, 다음 동생이 후사를 이음)

 

 

 

 

 

 

 

 

 

 

7급

 

百, 千, 石, 手, 足, 自, 立, 生, 心, 出, 入, 工, 力, 川, 江, 男, 天, 門, 目, 草, 習, 準, 備, 安, 全, 姿, 勢, 正, 直, 善, 重, 要, 整, 理, 規, 則, 敎, 室, 體, 育, 發, 音, 質, 問, 明, 靑, 詩, 想, 像, 場, 面, 實, 感, 驗, 役, 割, 民, 俗, 模, 型, 配, 列, 圓, 角, 形, 符, 信, 號, 邊, 確, 算, 劃, 時, 法, 式, 午, 前, 後, 線, 分, 環, 境, 然, 甲, 乙, 老, 少, 電, 光, 塔, 刻, 字, 他, 童, 流, 片, 丹, 血, 之, 作, 南, 北, 尺 歌, 家, 空, 記, 旗, 氣, 內, 農, 答, 道, 冬, 動, 登, 來, 里, 立, 每, 名, 命, 文, 邑, 祖, 足, 左, 重, 地, 紙, 草, 春, 出, 便, 夏, 漢, 花, 話, 孝, 休,

 

百 일백 백 (指事) 6획

 

白에 一획을 그어 밝은 것이 맨 위까지 도달하면 온전한 상태를 가리키는데, 그걸 100이라고 한다. 이처럼 밝음을 기본으로 하였기에 白을 부수로 삼았다.

 

(보기) 백성(百姓 : 일반 국민), 백회(百會 : 정수리의 숨구멍이 있는 곳), 백년해로(百年偕老 : 부부가 화락하게 함게 늙어 감)

 

千 일천 천 (指事) 3힉

 

人에 一을 더하여 만들어진 글자라고도 하며, 十이 丿한 상태라고도 한다. 人은 음양을 가리키는데, 그것이 크게 움직이면 많은 수가 생긴다. 또는 十이 크게 움직여도 마찬가지다. 十은 음양이 합하여 온전해진 상태를 가리킨다. 이처럼 十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부수도 十으로 삼았다.

 

(보기) 천고(千古 : 먼 옛날), 천군만마(千軍萬馬 : 많은 군사와 말), 천리안(千里眼 : 먼 데서 생긴 일을 직감적으로 아는 능력)

 

手 손 수 (象形) 4획

 

다섯 손가락을 펼친 모양을 본 뜬 글자. 혹은 천지인으로 벌어지는 모든 사물을 하나로 꿰어 뚫는 갈구리 亅(궐)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게 손이라고 하여 생긴 글자다. 手는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수건(手巾 : 손을 닦는 천), 수공(手工 : 손으로 하는 공예), 수하(手下 : 손 아랫 사람), 수결(手決 : 도장 대신에 쓰는 서명이나 字句)

 

足 발 족 (象形) 7획

 

무릎(口)과 발목까지의 모양을 본 뜬 止(그칠 지)를 합하여 만든 글자다. 혹은 동서남북 사방을 다 다녀서 그치게 하는 게 발이라는 의미도 있다. 足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족구(足球 : 배구처럼 네트를 세워놓고 발로 하는 운동경기), 족심(足心 : 발바닥의 중심) 족가(足枷 : 족쇄) 족지(足趾 : 발가락)

 

自 스스로 자 (象形) 6획

 

사람의 코를 본 뜬 글자다. 그러므로 ‘코 자’로 사용했으나 뒤에 코보다는 ‘스스로’라는 의미가 더 강해지자, 코는 비(鼻)자를 따로 만들어서 사용했다. 目이 스스로 丿하여 크게 돋은 상태를 가리킨다고도 볼 수 있다. 즉 누구로부터 배워서 사물을 아는 게 아니라, 스스로 알 수 있는 경지에 이른 상태를 가리킨다. 自는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자기(自己 : 자신의 몸), 자만(自慢 : 스스로 오만하여 짐), 자부심(自負心: 스스로 자신을 가지고 자랑스럽게 생각 함)

 

立 설 립 (會意) 5획

 

사람(大)이 땅(一)을 딛고(∥) 서 있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다. 혹은 人이 땅을 딛고 서 있는 모습이라고도 본다. 立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입신(立身 : 사회에서 자기의 기반을 확립 함), 입지(立志 : 뜻을 바르게 잡음), 입춘(立春 : 24절기의 하나, 봄의 시작)

 

生 낳을 생 (象形) 5획

 

초목이 나오고 자라서 땅 위로 나온 모양을 본 뜬 글자다. 맨 밑의 一은 땅을 가리키고, 나머지는 풀이 자라나는 모양을 가리킨다. 生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생명(生命 : 목숨), 생선(生鮮 : 살아 있는 물고기), 생식(生殖 : 낳아서 번식 함), 생육(生育 : 낳고 키움)

 

心 마음 심 (象形) 4획

 

사람의 심장의 모형을 본 뜬 글자다. 또는 일월성신을 가리킨다고도 본다. 心이 글자의 옆에 붙을 때에는 忄으로 쓴다. 心도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심신(心身 : 마음과 몸), 심경(心境 : 마음 상태), 심산(心算 : 속 셈)

 

出 날 출 (象形) 5획

 

초목이 가지를 위로 뻗으면서 자라는 모양을 본 뜬 글자다. 세상으로 나아가거나 출세하다 등의 의미가 있다. 두 개의 凵(위 터진 입 구, 벌릴 감)가 있기 때문에 凵을 부수로 한다.

 

(보기) 출생(出生 : 자식이 태어 남), 출마(出馬 : 말을 타고 나아 감, 선거에 입후보 함) 출납(出納 : 지출과 수입), 출가(出家 : 집을 나감, 승려가 됨)

 

力 힘 력 (象形) 2획

 

팔에 힘을 주었을 때에 근육이 불거진 모양을 본 뜬 글자다. 力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역기(力器 : 운동기구의 하나), 역작(力作 : 힘을 들여서 만든 작품), 역발산(力拔山 : 산을 뽑을 정도로 힘이 센 것)

 

川 내 천 (象形) 3획

 

도랑을 파서 물이 흐르는 모양을 본 뜬 글자다. 巛으로도 쓴다. 川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천곡(川谷 : 냇물과 골짜기), 천변(川邊 : 냇가), 천원(川原 : 냇가 유역의 벌판)

 

江 강 강 (形聲) 6획

 

水와 工을 합한 글자인데, 물이 많이 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강이라는 의미다. 물을 기본으로 하므로 水를 부수로 한다.

 

(보기) 강촌(江村 : 강가에 있는 마을), 강호(江湖 : 강과 호수, 세상), 강변(江邊 : 강 가)

 

男 사내 남 (會意) 7획

 

田(밭 전)에 나가서 力을 쓰는 일은 사내들이 하는 몫이다. 이처럼 밭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田을 부수로 한다.

 

(보기) 남녀(男女 : 남자와 여자), 남매(男妹 : 오누이), 남편(男便 : 지아비)

 

 

(보기) 형제(兄弟 : 형과 동생), 형제지국(兄弟之國 : 사이가 아주 친밀한 나라)

 

問 물을 문 (形聲) 11획

 

門과 口를 합한 글자. 문(門)에서 음을 취하였으므로 형성문자다. 문 사이에 입이 들어가 있으니, 이는 곧 무언가 물어보는 모습이다. 물어보는 것은 입으로 하는 것이므로 口를 부수로 삼았다.

 

(보기) 문답(問答 : 묻고 답함), 문제(問題 : 아는지 모르는지 물어보는 글), 문책(問責 : 책임을 물어 따짐)

 

目 눈 목 (象形) 5획

 

사람의 눈 모양을 본 뜬 글자. 옆으로 쓰다가 나중에 세워서 쓰게 됐다. 또는 사방의 틀(口) 속에 있는 음양(二)을 제대로 간직한 상태를 눈이라고 한다. 目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목측(目測 : 눈으로 대충 헤아림), 목적(目的 : 바라는 것) 목격(目擊 : 직접 눈으로 봄)

 

 

 

草 풀 초 (形聲) 10획

 

艹(풀 초)와 早(새벽 조)가 합한 글자. 새벽처럼 일찌감치 먼저 나오는 것이 들판의 잡초와 같은 풀이다. 그러므로 풀이라는 뜻 이외에도 시초, 시작 등의 뜻도 있다. 혹은 十무극을 기본바탕으로 하여 밝은 지혜의 태양이 솟는 형국이다. 풀은 얽힌 게 풀린다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이처럼 풀을 기본으로 하므로 艹를 부수로 한다.

 

(보기) 초원(草原 : 풀이 많은 벌판), 초가(草家 : 이엉으로 지붕을 인 집), 초고(草稿 : 문장이나 시를 지을 대 처음 쓴 원고), 초당(草堂 : 초가 집), 초로(草露 : 풀에 맺힌 이슬, 덧 없음)

 

習 익힐 습 (會意) 11획

 

羽(깃 우)와 白이 합한 글자다. 白은 코(鼻)에서 나왔다. 어린 새가 어미 새를 본 받아 날갯짓을 반복하면 거친 숨결이 코로 나오는 걸 가리킨다. 즉 어린 새가 나는 법을 익히고자 하는 걸 가리킨다. 날개를 기본으로 하므로 羽를 부수로 한다.

 

(보기) 습관(習慣: 몸에 익은 버릇), 습자(習字 : 글씨 쓰는 법을 익힘), 습속(習俗 : 습관이 된 풍속)

 

準 수준기 준, 콧마루 준 (形聲) 13획

 

水와 隼(새매 준)이 합한 글자다. 隼은 맹금류의 새를 총칭하는데, 隹(새 추)가 十字를 바탕으로 물 위에서 기준을 잡고 서 있는 모습이다. 隼에서 음이 나왔으므로 형성문자다. 물을 바탕으로 하므로 부수는 水다.

 

(보기) 준비(準備 : 미리 마련해 갖춤), 준칙(準則 : 표준을 삼아 따라야 할 규칙)

 

備 갖출 비 (形聲) 12획

 

人과 비( )가 합해서 만들어진 글자다. 비( )는 굴속(厂)에서 사용할 것을(用) 준비한 채 무언가 새롭게 도약하는 상태(艹)를 가리킨다. 그 주체는 어디까지나 사람이므로 人을 부수로 한다.

 

(보기) 비품(備品 : 늘 준비해 두고 쓰는 물품), 비고(備考: 참고가 될 만한 사항을 적어 넣음), 비치(備置 :마련해 둠)

 

安 편안할 안 (會意) 6획

 

집안(宀)에 여인(女)이 있어야 집안을 편하게 돌본다는 의미에서 나온 글자다. 집을 가리키는 宀(집 면)을 부수로 한다.

 

(보기) 안녕(安寧 :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편함), 안보(安保 : 편안하게 잘 키킴)

 

全 온전할 전 (會意) 6획

 

入과 王(玉)이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옥같은 보물을 입수하여 다듬으면 온전해진다는 뜻에서 ‘온전할 전‘이라고 한다. 아무리 온전한 것이라고 하여도 일단 손에 넣어야 하는 법이므로 入을 부수로 한다.

