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行님. 함께 생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천부경은 始로 시작하고, 지부경은 終으로 시작한 것은, 하늘에서 보는 것과 땅에서 보는 건 서로 정반대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하는 게 더 간명하지 않을까요? 하늘의 끝은 땅의 시작이요, 땅의 시작은 하늘의 끝이 되는 건 상식이겠죠. 즉 一의 終은 十이요, 十의 終은 一이 된다는 말입니다.
이렇게 보면 한 가지 의문이 생기네요. 천부경의 ‘일시무시일’을 그냥 ‘무시무종’이라고 한다면 一의 마지막이 十이라고 한 것은 애초부터 말이 안 되지요. 1은 무시무종이라고 해 놓고, 十이 마지막이라고 하니 모순이 아닌가요? 무시무종이라면 애당초 十이라는 글자도 필요 없겠죠.
그러기 때문에 ‘무시무종일’은 그냥 막연한 무시무종이나 불생불멸 등을 가리킨 게 아니라고 한 겁니다. 이미 밝힌 것처럼, 천부경의 一始한 一과 無始一의 一은 서로 다른 건데 그 차이를 생각하지 못한 겁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一始한 一은 3극이 모인 것이기에 天一이나 地一이나 人一 중의 어느 一도 참 된 一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에, 無始一이라고 한 겁니다.
비유하자면 <유, 불, 선>의 어느 것도 실체의 시작이라고 할 수 없기에 '無始一'이라고 하게 된 겁니다. 천부경은 사실, 유불선 삼도를 통합하는 이치와 방편이 다 들어 있지요.
이처럼 간단하고 명쾌한 것을 막연하게 기존의 교리나 이치에 부합시키려고 하다 보니 천부경만의 특색이 사라지고 ‘그게 다 그건데 뭘 골치 아프게 따져?’라는 말을 하는 걸 많이 봤습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천부경이나 지부경은 '깨달음'에 관한 이치를 가리킨 것이지, 결코 우주나 천지와 같은 형상적인 것을 주제로 삼지 않았다는 겁니다. '바른 깨달음'을 이루기 위하여 다만 그런 것들을 인용하고 있을 따름이지요.
理行님의 답변도 훌륭하지만, 제가 제시한 네 가지의 문제에 대한 답변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네요.
1. 天一은 왜 一이라 하고, 地一은 왜 二가 되며, 人一은 왜 三이라 했을까?
에 대한 답은 어느 정도는 하신 셈인데, 나머지 3항에 대한 건 전혀 언급이 없으시기 때문에 드린 말씀입니다.
나머지, 2항, 3항, 4항에 대한 것은 1항에 대한 의미는 사실 매우 난해한 것이지요.
그것은 1항의 의미를 확실하게 알아야 해결 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힌트를 드리자면, 一析三極이라고 하였으니, 우선 1극을 설명해야 겠죠. 그래서 천북경은 < 天一一地一二人一三>을 '일석삼극무진본' 다음에 바로 연결시킨 겁니다. 天一一은 하늘을 한 번 가르면(깨우치면) 一태극이요, 地一二는 땅을 한 번 가르면 二음양이며, 人一三은 사람을 한 번 가르면 三神이 나온다는 말입니다. 천지인 3극이 제각기 갈라진 상태(일석삼극)로 있으면 十을 할 수 없기에 결코 생명(자녀 : 三)이 나오지 못합니다. 이처럼 一의 상태에서는 아무 것도 생기지 못하고, 생기지 못하면 사라지는 것도 없기 때문에 ‘일시무시일’과 ‘일종무종일’이라고 할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天一과 地一이 합하여 十이 생기고, 地一과 人一이 합하여 十이 생기며, 人一과 天一이 합하여 十이 생긴다는 점입니다. 또한, 이 셋이 전부 합하여 생긴 大十字가 있겠지요. 이걸 생각하지 못하면 다음에 나오는 ‘一積十鉅無櫃化三’을 전혀 모르게 마련입니다.
이런 이치에 밝아지면 인체의 구조와 마음의 구조를 일관할 수 있으며, 그럴 적에 비로소 진정한 영육의 건강법은 물론, 격물치지가 가능해 집니다. 이행님이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천부경을 해설 할 적에는 반드시 육하원칙에 입각한 글을 올려야 합니다. 그냥 아무 근거도 없이 사적인 견해를 올리는 거야 막을 수는 없겠지만, 보기가 민망한 글들이 너무 많은 게 현실이더군요. 그에 대한 판단은 독자들의 몫이겠지요. 오늘 하루 정도 더 기다려 내일 두 번 째 주제에 대한 답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