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二三地二三人二三大三合六은 앞의 구절과 반드시 맥락이 연결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냥 문자 풀이에 지나지 않게 마련이다.
앞의 문장에서 天一一, 地一二, 人一三이라고 하였고, 지금은 天二三地二三人二三大三合六이라고 하였으니, 이는 一, 二, 三으로 그 맥이 이어진 것이다.
天一一은 하늘의 모형인 원을 가리키고, 地一二는 땅의 모형인 方을 가리키며, 人一三을 角의 모형을 가리킨 것으로 3에 해당하는 인간이 나올 적에 비로소 천지와 인간은 동시에 온전해지는 이치를 가리킨다.
그러나, 一 혼자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으므로 3극의 一이 積한 十으로 鉅한 상태가 되어야 하기에 '일적십거'라고 하였다.
일적십거는 二와 三이 합한 두 가지 종류가 있기 때문에 天二三地二三人二三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음양이 합한 十과 천지인 3극이 합한 十이 바로 그것이다.
음양이 합한 十은 天에서 보면 천 + 지와 천 + 인의 두 개가 있고, 地에서도 역시 지 + 천과 ㅈ + 인의 두 개가 있으며, 人에서도 인 + 천과 인 + 지의 두 개가 있게 마련이다.
이렇게 해서 음양이 합한 十은 도합 여섯 개가 생겼으니 이를 가리켜 '대삼합육'이라 하였다.
음양이 합한 十은 도대체 무얼 의미할까?
그것은 4상과 그 중심을 의미한다. 두 개의 음양이 합하면 4상이 생기는 법인데, 수박을 두 번 가르면 네 조각이 생기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수박을 두 번 가르면 네 조각과 두 개의 十이 생기는데 이를 잘 살펴야 한다.
모든 사물에는 반드시 음양이 들어 있으며, 그로 인해 나타나는 상은 4상이다.
하늘에는 일월성신이 있고, 땅에는 石土火水가 있으며, 사람에게는 이목구비가 있게 된 것은 이와 같은 이치에 기인한다.
이처럼 상은 4상이지만, 그것은 음극(十)과 양극(十)이라는 두 개의 十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 두 개의 十이 천지인으로 벌어졌으므로 대삼합육이라고 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6이라는 숫자는 천지인의 형체(1, 2, 3)을 합한 셈도 되고, 천지인의 음양(2, 2, 2)을 합한 셈도 된다.
형체나 음양은 변화를 가리킨 것이 아니라, 눈에 잘 보이는 표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체로 비유하면 표면에 보이는 肉이 곧 6이다.
수박을 세 번 가르면 표면에 여섯 개의 十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곧 인체의 肉이다.
인체의 0(靈)은 내면에 있기에 잘 보이지 않는다.
천부경의 한 중심에 6이 자리를 잡은 것은 천부경이 하늘에서 본 것이기 때문이다.
하늘에서 보면 모든 사물의 형체가 밝게 보이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하늘은 허공이기 때문이다.
허공은 텅 빈 상태이기 때문에 모든 게 명료하게 보인다.
하지만 그것은 표면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기 때문에 하늘은 一로 시작을 하고 一로 끝을 맺는다.
一은 텅 빈 허공을 가르는 상징이다.
이를 가리켜 '깨달음'이라 한다.
천부경 첫 머리 '일시무시일'의 一의 정체는 바로 '깨달음'이었다.
그것을 가리켜 우주나 만물이라고 하는 것은 정답이 아니다.
우주나 만물은 물질이 아닌가?
물질은 반드시 시종이 있는 법인데, 어찌 '일시무시일, 일종무종일'이라는 표현을 할 수 있단 말인가?
깨달음과 같은 '생각'을 가리키기 때문에 무시무종이라고 하게 된 것이다.
천부경의 '一始'는 바로 '한 생각의 시작'을 가리킨다.
그 생각은 반드시 3극으로 이루어졌다는 걸 천부경은 우리에게 일러주고 있다.
그리고, 갈라진 것은 반드시 다시 하나로 쌓여 十을 이루어야 음양과 4상, 5행, 6기 등등이 그 속에서 발생한다는 걸 알아야 한다는 말씀이다.
이처럼 천지인이 각기 2극(2변)을 하면 도합 여섯 개의 十이 생기는 현상을 가리켜 '대삼합육'이라고 했다.
6에 대해서는 많은 성찰과 연구가 필요하다.
그것만 소개하려고 해도 상당한 지면과 시간이 필요하다.
그런 건 따로 언급을 해야 할 성질이므로 후일을 기약하는 게 좋겠다.
이상, 천일, 지일, 인일과 천이, 지이, 인이까지 설명을 하였다.
이제 마지막 천삼, 지삼, 인삼에 대한 것이 남았다.
그게 풀리면 生七八九는 저절로 알게 된다.
어제, 오늘 계속 바쁜 일이 있어 출타를 할 시간이다.
여러분도 같이 한 번 <천삼, 지삼, 인삼>에 대한 생각을 해 보세요.
사물의 내면을 보기 위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