 

(보기) 전무(全無 : 전혀 없음), 전국(全國 : 나라 전체), 전연(全然 : 도무지) 전지전능(全知全能 : 모든 걸 다 알고, 할 수 있음)

 

資 재물 자, 방자할 자 (形聲) 13획

 

次(버금 차, 둘째 차)와 貝(조개 패)가 모여 이루어진 글자다. ‘차‘에서 ’자‘라는음이 나왔으므로 형성문자라고 한다. 次는 冫(얼음 빙)과 欠(부족할 흠, 하품할 흠)이 합한 문자인데, 활짝 피어나지 못하고 부족한 상태에서는 첫째보다는 둘째가 낫다는 의미다. 혹은 二와 欠이 합한 문자로도 볼 수 있으니, 부족함이 있거나, 하품을 하며 게으름을 피우면 뒤로 처진다는 의미라고도 할 수 있다. 貝는 조개를 가리키는데, 예전에는 주요한 재산이었다. 貝가 들어가면 재산이나 재물을 가리킨다. 재물은 매우 중요한 것이지만 최선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次를 붙인 貝라고 하였다. 재물을 가리키는 貝를 부수로 한다.

 

(보기) 자격(資格 : 타고난 바탕), 자금(資金 : 이익은 내는 바탕 돈), 자본(資本 : 사업의 바탕이 되는 돈이나 물자)

 

勢 기세 세 (形聲) 13획

 

埶(심을 예)와 力(힘 력)이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예‘에서 ’세‘라는 음이 나왔다고 하여 형성문자라고 한다. 埶는 土가 좌우로 벌어진(八) 속에 다시 또 하나의 土가 있으므로 두터운 대지를 가리키고 그 옆에 사람이 무릎을 꿇고 있는 형상(丸)이 있으니, 이는 곧 사람이 무릎을 꿇고 땅 속에 무언가를 심는 모습이다. 그것이 밑에서 힘(力)을 받치고 있으면 기세가 등등하다고 하여 ’기세 세‘라고 하였다. 기세는 힘이 기본이므로 力을 부수로 한다.

 

(보기) 세력(勢力 : 권세의 힘), 세도(勢道 : 정치상의 권세를 장악 함)

 

正 바를 정 (會意) 5획

 

一과 止(그칠 지)가 합한 글자다. 무엇이건 둘로 갈라지지 않고 온전한 하나로 그칠 수 있도록 하는 게 바른 길이라는 의미에서 ‘바를 정’이라고 한다. 바르게 그치는 걸 강조하기 때문에 止를 부수로 한다.

 

(보기) 정도(正道 : 바른 길), 정념(正念 : 바른 생각), 정확(正確 : 바르고 확실 함)

 

直 곧을 직, 값 치 (會意) 8획

 

十과 目과 ㄴ(숨길 은)이 합한 문자다. 열 개의 눈으로 바라보면 더 이상 숨길 것이 없이 곧바로 드러난다고 하여 ‘곧을 직’이라고 한다. 그렇게 되면 사물의 가치를 제대로 판별할 수 있는 법이므로 ‘값 치’라고도 한다. 이 글자의 중심은 눈에 있으므로 目을 부수로 한다.

 

(보기) 직언(直言 : 바른 말), 직선(直線 : 곧은 선), 직선(直選 : 백성이 직접 대표를 뽑음), 치천금(直千金 : 천금의 가치가 있음)

 

善 착할 선, 옳을 선 (會意) 12획

 

羊(양 양)과 言(말씀 언)이 합한 문자다. 양은 예로부터 군자의 상징이어서 ‘상서로움’을 가리킨다. 군자의 입에서 나오는 말씀은 착하다고 하여 ‘착할 선’이라고 한다.

 

(보기) 선악(善惡 : 착한 것과 악한 것), 선전(善戰 : 잘 싸움), 선종(善終 : 천수를 다 함, 유종의 미를 거둠)

 

重 무거울 중, 거듭할 중 (形聲) 9획

 

壬(클 임, 북방 임)과 東을 합한 문자다. 북방은 차갑고 어두운 곳이며, 동방은 따스하고 밝은 곳이다. 어둠을 헤치고 나오는 빛처럼 무언가 힘이 들면서, 앞으로 움직여 나간다는 의미가 있다. 힘이 들어도 반복하여 앞으로 나아가다 보면 마침내 성공을 거둔다. 그러므로 ‘무거울 중, 거듭할 중’이라고 한다. 또한 아직 중천에 높이 뜬 태양이 아닌, 동산에 솟기 시작하는 상태가 아이를 닮았다고 하여 ‘아이 동’이라고도 한다.

(보기) 중상(重傷 : 심하게 다침), 중역(重役 : 중요한 업무, 또는 중요한 업무를 맡은 사람), 중간(重刊 : 이미 펴낸 책을 다시 펴 냄)

 

要 구할 요 (象形) 9획

 

사람의 허리에 두 손을 대고 있는 모습을 본 뜬 글자다. 밑에 있는 女는 두 손을 가리키므로 위의 襾(덮을 아)와 합하면 두 손으로 허리를 덮고 있는 모습이다. 덮고 있다는 데에 중점이 있으므로 襾를 부수로 한다.

 

(요소(要素 : 어떤 사물의 성립이나, 효력 등에 꼭 필요한 성분이나 성질), 요식(要式 : 반드시 따라야 할 법식), 요점(要點 : 요약된 점), 요구(要求 : 필요한 걸 청구 함)

 

整 가지런할 정 (會意, 形聲) 16획

 

束(묶을 속), 攴(칠 복), 正(바를 정)이 합하여 이루어진 문자다. 어떤 사물을 쳐서(攴) 묶어내어(束), 바르게(正) 한다는 의미가 있으므로 ‘가지런할 정’이라고 한다. 正에서 ‘정’이라는 음이 나왔으므로 형성문자라고도 한다. 가지런하게 정리하기 위해서는 청소를 먼저 해야 하므로 攴을 부수로 한다.

(보기) 정리(整理 : 어수선하거나 어지러운 것을 바로 잡음), 정돈(整頓 : 가지런히 바로 잡음), 정비(整備 : 가다듬어 바로 갖춤)

 

理 다스릴 리 (形聲) 11획

 

玉, 里(마을 리)가 합한 문자다. 옥이 있는 곳이나 王이 사는 마을은 정성과 노력을 많이 들여야 한다. 이것이 본래 나라와 백성을 다스리는 방식이어야 한다. 귀하다는 의미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玉을 부수로 한다.

 

(보기) 이치(理致 : 사물에 대한 정당한 조리), 이해(理解 : 사리를 분별하여 잘 앎)

 

規 법 규 (會意) 11획

 

夫(지아비 부)와 見(볼 견)이 합한 글자다. 예부터 夫는 당당한 사내대장부를 가리킨다. 글자 자체가 天을 뚫고 위로 솟은 형국인데, 사내대장부는 그렇게 당당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하는 풀이도 있다. 이런 정도의 사내대장부가 본 것(식견)은 어느 것이나 다 사물의 기준을 정해 주는 법과 같다는 생각에서 나온 글자다. 본다는 데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見을 부수로 한다.

 

(보기) 규칙(規則 : 여러사람이 모두 지켜야 할 법칙), 규범(規範 : 꼭 지켜야 할 법칙이나 질서), 규제(規制 : 어떤 규칙을 정하여 제한 함)

 

則 법 칙, 곧 즉 (會意) 9획

 

貝와 刀(刂 칼 도)가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貝는 예전의 화폐이므로 재물을 나눈다는 의미에서 나왔다. 재물을 나누기 위해서는 정확해야 여러 사람이 순종을 하게 마련이므로 그걸 가리켜 ‘법 칙’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나누는 데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刂를 부수로 한다.

 

(보기) 법칙(法則)

 

敎 가르칠 교 (會意) 11획

 

효(爻밑에 子)와 攴(칠 복)이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효는 아랫 사람이 윗사람에게 배우는 동작이며, 攴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때리는 동작이므로 ‘가르치다’는 의미를 지녔다. 攴(攵)을 부수로 한다.

 

(보기) 교화(敎化 : 가르쳐서 착한 사람이 되게 함), 교조(敎祖 : 한 종교나 종파를 세운 사람), 교범(敎範 : 가르치는 형식이나 방법)

 

室 집 실 (會意, 形聲) 9획

 

宀(집 면)과 至(이를 지)가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사람이 힘써 일 하다가 다 하여 쉬는 곳이 집이라는 뜻에서 ‘집 실’이라고 하였다. 宀을 부수로 한다.

 

(보기) 실내(室內 : 집 안), 실려(室廬 : 오두막집)

 

體 몸 체 (形聲) 23획

 

骨(뼈 골)과 예 豊(예, 풍)가 합한 글자인데, ‘예’에서 ‘체’가 나왔기에 형성문자라도 한다. 豊은 제사상에 풍성하게 차린 상태를 가리키는데, 그것이 ‘예‘라고 봤으며, 또한 ’풍성함’을 상징한다고도 한다. 뼈에 덧 입혀 풍성해진 것이 몸이므로 ‘몸 체’라고 한다. 몸의 근본은 뼈이므로 骨을 부수로 한다.

 

(보기) 체구(體軀 : 몸뚱이), 체모(體毛 : 몸에 난 털), 체육(體育 : 몸을 튼실하게 키움)

 

育 기를 육 (會意, 形聲) 8획

 

*(育의 윗 자)와 肉 (月 고기 육)을 합한 글자다. *(育의 윗 자)은 衣자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본래 子를 거꾸로 한 글자다. 어머니 태내에서 아이가 거꾸로 해서 나오는 모양이다. 그러므로 아이를 ‘기르다’는 의미가 생겼다. 肉을 부수로 한다.

 

(보기) 육아(育兒 : 어린애를 키움), 육성(育成 : 길러서 이루어지도록 함)

 

發 필 발, 쏠 발 (形聲) 12획

 

弓과 癹(짓밟을 발)이 합한 글자다. 본래 ‘활을 쏘다‘라는 뜻을 지닌다. 혹은 癶(등질 발, 걸을 발)과 弓과 殳(창 수)가 합한 것으로 보아, 활과 창을 들고 걸어가는 의미로도 본다. 癶은 본래 두 다리를 뻗친 모양을 본 뜬 상형문자다. 어느 경우이건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는 모양이다. 癶을 부수로 한다.

 

(보기) 발표(發表 : 널리 세상에 알림), 발육(發育: 생물이 차차 크게 자람), 발효(發效 : 효과가 나타남), 발인(發靷 : 장사 때 상여가 묘지를 향하여 길을 떠남)

 

音 소리 음, 그늘 음 (指事) 9획

 

言(말씀 언)의 口속에 一을 더 하여 입 속에서 말씀이 박으로 나오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다. 혹은 밝은 진리의 빛(日)을 세운다(立 : 口위에 있는 네 개의 一)는 것이 말씀이요, 소리라는 의미라고도 볼 수 있다. 音은 그 자체가 부수다.

 

(보기) 음악(音樂 : 소리를 아릅답게 조화, 결합하여 감정이나 정서를 나타내는 예술), 음조(音調 : 소리의 높낮이), 음향(音響 : 소리의 울림)

 

質 바탕 질 (形성(聲) 15획

 

斦(모탕 은)과 貝를 합한 문자다. 모탕은 나무를 벨 때 밑에 받치는 나무토막인데, 온갖 재물이 생기게 하는 바탕을 가리킨다. 斦은 斤(도끼 근, 벨 근)이 두 개 겹쳤으니 음과 양으로 사물을 분석하여 그 바탕을 드러내는 걸 가리킨다. 貝를 부수로 한다.

 

(보기) 질문(質問 : 모르거나 의심나는 것을 물음), 질박(質朴 : 꾸미지 않은 순수 함), 질량(質量 : 성질과 수량)

 

問 물을 문 (形聲) 11획

 

門(문 문)과 口가 합한 글자다. 문 속에 입이 있으니, 입으로 문을 열고 닫는 걸 가리킨다. 문은 모든 사물이 통하는 곳인데, 문이 입을 통과한다 함은 모르는 걸 물어야 가능한 일이다. 입이 기본이므로 口를 부수로 한다.

 

(보기) 문답(問答 : 묻고 답함), 문병(問病 : 환자를 찾아보고 위로 함), 문의(問議 : 물어서 의논 함)

 

明 밝을 명 (會意) 8획

 

日과 月을 한데 합하였으니 ‘밝음’을 나타낸다. 태양과 달의 운행과 그 법칙을 알적에 비로소 모든 사물에 밝아진다. 즉 음양에 통달해야 진정한 깨달음이라고 할 수 있다. 달은 태양의 빛을 반사하기에 日을 부수로 한다.

 

(보기) 명랑(明朗 : 유쾌하고 활발함), 명경(明鏡 : 맑은 거울), 명일(明日 : 내일)

 

靑 푸를 청 (會意) 8획

 

生과 井(우물 정)이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초목의 싹도 푸르고, 우물의 물도 푸르다고 해서 ‘푸를 청’이라고 했다. 靑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청산(靑山 : 푸른 산), 청천(靑天 : 푸른 하늘), 청사(靑史 : 역사,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는 푸른 대나무의 껍질을 불에 쬐어 기름을 빼고 史實을 기록했다)

 

詩 글 시, 시 시(形聲) 13획

 

言과 寺(절 사)가 합한 글자다. 寺는 之와 寸(마디 촌)이 합한 글자이니, 그 의미는 ‘갈 데로 가서 마디가 된다’는 뜻이다. 절은 모든 걸 억지로 하지 않고, 저절로 이루어지도록 수련하는 곳이다. 혹은 土, 즉 十과 一이 합하여 한 마디를 이루어 깨달음을 얻는 곳이 ‘절’이라는 의미이다. 거기에 言이 더하면 말씀으로 이런 이치를 전한다는 뜻이므로 이를 가리켜 ‘글 시, 시 시’라고 한다. 寺눈 마디를 이룬다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寸을 부수로 하지만, 詩는 말씀에 더 비중을 두고 있으므로 言을 부수로 한다.

 

(보기) 시인(詩人 : 시를 잘 짓는 사람), 시화(詩畵 : 시와 그림), 시비(詩碑 : 시를 새긴 비석)

 

想 생각할 상 (形聲) 13획

 

相(서로 상, 볼 상)과 心이 합하여 문자를 이루었으니, 어떤 사물을 마음으로 보려고 하는 것을 가리켜 생각이라고 한다. 木은 十무극이 八方으로 뿌리를 내린 형국이요, 目은 음양(二)을 담고 있는(口) 눈을 가리키므로 사물의 근원인 無極을 음양을 통해 마음으로 바라보는 것을 가리켜 想이라고 하였다. 相에서 음이 나왔다고 하여 형성문자라고 한다. 생각은 마음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므로 心을 부수로 한다.

 

(보기) 상상(想像 : 어떤 상황이나 사물을 마음 속에 그려 봄), 상념(想念 : 마음 속에 떠오르는 생각), 상기(想起 : 지난 일을 생각 함)

 

像 형상 상 (形聲, 會意) 14획

 

人과 象(코끼리 상)을 합한 문자다. 象은 본래 아무런 꾸밈이 없이 본 자연 그대로의 형상을 가리키고, 거기에 人이 붙으면 사람이 그 象을 본받아 그대로 그려낸 모습을 가리킨다. 象은 코끼리의 귀와 어금니, 네 발, 꼬리를 본 뜬 상형문자인데, 어찌하여 자연의 형상을 가리킨다고 했을까? 하늘이 내려주는 상을 보는 걸 가리켜 ‘天垂象’이라고 하여 신비롭고 거룩한 성인만이 볼 수 있다고 한다. 불교에서는 코끼리를 특히 神獸로 삼는다. 그것은 아마도 코끼리가 짐승 중에서 가장 큰 덩치를 지니고 있는데, 음기가 아닌 맑은 양기를 가리키기 때문이 아닐까? 像은 사람이 위주가 되어 그림을 그리므로 人을 부수로 한다.

(보기) 상형문자(像形文字 : 어떤 모양을 본떠서 비슷하게 만든 문자), 상법(像法 : 석가가 입멸(入滅)한 후를 정법(正法), 상법(像法), 말법(末法)의 三時로 나눈 둘째 시대)

 

場 마당 장 (形聲) 12획

 

土와 昜(볕 양, 밝을 양)이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밝은 햇빛이 비치는 마당(土)을 가리킨다고 하여 ‘마당 장’이라고 한다. 마당이 중심이므로 土를 부수로 한다.

 

(보기) 장면(場面 : 어떤 장소에서 벌어진 광경), 장내(場內 : 어떤 장소의 안)

 

* 中央의 뜻

 

中도 ‘가운데 중’이고, 央도 ‘가운데 앙’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둘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中은 본래 깃발을 어느 한 지점의 가운데 세워 놓은 걸 가리킨다. 많은 무리 중에 깃발이 꽂혀 있는 곳을 중심으로 하여 모여 들게 하였다. 그 모양 자체가 깃발을 가리키는 口를 하나로 꿰뚫은(丨) 형상이다. 이에 비해 央은 冂과 大를 합한 글자인데, 冂은 넓은 국경을 가리키고, 大는 사람이 팔을 벌리고 서 있는 형국이므로, 사람이 국경의 중앙에 들어가 서 있는 모습이라고 하여 ‘가운데 앙’이라고 한다. 즉 같은 가운데라고 하여도 中은 ‘가운데’를 가리키고, 央은 ‘가운데를 차지한 상태’를 가리킨다. 이와 연관 지어 나온 것이 盎인데, 央밑에 皿(그릇 명)이 합하여 그릇 속을 차지한 무언가를 담고 있는 모습이라고 하여 ‘동이 앙’이라고 한다. 중앙행정대학원 원우들이여 세상의 중심에서 큰 팔을 벌리고 당당하게 천지를 품에 담는 멋쟁이가 되자.

 

面 얼굴 면 (象形) 9획

 

*(목의 형상)과 口이 합한 *이 변하여 面이 되엇다. 머리와 목과 얼굴의 윤곽을 합하여 나타 낸 문자다. 面 자체가 부수다.

 

(보기) 면목(面目 : 얼굴의 생김 새), 면적(面積 : 넓이), 면장(面長 : 면을 대표하는 분)

 

實 열매 실 (會意) 14획

 

宀과 貫(꿰뚫을 관)이 합하여 이루어진 문자다. 貫은 재물(貝)을 마치 돈(毋에서 一을 뺀 상태)을 一字로 꿰뚫은 것과 같은 모습이다. 즉 집안(宀)에 재물이 가득하다는 뜻인데, 그것은 식물이 열매를 맺는 것과 같다고 하여 ‘열매 실’이라고 했다. 열매는 집에 있는 법이므로 宀을 부수로 한다.

 

(보기) 실권(實權 : 실제로 행사할 수 있는 권한), 실비(實費 : 실제 드는 비용), 실사(實査 : 실제 조사), 실무(實務 : 실제로 맡아 하는 임무)

感 느낄 감 (形聲) 13획

 

咸(모두 함, 다 함)과 心이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어떤 사물이건 마음을 다 해야 비로소 참 된 느낌이 생긴다는 데서 ‘느낄 감’이라고 한다. 心을 부수로 한다.

 

(보기) 감동(感動 : 마음이 움직일 정도로 깊이 느낌), 감사(感謝 : 고맙게 여김) 감개무량(感慨無量 : 마음에 깊이 느껴 탄식함이 끝이 없음)

 

驗 증험할 험 (形聲) 23획

 

馬(말 마)와 僉(다 첨)이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첨’에서 ‘험’으로 음이 나왔기에 형성문자라고 한다. 예전에는 말이 중요한 교통수단이었기 때문에 말을 고르는데 신중을 기했다. 말을 고를 적에 다 한 번씩 말을 타 보는 체험을 한 후에 고른다고 하여 ‘증험할 험’이라고 하였다. 馬를 부수로 한다.

 

(보기) 험증(驗證 : 증거를 조사함), 험문(驗問 : 조사하여 물음, 신문함)

 

役 부릴 역 (會意) 7획

 

彳(조금 걸을 척, 자축거릴 척)과 殳(몽둥이 수)가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이리저리 사람에게 무기(몽둥이나 창)를 들려서 부려먹는 걸 나타낸다. 돌아다니는 걸 기준으로 하므로 彳을 부수로 한다.

 

(보기) 역할(役割 : 특별히 맡은 소임), 역사(役事 : 일, 사무)

 

割 나눌 할 (形聲) 12획

 

害(해칠 해)와 刂(칼 도)가 합한 글자다. 칼로 나누는 상태를 가리킨다. 칼이 나누는 일을 하므로 刀를 부수로 한다.

(보기) 할당(割當 : 몫을 나누어 분배 함), 할인(割引 : 일정한 값에서 얼마를 싸게 함), 할부(割賦 : 분할하여 배당 함)

 

 

俗 풍속 속 (形聲, 會意) 9획

 

人과 谷(골 곡)이 합한 글자다. 골짜기처럼 많이 반복적으로 쌓인 사람들의 체험을 바탕으로 해서 나온 것이 풍속이다. 人을 부수로 한다.

 

(보기) 속담(俗談 : 민간에 내려오는 간략하면서도 교훈적인 말), 속설(俗說 : 세상 사람이 흔히 말하는 설)

 

模 법 모 (形聲) 15획

 

木과 莫(저물 모, 없을 막)이 합한 글자다. 저물녘의 나무는 쓸 데 없는 욕망을 다 버릴 수밖에 없는데, 그것은 곧 모든 이가 따라야 할 훌륭한 모양새이므로 ‘법 모’라고 한다. 욕망을 다 버릴 수밖에 없는 까닭은 ‘열매’를 맺었기 때문이다. 무조건 욕망을 버리라고 하는 것은 무책임한 것이요, 반드시 열매를 맺게 하면 쓸 데 없는 욕망은 저절로 버리게 마련이다. 木을 부수로 한다.

 

(보기) 모형(模型 : 거푸집, 똑 같은 물건을 만들어내기 위한 틀), 모조(模造 : 본떠서 그대로 만듦), 모양(模樣 : 사람이나 물건의 형태)

 

型 거푸집 형 (形聲) 9획

 

刑형벌 형, 죽일 형)과 土가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刑은 본래 井(우물 절)과 刂를 합한 글자였는데 井(우물)은 예전에 모든 이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생활터전으로서 엄중한 법을 지키는 곳이었다. 엄중한 법을 상징하는 것은 刂(칼 도)다. 만일 혼자서 물을 독차지한다면 가차 없이 칼(刂)로 다스리는 것이 刑(형벌)이다. 그것이 틀을 가리키는 土와 더불어 型이 되었으니 거푸집이라고 한다. 부수는 틀을 가리키는 土다.

 

(보기) 형지(型紙 : 본으로 쓰도록 오려서 만든 종이)

 

配 짝 배, 아내 배 (形聲) 9획

 

酉(닭 유)와 己(몸 기)가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酉는 본래 ‘술 단지’를 상형한 문자였다. 그것이 뒤에 12지지 중의 하나인 ‘닭’을 가리키는 뜻으로 변했다. 己는 자신의 몸을 가리키는데, 술 단지는 몸에 지니고 다니는 짝이라고 해서 ‘짝 배’라고 한다. 酉를 부수로 한다.

 

(보기) 배급(配給 : 분배하여 공급 함, 나누어 줌), 배식(配食 : 식사를 몫몫으로 나누어 줌), 배필(配匹 : 부부가 되는 짝)

 

列 벌일 렬 (會意, 形聲) 6획

 

歹(부서진 뼈 알)과 刂가 합한 글자다. ‘알’에서 ‘열‘이라는 음이 나왔으므로 형성문자라고 한다. 칼로 구석구석 뼈를 발라서 벌려 놓는 상태를 나타낸다. 刀를 부수로 한다.

 

(보기) 열강(列强 : 여러 강한 나라들), 열전(列傳 : 많은 사람의 전기(傳記)를 차례로 서술한 책), 열거(列擧 : 여러 가지를 죽 들어 말함)

 

圓 둥글 원 (形聲) 13획

口와 員(수효 원)이 합한 글자다. 여러 사람(여러 수효)을 사이좋게 한 곳에 모아 놓은 상태이므로 ‘모나지 않은 모양’을 가리킨다. 口를 부수로 한다.

 

(보기) 원만(圓滿 : 인품이나 성격이 너그럽고 결함이 없음), 원숙(圓熟 : 무르익음)

 

角 뿔 각 (상형(象形) 7획

 

짐승의 뿔을 본 따서 만든 글자다.

 

(보기) 각궁(角弓 : 쇠뿔이나 양뿔 따위로 꾸민 활), 각목(角木 네모지게 켠 나무), 각축(角逐 : 서로 이기려고 다투며 덤벼 듦)

 

形 모양 형 (形聲) 7획

 

幵(평평할 견)과 彡(터럭 삼)이 합한 글자다. 彡은 털을 빗질하여 가지런하게 해 놓은 모양을 본 뜬 글자다. 아름다운 모양을 꾸미기 위한 모양을 나타내는 글자이므로 彡을 부수로 한다.

 

(보기) 형상(形相 : 생김새), 형성(形聲 : 모양과 소리), 형국(形局 : 어떤 일의 상황)

 

符 부신 부 (形聲) 11획

 

竹(대 죽)과 付(줄 부)가 합한 글자다. 예전에는 종이가 없어서 중요한 문서를 줄 적에는 대나무에 새겨서 전달했다. 그래서 대나무는 符信(믿음의 표시)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지금도 믿음을 상징하는 글자로 남게 되었다. 대나무는 지상에사 가장 빨리 자라는 나무인데, 그 이유는 속을 텅 비우기 때문이다. 그냥 속을 비우기만 하면 무력해지기 십상이지만, 대나무는 반드시 마디를 이루기 때문에 그 어떤 나무보다 더 단단하다. 속을 비우되 절도 있는 자세! 그것이 바로 선비의 상징이므로 예부터 도덕군자의 모델로 여겼다. 竹의 모양도 두 사람(人 ; 남녀)을 단단하게 세우고 있는(丨) 모양이다. 符는 竹을 부수로 한다.

 

(보기) 부서(符書 : 뒷날에 일어날 일을 미리 알아 적어 놓은 글), 부합(符合 : 부신을 맞추듯이 양쪽이 서로 꼭 들어맞음) 부신(符信 : 두 조각으로 쪼개어 나누어 가졌다가 나중에 서로 맞추어서 증거로 삼던 물건)

 

信 믿을 신 (會意) 9획

 

人과 言이 합한 글자이니, 사람의 말은 거짓이 없어야 한다는 데서 믿을 신이라고 했다. 人을 부수로 한다.

 

(보기) 신념(信念 : 굳게 믿는 마음), 신앙(信仰 : 믿고 받드는 일), 신탁(信託 : 믿고 맡김)

 

 

號 부르짖을 호 (會意) 13획

 

号(부를 호)와 虎(호랑이 호)가 합한 글자이므로, 호랑이가 큰 소리로 부르짖는다는 뜻이 있다. 호랑이가 주인공이므로 虎를 부수로 한다.

 

(보기) 호령(號令 : 지휘하는 명령), 호봉(號俸 직제나 연공을 기초로 하여 정해진 급여 체계에서의 등급)

 

 

邊 가 변 (形聲) 19획

 

辶(갈 착), 면( 辶을 제외한 글자)가 합한 글자다. ‘면‘에서 ’변‘이라는 음이 나왔으므로 형성문자라고 한다. ’면’을 보면 스스로(自) 허공(穴)에서 방위(方)를 찾아나서는 것을 가리키는데, 方은 본래 중심이 아닌 4방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변두리를 가리킨다는 걸 알 수 있다. 변두리이지만 앞을 향해서 나아간다는 의미가 있으므로 辶을 부수로 한다.

 

(보기) 변방(邊方 : 국경지대), 변경(邊境 : 나라의 경계가 되는 변두리의 땅)

 

確 굳을 확 (形聲) 15획

 

石과 隺(고상할 각)을 합한 글자다. ‘각’에서 ‘확’이 왔으므로 형성문자다. 隺은 隹(꽁지 짧은 새 추)를 冖(덮을 멱)한 상태이므로, 높은 뜻을 속에 품고 비상할 준비를 갖춘 걸 가리킨다. 거기에 石이 합하였으니 고상한 뜻을 돌처럼 굳게 간직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石을 부수로 한다.

 

(보기) 확신(確信 : 굳게 믿음), 확실(確實 : 틀림없이 그러함), 확정(確定 : 확실하게 정함), 확보(確保 : 확실하게 보증함, 혹은 보전함)

 

算 셀 산 (會意) 14획

 

竹(대 죽)과 具(갖출 구)가 합한 글자다. 대나무는 예로부터 계산의 상징으로 여겼다. 산가지(竹)를 갖추어 수를 계산한다는 의미가 있다. 계산을 가리키는 竹을 부수로 한다.

 

(보기) 산수(算數 : 수를 계산 함), 산력(算曆 : 산법과 曆象), 산통(算筒 : 장님이 점을 칠 때 쓰는, 산가지를 넣은 통)

 

劃 그을 획 (會意, 形聲) 14획

 

畵(그림 화)와 刂(칼 도)가 합한 글자다. 칼로 무얼 자르기 전에 밑그림을 먼저 그리는 걸 가리킨다. 刀를 부수로 한다.

 

(보기) 획일적(劃一的 : 한결같이 같은 모양), 획기적(劃期的 : 역사에 길이 남을 만한 상태), 획정(劃定 : 구획을 지어 정함)

 

時 때 시(形聲) 10획

 

日과 寺(절 사, 내시 시)가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여기서는 ‘절 사’가 아니라 ‘내시 시’의 뜻이 있으므로 형성문자라고 한다. 태양(日)의 움직임을 내시처럼 잘 맞추어 보좌하는 것이 바로 ‘때’를 맞추는 일이다. 또는 十무극과 一태극을 내시처럼 잘 모시는 것이 寺라고도 본다. 日을 부수로 한다.

 

(보기) 시각(時刻 : 시간의 어느 한 점), 시국(時局 : 나라나 사회 안팎의 사정), 시세(時勢 : 그 때의 형세), 시절(時節 : 철, 계절)

 

間 사이 간 (會意) 12획

 

본래는 閒이었으나, 閒이 閑과 혼용되자 ‘月’대신 ‘日’을 넣어 구별하였다. 門 사이로 달빛(月)이 새어 들어오는 데서 생긴 글자다. 門을 부수로 한다.

 

(보기) 간첩(間諜 : 경쟁, 대립관계에 있는 국가나 단체의 비밀스런 정보를 알아내어 제공하는 사람), 간발(間髮 : 털 한 오라기 사이, 아주 잠시)

 

法 법 법 (會意) 8획

 

古字에는 ‘ ’으로 나와 있다. 거기서 가운데 ‘ ‘가 빠졌다. ’ ‘의 몸에 누구든지 닿기만 하면 죄의 유, 무를 금방 알 수 있다고 한다. 이처럼 물(氵)같이 공평하게 죄를 조사하여( ) 바르지 않은 자를 제거(去)하는 게 ’법‘이라고 하여 ’법 법‘이라고 한다. 水를 부수로 한다.

 

(보기) 법도(法道: 법률과 제도), 법률(法律 : 나라의 규율), 법전(法典 : 법률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엮은 책)

 

式 법 식 (形聲) 6획

 

工과 弋(주살 익)을 합한 글자다. 주살은 오늬에 줄을 매어 쏘는 화살인데, 주로 사냥할 때에 화살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서 사용한다. 즉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낸 간단한 법이나 원리를 가리킨다. 弋을 부수로 한다.

 

(보기) 식순(式順 : 의식의 진행 순서), 식사(式辭 : 식장에서 인사로 하는 말이나 글), 식장(式場 : 의식을 행하는 장소)

 

年 해 년 (形聲) 6획

 

禾(벼 화)와 千(일천 천)을 합한 것이 변해서 만들어진 글자다. 오랜 세월 벼가 익어가는 기간을 가리키므로, 세월을 가리키는 ‘해 년’이라고 한다. 千을 干과 같다고 보아 干을 부수로 한다. 干(방패 간)은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방패의 모양을 본 뜬 것인데, 이는 곧 음양을 가리킨다.

 

(보기) 연장(年長 : 자신 보다 나이가 많음), 연한(年限 : 정해진 햇수), 연배(年輩 : 서로 나이가 비슷한 사람)

 

前 앞 전 (會意) 9획

 

본래 발 아래에 쟁반이 있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였으므로 ‘발을 그릇에 넣고 씻는다’는 의미가 있었다. 古字를 보면 止밑에 舟(배 주)와 刀가 함께 있는 모양이다. 고장 난 배를 다듬기 위해 잠시 멈춘 상태인데, 이렇게 할 적에 비로소 남보다 앞선다는 의미가 있다. 발을 씻는다 함은 곧 남보다 깨끗하게 앞서 나아간다는 뜻이다.

 

(보기) 전기(前期 : 앞의 기간), 전후(前後 : 앞과 뒤), 전도(前途 : 가는 앞 길)

 

後 뒤 후 (會意) 9획

 

彳(자축거릴 축), 么(작을 요), 夂(뒤에 올 치)가 합한 글자다. 자축거리면서 나아가려고 하지만 작은 걸음이기 때문에 뒤로 처진다고 하여 ‘뒤 후’라고 하였다. 그러나 나아간다는 것을 기본으로 하므로 彳을 부수로 한다.

 

(보기) 후기(後期 : 나중 시기), 후미(後尾 : 꽁무니), 후손(後孫 : 자손), 후환(後患 : 나중에 생기는 근심이나 걱정)

 

線 줄 선 (形聲) 15

 

糸(가는 실 멱)과 泉(샘 천)이 합한 글자다. 샘물처럼 끝이 없이 이어지는 가느다란 줄을 가리킨다. ‘천(泉)’에서 ‘선’이 나왔으므로 형성문자다. 泉은 물이 깨끗한 상태(白)이므로 ‘마실 물이 모인 샘’이라고 한다. 샘에서 물이 줄기차게 끊임없이 나오는 모양은 곧 ‘줄’의 모양을 가리킨다. 줄은 실처럼 생겼으므로 糸를 부수로 한다.

 

(보기) 선로(線路 : 좁은 길, 기차나 전차의 궤도), 선상(線上 : 줄 위)

 

分 나눌 분 (會意) 4획

 

八과 刀가 합한 글자인데, 칼로 8등분 한다는 뜻이므로 ‘나눌 분’이라고 한다. 8은 하늘의 음양(2), 땅의 음양(2), 인간의 음양(2)가 곱한 숫자다. 刀를 부수로 한다.

 

(보기) 분수(分數 : 타고난 운수), 분열(分裂 : 찢어져서 갈라 짐), 분할(分割 : 나누어 쪼갬), 분양(分讓 : 많은 것이나 큰 덩어리를 갈라서 여럿에게 나누어 줌)

 

環 둥글 환, 고리 환 (形聲) 17획

 

玉과 睘(놀라서 볼 경)이 합한 글자다. 睘은 罒(그물 망)과 袁(옷 길 원)이 합한 글자이므로 긴 옷으로 촘촘하게 치장을 한 모습을 보고 놀라는 모양이다. 거기에 玉으로 둥근 고리를 붙인 상태를 가리키는 문자다. 玉을 부수로 한다.

 

(보기) 환경(環境 : 생물체를 둘러 싸고 있는 자연적 조건이나 사회적인 상황), 환구(環球 : 지구)

 

境 지경 경 (形聲) 14획

土와 竟(다할 경, 끝낼 경)을 합한 글자다. 토는 땅을 가리키는데, 그것이 끝나는 곳을 가리키므로 ‘지경 경’이라고 하였다. 土를 부수로 한다.

 

(보기) 경계(境界 : 지역이 갈라지는 한계), 경우(境遇 : 어떤 일이나 사건이 우연히 처하게 된 상태), 경내(境內 : 어떤 장소의 안쪽)

 

然 그러할 연 (形聲) 12획

 

月犬(연)과 火가 합한 글자다. 月은 고기(肉)을 가리킨다. 고기를 보고 개가 먹고 싶어서 열을 올리는 건 그럴만한 일이라고 하여 ‘그러할 연’이라고 한다. 灬를 부수로 한다.

 

(보기) 연이(然而 : 그러나, 그런데), 연즉(然卽 : 그런즉, 그렇다면), 연석(然石 : 석탄)

 

 

 

 

甲 첫째 천간 갑, 갑옷 갑 (象形) 5획

 

초목의 싹이 껍질을 인 채 땅 밖으로 나온 모양을 본 뜬 글자다. 땅(밭)에서 싹이 나오는 법이므로 田을 부수로 한다.

 

(보기) 갑부(甲富 : 첫째 가는 부자), 갑골문자(甲骨文字 : 거북의 등딱지나 짐승의 배에 새긴 상형문자, 한자의 시초), 갑판(甲板 : 큰 배 위에 나무나 철판을 깐, 넓고 평평한 바닥), 갑주(甲冑 : 갑옷과 투구)

 

乙 새 을 (象形) 1획

 

이른 봄에 겨울의 음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초목의 싹이 구부러진 상태로 돋아나는 걸 본 뜬 글자다. 甲이 힘차게 밖으로 나온 것과 대조적이다. 乙 자체가 부수다.

 

(보기) 을지문덕(乙支文德 : 고구려의 장수, 살수 대첩을 이끈 명장), 을유(乙酉 : 60갑자 중에서 22번째의 간지)

 

老 늙을 노 (會意) 6획

 

毛, 人, 匕가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匕는 人을 뒤집은 글자인데, 사람이 늙어서 허리가 굽는 등 변한 상태를 가리킨다. 늙어서 머리털(毛)이 변한 사람이라는 의미가 있다. 老 자체가 부수다.

 

(보기) 노인(老人 : 늙은이), 노소(老少 : 늙은이와 젊은이), 노련(老鍊 : 오랫동안 경험을 쌓아 익숙하고 능란함), 노숙(老熟 : 오랫동안 경험을 쌓아 익숙함)

 

少 젊을 소, 적을 소 (形聲) 4획

 

小가 丿(움직일 별)한 상태를 가리키는 글자다. 小는 한 물건 丨을 八方으로 나누어 작아진다는 의미다. 그것이 힘차게 움직이는 모양이 少이므로 젊음이나 적음 등을 나타낼 적에 사용한다. 小를 부수로 한다.

 

(보기) 소년(少年 : 어린 사내아이), 소자(小子 : 가장 나이 어린 자식), 소액(少額 : 적은 액수), 소량(小量 : 적은 분량)

 

電 번개 전 (會意) 13획

 

雨(비 우) 밑에 申을 합한 글자다. 申은 본래 번개가 칠 때 구부러지는 모양을 그린 글자다. 그것이 뒤에 12지지 중의 하나로 사용하면서 모양도 변했다. 비가 내리면서 번개가 발한다고 하여 번개 전‘이라고 했다. 雨를 부수로 한다.

 

(보기) 전기(電氣 : 음양의 전극이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힘), 전등(電燈 : 전기의 힘으로 켜지는 등), 전신(電信 : 전류나 전파를 이용한 통신)

 

光 빛 광, 윤기 광 (會意) 6획

 

小와 儿(세운 사람 인)이 합한 글자다. 小는 앞에서 밝힌 것처럼 불꽃을 가리키는 글자인데, 그것이 사람 위에서 번쩍이며 빛을 발하는 모습이 光이다. 빛을 내는 주체가 사람이므로 부수도 儿이라고 한다.

 

(보기) 광채(光彩 : 찬란한 빛), 광명(光明 : 밝은 빛), 광복(光復 : 잃었던 국권을 다시 찾음), 광택(光澤 : 빛이 반사하여 물체의 표면에서 반짝거리는 빛)

 

塔 탑 탑 (形聲) 13획

 

土와 答(팥 답, 답할 답)이 합한 글자다. 答을 보면 대나무(竹)가 合한 상태를 가리키는데, 예전에는 대나무로 문자나 信標를 삼았다. 두 쪽으로 갈라서 나누어 지녔던 것을 나중에 서로 맞추어보고 증표를 삼았는데, 거기에서 답이 유래했다. 答과 土가 합하면 땅 위에서 答을 찾는다는 의미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탑이다. 땅 위에 쌓으므로 土를 부수로 한다.

 

(보기) 탑비(塔碑 : 탑과 비석), 다보탑(多寶塔 : 불국사에 있는 탑의 이름)

 

刻 새길 각 (形聲) 8획

 

亥(돼지 해)와 刂가 합한 글자다. 亥는 돼지의 머리와 몸뚱이, 네 다리를 본 뜬 글자인데, 12지지 중에 마지막 짐승이다. 돼지는 예로부터 중요한 재산목록과 영양조달의 수단이었기에 돼지를 잡을 적에 제대로 잡아야 했다. 그래서 그 요령을 새겨두어야 하였는데, 거기에서 ‘새긴다’는 의미가 나왔다. 刀를 부수로 한다.

 

(보기) 각인(刻印 : 도장을 새김), 각고(刻苦 : 고생을 이겨내면서 무척 애를 씀), 각골난망(刻骨難忘 : 뼈에 새겨서 잊지 못하게 함), 각박(刻薄 : 혹독하고 인정이 없음)

 

字 글자 자 (會意, 形聲) 6획

 

어린 아이(子)가 집 안(宀)에 있는 모습을 합하여 나타냈으므로 회의문자다. 어머니가 집안에서 자식을 낳고 먹여 키우는 걸 뜻한다. 子에서 ‘자’라는 음이 나왔으므로 형성문자라고도 한다. 아이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子가 부수다.

 

(보기) 자구(字句 : 문자와 어구), 자획(字劃 : 글자의 획), 자형(字形 : 글자의 모양)

 

他 다를 타 (形聲) 5획

 

人과 也(잇기 야)가 합한 문자다. 사람은 서로 개성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로 이어지려고 한다. 만약 모든 사람의 개성이 똑 같다면 하나로 이을 필요도 없으니, 협동이니, 사랑이니, 화합이니 하는 말들도 필요 없다. 人이 부수다.

 

(보기) 타인(他人 : 남, 다른 사람), 타살(他殺 : 남에 의해서 죽임을 당함), 타계(他界 : 다른 세계, 사람이 죽은 걸 가리키는 말)

 

童 아이 동 (形聲) 12획

 

立과 里(마을 리)를 합한 글자다. 里는 본래 重을 생략한 글자이므로 여기에서 ‘동’이라는 음이 나와 형성문자가 됐다. 重과 立을 합하면 ‘거듭 세운다’는 뜻인데, 아이들은 자라면서 실수를 거듭 반복하면서 모든 걸 세워나간다고 하여 ‘아이 동’이라고 한다. 立을 부수로 한다.

 

(보기) 동안(童顔 : 어린아이의 얼굴), 동요(童謠 : 아이들 사이에서 자연히 생겨나 유행하는 노래), 동몽(童蒙 : 아는 게 없이 무지한 아이들을 가리키는 말)

 

流 흐를 류 (會意) 6획

 

氵과 *이 합한 글자인데, *는 물이 흐르는 모양을 나타낸다. 水를 부수로 한다.

 

(보기) 유랑(流浪 : 물처럼 떠돌아다님), 유배(流配 : 귀양을 보냄), 유수(流水 : 흐르는 물)

 

片 조각 편 (指事) 4획

 

나무를 세로로 갈라서 생긴 오른 쪽 조각의 반을 가리킨다. 片 자체가 부수다.

 

(보기) 편도(片道 : 한 방향으로만 갈 수 있는 길), 편육(片肉 : 얇게 저민 수육)

 

 

丹 붉을 단 (指師) 4획

 

고문을 보면 丹은 井 중앙에 점을 하나 찍은 모양인데, 井은 광석을 캐기 위해 판 갱도(坑道)이며, 점 하나는 갱도 밑바닥에 보이는 붉은 빛깔의 광석을 가리킨다. 이처럼 붉은 보석을 가리킨다고 하여 지사문자라고 한다. 또는 ·은 ‘불똥 주’라고 하여 불꽃 모양을 가리키고, 井은 8괘와 9궁이 순환하는 우주의 법칙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우주변화의 진리에 점화하는 마음을 가리킨다고도 볼 수 있다. 이처럼 불꽃이 기준이 되므로 丶(주)가 부수가 된다.

 

(보기) 단심(丹心 : 변치 않는 순수한 마음), 단순호치(丹脣皓齒 : 붉은 입술에 하양 이, 즉 미인을 가리킨다), 단주(丹朱 : 요임금의 아들)

血 피 혈 (會意) 6획

 

皿(그릇 명)이 丿(움직일 별)한 상태를 가리키는 글자다. 그릇 위에 무언가 있는데(丿), 그것은 제물의 피다.

 

(보기) 혈통(血統 : 같은 핏줄의 계통), 혈한(血汗 : 피와 땀), 혈투(血鬪 : 죽기를 각오하고 덤비는 싸움), 혈안(血眼 : 핏발이 선 눈) 혈연(血緣 : 같은 핏줄로 이어진 인연)

 

之 갈 지 (象形) 4획

 

흔히 3획으로 알기 쉬우나 4획이다. 풀이 대지에서 돋아나 자라는 모양을 본 떴으므로 ‘가다’의 뜻이 있다. 움직인다는 데에 기준을 두기 때문에 丿(별)을 부수로 한다.

 

(보기) 지동지서(之東之西 : 동으로 가도 되고, 서로 가도 된다는 말이므로 갈팡질팡하는 모습) 지자로(之字路 : 꼬불꼬불 한 길)

 

作 지을 작, 잠깐 사 (會意) 7획

 

人이 乍(바느질 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다. 바느질하는 것처럼 온갖 사물을 다 지어내는 걸 가리켜 作이라고 한다. 人을 부수로 한다.

 

(보기) 작업(作業 : 일을 함), 작곡(作曲 : 노래를 만듦), 작사(作詞 : 노래의 가사를 지음), 작품(作品 : 지어낸 물품), 작가(作家 : 시나, 소설 등, 글을 지은 사람)

 

 

北 북녘 북, 달아날 배 (會意) 5획

 

두 사람이 등을 맞대고 있는 형상이므로 ‘등지다, 달아나다’는 뜻이 있다. 등진다는 것은 곧 서로 냉랭하게 얼어붙는 것이요, 그것은 곧 추운 북방을 가리킨다. 匕(비수 비, 숟가락 비)가 부수다.

 

(보기) 북두칠성(北斗七星 : 북쪽 하늘에 있는 7개의 별), 북망산(北邙山 :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 묘지가 많은 곳), 북신(北辰 : 북극성의 딴 이름)

 

尺 자 척 (指事) 4획

尸(주검 시)와 乙이 합한 문자다. 시체처럼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등을 재어 어느 지점가지 간 거리(乙)를 가리키는 길이의 단위다. 尸가 부수다.

 

(보기) 척도(尺度 : 평가나 측정의 기준), 척맥(尺脈 : 맥의 일종), 척촌(尺寸 : 얼마 안 되는 수치나 거리)

 

歌 노래 가 (形聲) 14획

 

哥(노랫소리 가)와 欠(하품 흠, 부족할 흠)이 합한 글자다. 欠은 입을 크게 벌려 입김을 내불며 하품이 나오는 모양이다. 즉 입을 크게 벌려 기운 차게 노래하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다. 입을 크게 벌리는 데에 주안점이 있으므로 欠을 부수로 한다.

 

(보기) 가곡(歌曲 : 詩歌를 가사로 한 성악곡), 가객(歌客 : 노래를 잘 하는 사람)

 

家 집 가 (會意) 10획

 

宀과 豕(돼지 시)가 합한 글자다. 처음에는 돼지우리를 가리켰으나, 후세에 ‘사람이 사는 집’으로 바뀌었다. 宀을 부수로 한다.

 

(보기) 가계(家系 : 집안의 계통), 가구(家具 : 살림에 필요한 여러 물건), 가금(家禽 : 집에서 기르는 거위, 닭, 오리 따위의 새)

 

空 빌 공 (形聲) 8획

 

穴(구멍 혈)과 工(장인 공)을 합한 글자다. 텅 빈 허공은 비록 형체는 없으나 모든 유형물을 만들어내는 곳이다. 빈 곳을 기준으로 하기에 穴을 부수로 한다.

 

(보기) 공복(空腹 : 빈 뱃속), 공활(空豁 : 매우 넓음), 공일(空日 : 쉬는 날)

 

記 기록할 기 (形聲) 10획

 

言과 己(몸 기)를 합한 글자다. 입으로 하는 말보다 직접 몸으로 하는 게 더 확실하다. 이처럼 무언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한 방편으로 나온 것이 ‘기록’이다. 言을 부수로 한다.

 

보기) 기억(記憶 : 잊지 않고 외워 둠), 기념(記念 : 오래도록 기억하여 잊지 않음)

旗 기 기 (形聲) 14획

 

方人과 其( 그 기)를 합한 글자다. 其는 쌀을 까부르는 ‘키’를 본 뜬 글자다. 사람이 키를 까부르는 것처럼, 깃발이 흔들린다고 하여 ‘깃발 기’라고 하였다. 깃발은 장소를 가리키므로 方을 부수로 한다.

 

(보기) 기치(旗幟 : 기의 표지), 기수(旗手 : 행렬 등의 앞에서 깃발을 드는 사람)

 

氣 기운 기 (形聲) 10획

 

气(구름 기운 기)와 米(쌀 미)가 합한 글자다. 气는 하늘에서 구름이 피어나는 모양을 본 뜬 상형문자인데, 마치 밥(쌀)을 먹고 그와 같은 기운이 나는 것과 같다고 하여 생긴 글자다. 기운이 일어나는 걸 주안점으로 하고 있으니 气를 부수로 한다.

 

(보기) 기체(氣體 : 공기처럼 일정한 형체나 부피가 있는 물체), 기후(氣候 : 1년의 24절기와 72후), 기색(氣色 : 얼굴에 나타난 감정의 변화)

 

農 농사 농 (會意) 13획

 

林(수풀 림)과 辰(별 진)을 합한 글자다. 林은 수풀이라고 하지만, 경작지를 가리키기도 한다. 辰은 본래 조개가 조가비를 벌리고 발을 내놓은 상태를 본 뜬 글자인데, 뒤에 12지지 중의 하나로 가차(假借)하였다. 또한 辰에는 하늘의 별자리를 가리키는 뜻도 들어 있는데, 특히 북극성을 북신(北辰)이라고 한다. 북신은 모든 별을 농사짓는 것이므로 辰은 농사기구라는 의미도 있다. 경작지를 가리키는 林과 농기구를 상징하는 辰이 합한 글자이므로 ‘농사 농’이라고 하였다. 혹은 曲와 辰을 합한 글자라고도 할 수 있는데, 曲은 속이 둥글게 비어 있는 그릇을 본 뜬 상형문자다. 속이 둥근 그릇은 밥그릇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는 곧 하늘을 가리킨다. 하늘에는 두 개의 十字, 곧 北十과 南十이 있으니 그 모양을 曲이라고도 한다. 하늘의 北辰이 농사를 짓는 곳이 바로 하늘이다. 농사를 짓는 주인공은 辰이므로 辰을 부수로 한다.

 

(보기) 농장(農場 : 농사짓는 넓은 땅), 농가(農家 : 농사를 업으로 하는 집), 농식지본(農食之本 : 농업은 음식물을 얻는 근본임)

 

答 대답할 답 (形聲) 12획

 

竹(대 죽)과 合(합할 합)이 모인 글자다. 예전에는 종이가 없어 대나무 껍질로 만든 죽간(竹簡)을 사용했는데, 주요 사항을 죽간으로 써 놓고 나중에 서로 맞추어 보아 확인을 하였다. 竹과 合은 이처럼 대나무를 맞추어 한데 합하는 모양을 취하고 있으므로 ‘대답할 답’이라고 한다. 竹을 부수로 한다.

 

(보기) 답변(答辯 : 물음에 답하는 말), 답장(答狀 : 화답하여 보내는 문서)

 

道 길 도 (會意) 13획

 

首(머리 수)와 辶(갈 착)이 합한 글자다. 머리가 가서 궁극적으로 도달하는 곳을 가리킨다는 의미이므로 ‘걸어 다니는 길’이나, 사람이 마땅히 가야 할 도덕적인 길을 말한다. 간다는 데에 주안점이 있으므로 辶을 부수로 한다.

 

(보기) 도반(道伴 : 길동무), 도통(道統 : 도학을 전하는 계통), 도모시용(道謀是用 : 길가에 집을 지으면서 행인들과 상의 함, 주견 없이 남의 말만 좇음)

 

冬 겨울 동 (會意) 5획

 

위에 있는 ‘ ’ 은 본래 終(끝 종)의 古字인데 밑에 冫(얼음 빙)과 합하면, ‘계절의 끝

‘과 ’얼어 붙는‘ 겨울을 가리킨다. ’겨울’은 ‘겨우다’라는 말인데, 이는 곧 ‘켜켜히 쌓다, 저장하다’는 뜻이다. 冫을 부수로 한다.

 

(보기) 동지사(冬至使 : 조선 때 동짓달에 중국에 정례적으로 보내던 사신), 동월무피(冬月無被 : 겨울에 의복이 없을 정도로 몹시 가난함)

 

動 움직일 동 (形聲) 11획

 

重(거듭 중)과 力을 합한 글자다. 古字를 보면 童(아이 동)과 力을 합한 글자였는데, 후에 童을 重으로 바꾸었다. ‘동‘이라는 음이 생긴 것도 ’童‘에서 온 것이다. 힘을 거듭 쓰는 걸 가리켜 ’움직인다‘고 하는데, 아이들은 한 자리에 머물러 있지 않고, 이리저리 잘 움직이기 때문에 童과 力을 합하여 動이라고 했다. 力을 부수로 한다.

 

(보기) 동향(動向 : 마음의 움직임, 행동의 방향), 동계(動悸 : 두려워서 가슴이 두근거림), 동기(動機 : 어떤 사태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계기)

 

登 오를 등 (會意) 12획

 

癶(등질 발, 필 발)과 豆(콩 두, 제기 두)를 합한 글자다. 豆(제사에 쓰는 기구)를 두 손으로 받들고 제단을 올라가는 모습을 취했으므로 ‘오를 등’이다. 癶을 부수로 한다.

 

(보기) 등산(登山 : 산을 오름), 등정(登頂 : 정상에 오름), 등극(登極 : 천자의 자리에 오름), 등록(登錄 : 장부에 올림)

 

來 올 래(象形) 8획

 

본래 보리의 모양을 본 뜬 글자였다. 한 껍질 안에 낟알 두 개가 들어 있는 보리의 모양을 본떴다. 혹은 十字 속에 세 개의 人(천, 지, 인)이 온다는 의미라고도 할 수 있는데, 天地가 합한 十, 地人이 합한 十, 人天이 합한 十, 즉 세 개의 十이 등장한다는 의미가 있다. 人을 부수로 한다.

 

(보기) 내일(來日), 내세(來世 : 죽은 뒤에 다시 태어나는 세상), 내방(來訪 : 찾아 옴), 내자가추(來者可追 : 지나간 일은 어쩔 수 없으나 장차 올 일은 개선할 수 있음)

 

里, 立, 每, 名, 命, 文, 邑, 祖, 足, 左, 重, 地, 紙, 草, 春, 出, 便, 夏, 漢, 花, 話, 孝, 休,

 

 

 

한자 성어(成語)

 

甲男乙女 : 평범한 보통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

男女老少 : 모든 사람을 일컫는 말.

電光石火 :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꽃처럼 몹시 짧은 시간이나 재빠른 동작을 일컫는 말.

타산지석 : 다른 사람의 성공이나 실패를 살펴서 자신의 지덕을 닦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

山川草木 : 모든 자연을 일컫는 말.

百年大計 : 백년 간의 큰 계획을 세우는 걸 가리키므로, 먼 장래를 내다보고 세우는 계획.

一刻千金 : 일각(15분)이 천냥과 같다는 뜻으로, 시간을 귀하게 여기라는 뜻.

百發百中 : 백번 쏘아 백번 다 맞춘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예상이 꼭 들어 맞는다는 경우.

一字千金 : 지극히 가치가 있는 문장을 일컫는 말.

靑天白日 : ‘푸른 하늘에 밝은 날‘이라는 뜻으로, 밝은 대낮을 가리킨다.

靑山流水 : ‘푸른 산에 흐르는 물’처럼 거침없이 말을 잘 하는 경우.

見物生心 : 물건을 보면 그걸 갖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는 말.

一片丹心 : 변치 않는 참 된 마음.

作心三日 : 결심한 게 3일을 못 간다는 뜻으로, 결심이 약한 경우.

三尺童子 : ‘키가 세 자인 아이’라는 뜻으로, 어린아이를 가리킴.

鳥足之血 : ‘새 발의 피’라는 뜻으로, 아주 적은 양을 가리킨다.

金字塔 : ‘金字 모양을 생긴 탑’, 즉 ‘피라미드’를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지금은 ‘후세에까지 빛날 훌륭한 업적’을 뜻한다.

 

 

 

 

6급

 

새로 익힐 선정한자

 

東, 西, 南, 北, 向, 內, 外, 同, 名, 靑, 年, 正, 文, 主, 寸, 弟, 夫, 少, 夕, 圖, 表, 現, 混, 合, 半, 點, 數, 活, 發, 種, 類, 垂, 距, 離, 結, 果, 觀, 察, 溫, 度, 加, 熱, 器, 具, 無, 關, 朗, 誦, 區, 對, 話, 暗, 標, 語, 順, 序, 差, 異, 反, 省, 利, 用, 特, 徵, 驗, 評, 價, 賞, 品, 化, 共, 通, 儉, 素, 友, 愛, 平, 和, 睦, 着, 踛, 孝, 道, 由, 恭, 遜, 苦, 憫, 題, 長, 短, 戰, 雲, 風, 聞, 有, 志, 周, 知, 解, 答, 古, 今, 左, 右, 傳, 憂, 患, 剛, 柔, 彼, 此, 泰, 斗, 馬, 耳, 奔, 走, 花, 朝, 河, 淸, 權, 王, 之, 光, 音, 刻, 偕, 老, 助, 以, 鼻, 杜, 房, 眼, 堂, 窓,

 

 

 

東 동녘 동 (會意) 8획

 

日(태양)이 나무(木)의 중간 정도로 솟은 상태를 가리키는 문자다. 만물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의 태양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는 木이 十八이 합한 글자이므로 십무극을 팔방으로 태양처럼 밝게 뻗친 상태를 가리킨다고도 한다. 솟는 것을 기준으로 하기에 木을 부수로 한다.

 

(보기) 동양(東洋 : 서양의 반대, 주로 아시아 지방이 속한다). 동국(東國 : 우리나라의 딴 이름), 동학(東學 : 수운 최제우가 창시한 민족종교)

 

西 서녘 서 (象形) 6획

 

弓과 *(口 안에 夂가 들어간 모양인데, 새의 보금자리를 본 떴다)이 한데 합한 글자다. 弓은 ‘새‘를 가리키는데, 그것이 보금자리에 드는 때가 해가 지는 때이며, 방위로는 서쪽이기 때문에 ’서녘 서‘라고 하였다. 서방이나 어둠은 모든 걸 덮어주기 때문에 襾(덮을 아)를 부수로 한다.

 

(보기) 서방(西方 : 서쪽 지방), 서역(西域 중국의 서쪽에 있던 여러나라의 총칭), 서풍(西風 : 서쪽에서 부는 바람 = 갈바람), 서해(西海 : 서족에 있는 바다 = 황해)

向 향할 향 (會意) 6획

宀과 口가 합한 글자다. 즉 집에 나 있는 창문을 가리킨다. 본래 사방(口)의 물질이 시작하는 곳은 물기가 수렴한 ‘북창(北窓)’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다가, 나중에 그냥 창문을 가리키는 것으로 되었고, 다시 ‘~를 향하다’는 뜻으로 쓰게 되었다. 향하는 곳은 사방이므로 口를 부수로 한다.

 

(보기) 향방(向方 : 향하여 나아가는 일정한 방향), 향상(向上 : 위로 오름), 향일(向日 지난 날, 전번, 태양을 바라 봄), 향학열(向學熱 : 배우고자 하는 뜨거운 열망)

內 안 내, 들일 납 (會意) 4획

冂(멀 경, 클 경)과 入(들 입)이 합한 글자다. 冂은 삼면이 가려진 곳인데, 그 속으로 무언가 들어가는 형국이므로 ‘안 내’라고 하였다. 들어가는 걸 기준으로 하므로 入을 부수로 한다.

 

(보기) 내용(內容 : 속에 있는 것), 내신(內申 : 내부에서 올리는 보고), 내조(內助 : 아내가 남편을 집안에서 도와 줌), 내훈(內訓 : 여자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일에 관한 가르침, 부녀의 가르침)

 

外 밖 외 (會意) 5획

 

夕(저녁 석)과 卜(점 칠 복)이 합한 글자다. 점은 보통 낮에 치는 법인데, 저녁에 치는 건 정상에서 벗어난 일이라는 뜻에서 나왔기에 ‘밖’을 가리킨다. 夕을 부수로 한다.

 

(보기) 외가(外家 : 어머니의 친정), 외화(外貨 다른 나라의 돈), 외환(外患 : 외부에서 받는 걱정), 외판(外販 : 외부로 돌아다니면서 상품을 파는 행위 )

 

 

同 같을 동, 한 가지 동 (會意) 6획

넓은 곳(冂)에 같은 말(一口)을 하는 사람들이 모였다는 뜻이므로 ‘한 가지 동, 같을 동’이라고 한다. 口를 부수로 한다.

 

(보기) 동화(同化 : 자기와 본래 다른 걸 같은 것으로 변화시킴), 동상이몽(同床異夢 : 같은 자리에 자면서도 서로 다른 생각을 함), 동봉(同封 : 같이 넣어 봉함)

 

名 이름 명 (會意) 6획

 

夕(저녁 석)과 口(입 구)가 합하여 된 글자다. 저녁이 되면 어두워져서 서로 분별하기 어려우므로 입으로 이름을 불러서 구별한다는 뜻이다. 口를 부수로 한다.

 

(보기) 명단(名單 : 관계자의 이름을 적은 표), 명성(名聲 : 좋은 평판), 명언(名言 : 훌륭한 말씀), 명사(名士 : 세상에 널리 알려진 사람, 이름난 선비)

 

文 글월 문 (象形) 4획

무늬가 놓인 모양을 본 뜬 글자다. 혹은 머리 두(亠)와 乂(벨 예, 가를 예)가 합하여 된 글자로 보는데, 머리를 갈라 깨우침을 주는 것이 글이라는 의미다. 攴(칠 복, 두드릴 복)을 부수로 한다. 대자연의 소리를 울려 퍼지게 쳐줌으로 깨우침을 주는 것이 글이라는 뜻에서 攴을 부수로 했다.

 

(보기) 문호(文豪 : 뛰어나고 이름 높은 문학가), 문맹(文盲 : 글씨를 읽지 못함), 문물(文物 : 학문, 예술, 종교 등 문화의 산물), 문법(文法 : 글을 짓는 법)

 

主 주인 주 (象形) 5획

丶(불똥 주)와 王이 합한 글자다. 여기서의 王은 촛대를 가리키고, 丶는 불꽃을 가리킨다. 초를 태우면서 타오르는 불꽃은 마치 자신을 불태우면서 집안을 밝히는 주인과 같다고 하여 ‘주인 주’라고 하였다. 丶가 부수다.

 

(보기) 주관(主管 : 일을 주장하여 관리 함), 주장(主張 : 자기의 의견을 내세움), 주모(主謀 : 주장하여 일을 꾀함), 주객(主客 : 주인과 손님을 함께 가리키는 말)

 

寸 마디 촌 (指事) 3획

 

又와 丶를 합한 글자다. 又는 손을 가리키는데, 손목에서 생명의 불꽃이 뛰는(丶 ) 걸 가리킨다. 손목에서 손가락 한 마디 넣을 수 있는 정도의 거리에 맥이 뛰는데, 이를 가리켜 ‘寸’ ‘寸口脈’이라 한다. 寸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촌구(寸口 : 손목에서 맥을 짚는 곳, 촌각(寸刻 : 아주 짧은 시간), 촌수(寸數 : 친척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는 수), 촌지(寸志 : 약간의 성의)

弟 아우 제 (會意) 7획

弋(주살 익)과 弓(활 궁)과 화살(丨)을 합한 글자다. 주살은 화살에 실을 매달아 쏘는 활을 가리키는데, 주살을 끈으로 묶는 데에도 반드시 순서가 있어야 한다는 뜻에서 ‘차례, 순서’라는 의미가 있었다. 뒤에 형 다음 순서를 가리키는 ‘아우’로 바뀌었다. 활에서 나온 것이므로 弓을 부수로 한다.

 

(보기) 제자(弟子 : 스승의 가르침을 받았거나 받는 사람), 제수(弟嫂 : 동생의 아내)

 

夫 지아비 부 , 어조사 부 (會意) 4획

一과 大를 합한 글자다. 一은 관이 벗겨지지 않도록 갓끈에 매어 머리에 꽂던 비녀를 가리킨다. 大는 사람이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모습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관례를 올리고 머리에 관을 쓴 데서 나온 글자인데, 남자 중에서도 어른이 됐음을 나타내는 글자다. 사람이 기본이므로 大를 부수로 한다.

 

(보기) 부인(夫人 : 남의 아내의 존칭), 부부(夫婦 : 남편과 아내),

 

夕 저녁 석 (象形) 3획

달을 가리키는 글자다. 月과 夕은 본래 같은 글자였다. 夕은 스스로 부수가 된다.

 

(보기) 석양(夕陽 : 저녁 해), 석간(夕刊 : 저녁에 배달되는 신문)

 

 

교과서 한자어 (67자)

 

圖 그림 도 (會意) 11획

 

口와 啚(시골 비)가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다. 口는 본래 國의 고자이고, 啚는 시골을 가리키므로 두 글자가 합하면 나라 전체를 나타내는 지도요, 그림이라고 하여 ‘그림 도’라고 하였다. 口를 부수로 한다.

 

(보기) 도서(圖書 : 책, 서적, 글씨, 그림의 총칭), 도표(圖表 : 그림으로 나타낸 표),도형(圖形 : 그림의 모형이나 형태), 도모(圖謀 : 앞으로 할 일에 대하여 수단과 방법을 괴함)

 

表 겉 표 (會意, 象形) 8획

 

위에는 毛(털 모), 밑에는 衣(옷 의)가 합한 글자다. 毛를 안으로 받친 웃옷, 윗도리를 가리킨다. 옷이 주인공이므로 衣를 부수로 한다.

 

(보기) 표현(表現 : 의견이나 감정 따위를 드러냄), 표리부동(表裏不同 : 속과 같이 다름, 마음이 불량하고 음흉함) 표적(表迹 : 겉에 나타난 형적)

 

現 나타날 현, 옥 다음 가는 돌 현 (形聲) 11획

玉과 見(볼 견)을 합한 글자다. 귀한 보물을 가다듬어 지금 타나게 한다는 의미다. 玉을 부수로 한다.

 

(보기) 현금(現金 : 현재 가진 돈), 현황(現況 : 현재의 상황), 현재(現在 : 이제, 지금)

 

混 섞을 혼 (形聲) 11획

氵와 昆(형 곤, 맏 곤)을 합한 글자다. 昆은 태양(日)아래에서 여럿이 서로 친하게(比 친할 비) 모여 있는 걸 가리킨다. 즉 물이 서로 친하게 뒤섞여 있는 상태를 가리키기 때문에 ‘섞을 혼’이라고 하였다. 氵를 부수로 한다.

 

(보기) 혼잡(混雜 : 뒤섞여 복잡함), 혼돈(混沌 : 사물의 구별이 확실하지 않은 모양), 혼합(混合 : 뒤섞여 한데 합함)

 

合 합할 합 (會意) 6획

 

亼(삼합 집, 모을 집)과 口가 합한 글자다. 亼은 천지인이 한데 모인 것이며, 그것이 사방을 가리키는 口와 합하였으니, 이는 곧 천지인이 4방, 8방의 것을 한데 모아 놓았다는 뜻이다. 口를 부수로 한다.

 

(보기) 합법(合法 : 법령이나 법식에 맞춤), 합치(合致 : 서로 일치함), 합석(合席 : 자리를 같이 함), 합장(合掌 : 두 손바닥을 한데 합침)

 

半 반 반 (會意) 5획

八과 牛(소 우)가 합하였으니 소를 반으로 나누어 제물로 바친다는 뜻이다. 十을 부수로 한다.

 

(보기) 반신(半身 : 몸의 반쪽), 반도(半島 : 삼면이 바다로 둘러 싸이고 한 면은 육지로 연결 된 땅), 반경(半徑 : 반지름)

 

點 점 점 (形聲) 17획

黑(검을 흑)과 占(차지할 점)이 합한 글자다. 어떤 사물을 차지하는 검은 흔적을 가리킨다. 검은 색은 예로부터 하늘이라고 하였는데(天地玄黃), 검은 흔적은 곧 하늘의 뜻을 의미한다. 黑을 부수로 한다.

 

(보기) 점수(點數 : 성적을 나타내는 숫자), 점검(點檢 : 낱낱이 검사 함), 점등(點燈 : 등불을 켬), 점호(點呼 : 한 사람 한 사람 이름을 불러서 인원을 조사함)

 

數 셀 수, 수 수, 자주 삭 (形聲) 15획

婁(성길 루)와 攴(칠 복)이 합한 글자다. ‘루’에서 ‘수’라는 음이 나왔으므로 형성문자다. 본래 婁는 별 이름을 가리키는 것인데, 별을 하나하나 세는 것처럼 모든 사물을 세어 나가는 걸 가리킨다. 攴을 부수로 한다.

 

(보기) 수학(數學 : 수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학문), 수리(數理 : 수에 들어 있는 사물의 이치), 수효(數爻 : 사물의 낱낱의 수), 삭맥(數脈 : 빨리 뛰는 맥박)

 

活 살 활, 물 콸콸 흐를 괄 (形聲) 9획

水와 舌(혀 설)을 합한 글자다. 舌은 입에서 혀가 나온 모양을 본 뜬 글자인데, 천지 사방(口)에 있는 十무극을 생동감 있게 움직이게(丿) 하는 게 ‘혀’라는 의미도 있다. 거기에 물기(水)까지 더 하면 더욱 활발하게 살아 있는 모습이다. 水를 부수로 한다.

 

(보기) 활동(活動 : 활발하게 움직임), 활약(活躍 : 눈부시게 활동함), 활계(活計 : 생활의 방도), 활활(活活 : 물이 기운차게 흐르는 소리)

 

種 씨 종, 심을 종 (形聲) 14획

 

禾(벼 화)와 重거듭 중)을 합한 글자다. 벼를 거듭나게 하는 건 씨를 심는 일이다. 禾를 부수로 한다.

 

(보기) 종자(種子 : 초목의 씨), 종족(種族 : 같은 종류의 생물 전체), 종류(種類 : 사물의 성질이나 특성을 따라 부분을 나누는 갈래)

 

類 무리 류 (形聲) 19획

米(쌀 미)와 犬(개 견)과 頁(머리 혈)이 합한 글자다. 본래 米와 頁이 합한 글자도 ‘뢰’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류’라는 음이 나왔으므로 형성문자라고 한다. 米는 본래 껍질을 벗긴 쌀알이 각기 나누어진 모양을 본 뜬 글자인데, 十무극이 4방, 8방으로 그 기운이 출입하는 모양을 가리킨 글자로 보아도 된다. 즉 쌀이나 무극이나 다 같이 생명의 근원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犬은 大에 붙어 있는 작은 점이므로 하찮은 것을 상징한다. 頁은 하늘(一) 밑에서 스스로(自) 움직여 펼쳐진(八) 상태를 가리키는데, 십무극처럼 고귀한 것이나, 개처럼 하찮은 것이나 스스로 살아가는 존재라는 점에서는 다 같은 한 무리라는 의미다. 즉 쌀을 먹는 인간이나 그렇지 못한 개나 하늘 밑에서는 다 같은 무리다. 이 글자에서는 하늘을 가리키는 머리가 기준이므로 頁을 부수로 한다.

 

(보기) 유형(類型 : 성질, 특성 따위가 공통적인 것끼리 묶은 하나의 틀), 유사(類似 : 서로 비슷함), 유인원(類人猿 : 사람과 비슷한 원숭이 종류)

 

垂 드리울 수 (象形) 8획

밑의 土를 바탕으로 하여 초목의 나뭇잎이나 가지 등이 밑으로 처진 모양을 본 뜬 글자다. 대개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거나, 늘어진다는 의미가 있다. 땅 위에 서 있는 게 초목이므로 土를 부수로 한다.

 

(보기) 수직(垂直 : 똑바로 드리움), 수훈(垂訓 : 후세에 전하는 교훈), 수범(垂範 : 모범이 됨)

 

距 떨어질 거 (形聲) 12획

 

足(발 족)과 巨(클 거)가 합한 글자다. 발을 크게 한다 함은 사이가 떨어진다는 말이다. 足을 부수로 한다.

 

(보기) 거리(距離 : 두 곳 사이의 떨어진 길이), 거약(距躍 : 뛰어 오름)

 

離 떼 놓을 리, 떠나갈 리 (形聲) 19획

 

离(산신 리, 흩어질 리)와 隹(꽁지 짧은 새 추)가 합한 글자다. 새처럼 떠나가는 걸 가리킴. 隹를 부수로 한다.

 

(보기) 이별(離別 : 서로 헤어짐), 이혼(離婚 : 혼인 관계를 끊는 일), 이산(離散 : 헤어져서 흩어짐), 이간(離間 : 두 사람의 사이를 벌려 놓음)

 

結 맺을 결 (形聲) 12획

糸(가는 실 사)와 吉(길할 길)이 합한 글자다. 실이 다른 실과 얽혀야 비로소 튼실해져서 좋은 실이 된다. 실이 한 가닥만 있으면 약하기 이를 데 없어 금방 끊어진다. 糸를 부수로 한다.

 

(보기) 결정체(結晶體 : 애써 노력하여 이루어진 일의 열매), 결사(結社 : 주의나 사상이 같은 사람끼리 단체를 조직함), 결과(結果 : 일이 되어 가는 끝판)

 

果 열매 과 (象形) 8획

⊕(열매)가 木에 달려 있는 모양을 본 뜬 글자다. 木을 부수로 한다.

 

(보기) 과실(果實 : 먹을 수 있는 열매), 과수원(果樹園 : 먹을 수 있는 열매를 농사 짓는 곳), 과연(果然 : 알고 보니 정말 그러함)

 

觀 볼 관 (形聲) 22획

 

雚(황새 관)과 見(볼 견)이 합한 글자다. 귀한 새는 주의 깊게 보아야 한다는 데서 나온 글자다. 황새는 다리가 길어 앞서 나가는데, 앞서 가는 사람을 주의해서 잘 살펴야 한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見을 부수로 한다.

 

(보기) 관광(觀光 : 다른 지방이나 다른 나라의 풍광이나 풍물을 유람 함), 관망(觀望 : 멀리서 바라 봄), 관조(觀照 : 지혜로써 사리를 비추어 봄)

 

察 살필 찰 (形聲) 14획

 

宀(면)과 祭(제사 제)가 합한 글자다. 제사를 지낼 적에는 반드시 모든 면을 잘 살펴서 정성을 들여야 한다. 祭는 사람과 귀신이 만나는 의식이기 때문이다. 祭는 본래 고기(肉)를 손(又)으로 신께 보인다(示)는 뜻이 있다. 신께 잘 보인다는 면에 초점이 있으므로 示를 부수로 한다.

 

(보기) 찰색(察色 : 한방에서 얼굴이나 몸의 색을 보고 병의 유무를 진단하는 법), 관찰(觀察 : 사물을 잘 보고 살핌)

 

溫 따뜻할 온 (形聲) 13획

水와 昷(어질 온)이 합한 글자다. ‘어질다’는 것은 마음이 따스하다는 뜻인데, 밝은 태양(日)을 담고 있는 그릇(皿)이니 어찌 따뜻하지 않겠는가? 그것이 물과 합하였으니 ‘따뜻할 온’이라고 한다. 水를 부수로 한다.

 

(보기) 온수(溫水 : 따스한 물), 온천(溫泉 : 온수가 나오는 샘), 온순(溫順 : 성질이 부드럽고 유순함), 온유(溫柔 : 따뜻하고 부드러움)

 

度 법도 도, 헤아릴 탁 (形聲) 9획

서(庶에서 灬를 생략 함)과 又(사람의 손)이 합한 글자다. 사람의 손으로 여러 사물을 정리하려면 법도가 필요한 법이다. 혹은 예전에는 한 동네(广 집 엄)에서 우물(井)을 마시려면 일정한 법도가 필요하다는 뜻으로 나온 글자라고도 본다. 广을 부수로 한다.

 

(보기) 도수(度數 : 각도, 온도 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 정해진 길), 도량(도량 : 사물을 헤아림), 탁지(度地 : 토지를 측량함)

 

熱 더울 열 (形聲) 15획

埶(심을 예)와 灬(불 화)가 합한 글자다. 불을 심어 놓으니 자연 더을 수밖에 없다. 혹은 埶가 土가 그 밑에 土를 八로 나누어 丸(둥글 환)한 모습이라고 보는데, 그 의미는 土는 본래 적당한 온기를 8방으로 주고 받아야 제대로 원활한 상태를 유지한다는 뜻이다. 火를 부수로 한다.

 

(보기) 열정(熱情 : 매우 격렬한 감정), 열광(熱狂 : 흥분하여 미친 듯이 날뜀), 열창(熱唱 : 열심히 노래를 부름)

 

器 그릇 기 (會意) 16획

네 개의 그릇(口)과 犬(개 견)이 합하였으니, 이는 곧 개고기를 담는 게 그릇이라는 뜻이다. 개는 예로부터 하찮은 것의 상징으로 여겼다. 툭하면 ‘개새끼, 개자식’ 라고 하는 말은 이를 잘 말해준다. 개를 가리키는 犬자도 역시 그와 같은 면이 있으니, 大의 귀퉁이에 자그맣게 점(丶)하나를 찍어서 ‘큰 것 옆에 있는 작은 점’이라고 격하(格下)했다. 이것은 12지지 중에서 개에 해당하는 술(戌)이 가장 어두운 서북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인데, 양(陽)을 중시하던 문명에서는 음(陰)은 기피해야 할 대상이었다. ‘그릇‘이라는 것도 ’그릇 되다‘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좋은 의미라고 할 수는 없다. ’그릇 되다‘는 그릇 속에 있는 내용물보다 그릇 자체를 중시하는 의식을 경계하기 위해 나온 말이다. ’그릇‘도 중요하지만 그 속에 담기는 내용물이 더 중요한 법인데, 만약 그 내용물보다 겉에 더 많은 관심과 정성을 기울인다면 ’그릇된 상태‘다. 그 내용물이 개고기라면 그것은 그릇된 것이므로 ’그릇 기‘라고 하였다. 혹은 口는 사방이나 사상을 가리키는데, 그것이 4방에서 벌어진 중심에 개(犬)가 있다면 그것은 ’그릇 된 것‘이기 때문에 ’그릇 기‘라고 하였다. 그릇을 가리키는 口를 부수로 한다.

 

(보기) 기명(器皿 :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의 총칭), 기관(器官 : 생물체를 이루는 한 부분), 기구(器具 : 세간, 그릇, 연장의 총칭), 기국(器局 : 재능과 도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