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경의 문구 중에서 가장 난해하면서도 핵심적인 부분이 '오칠일묘연'이라는 건 이미 말한 바 있다. 그러기 때문에 다른 곳보다 더 상세하게 언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물론 지금 올리는 글들이 완성편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적어도 기본적인 방향만은 확실하게 제시한다는 것만은 자신있게 말씀 드릴 수 있다.
왜냐하면 지부경과 비교하면서 풀기 때문에 잘 못 될 확률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지부경에는 천일관오칠, 지일관사팔, 인일관육구라고 하였으니, 천부경의 오칠일묘연이 선명하게 드러나기 마련이다. 이걸 제대로 이해하려면 다음의 숫자를 잘 살펴보라.
始 - 씨, 뿌리 |
天始 1 |
地始 2 |
人始 3 |
中 - 줄기, 꽃 |
天中 4 |
地中 5 |
人中 6 |
終 - 열매 |
天終 7 |
地終 8 |
人終 9 |
천시 1은 지중 5의 밭에서 6으로 자라야 하고, 지시 2는 반대로 천중 4의 밭에서 6으로 자라난다. 인시 3은 스스로 3이 더하여 6으로 자란다. 이처럼 시 - 중의 관계에서는 천지가 서로 어긋맞겨 생장한다. 열매를 맺는 것도 마찬가지다. 천중 4는 지종 8을 통하여 그 모습을 32상으로 나타내며, 지중 5는 천종 7을 통하여 그 상태를 35仙數로 나타내고, 인간은 인중 6과 인종 9를 통하여 54염주로 그 모습을 드러낸다.
이걸 다른 각도에서 더 살펴보자. 예의 수박을 가르면서 살펴보는 게 좋겠다. 수박을 한 번 가르면 한 개의 선이 생기는데 이를 가리켜 天一一이라 하고, 두 조각은 地一二라 하며, 이걸 다 합한 상태를 人一三이라 한다.
두 번째로 수박을 가르면 네 개의 조각이 생기는데 이것이 天中 4가 되고, 두 개의선이 합한 十字가 생기니 4방과 중심이 합한 5가 나오니 이는 地中 5가 된다. 하늘씨앗은 본래 1양(홀)인데 그것은 음과 만나야 하므로 4를 만나 天中으로 된 것이며, 땅의 형상은 2음(짝)인데 그것은 양과 만나야 하므로 5를 만나 地中이 된 것이다. 인간은 스스로 천지인을 다 갖추어야 하니 1, 2, 3을 합한 6으로 人中이 된 것이다.
달리 말하면 하늘씨앗(天1)은 땅의 밭(地中) 5에 뿌려져 6이 되는데, 이것이 곧 人中의 성격이다. 또한 땅의 씨(地2)는 하늘 밭(天中) 4에 심겨져 6이 되니 이것도 역시 人中의 성격을 그대로 보여준다. 즉, 6은 천지의 씨앗이 천지의 밭에 뿌려진 상태가 된다는 뜻이다. 인간은 인간의 씨(3)가 스스로 3단으로 변화하므로 3 + 3 = 6이 된다. 6에는 이처럼 깊은 이치가 들어 있다. 이것이 대삼합육의 의미다.
세 번째로 수박을 가르면 8개의 조각이 생기니, 이것은 땅의 씨앗이었던 2가 본래 자신의 속성대로 음에 속하는 열매를 맺어야 하기 때문에 8이라는 음(짝)으로 나타난 것이며, 무형의 선은 표면에 여섯 개의 十字와 중앙의 十字를 합한 7 十字로 나타났으니, 이는 곧 무형인 하늘의 씨앗 1이 무형인 홀(양)수로 열매를 맺은 것이다. 9라는 숫자는 세 개의 선이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니, 한 개의 선에는 각기 ‘시 - 중 - 종’이라는 3변을 하게 마련이므로 이를 도합 하면 9가 된다. 즉, 온전한 인간의 열매는 천지의 중심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4 + 5 = 9가 되어야 한다.
하늘은 본래 어둠을 가르는 빛이었으므로 7성이라는 열매를 맺어 빛을 발하고, 땅은 본래 음양을 씨앗으로 한 것이므로 유형적인 8괘를 열매로 맺으며, 인간은 본래 3신의 싹으로 나온 것이므로 그것이 6을 뒤집어쓰면 9규(九竅)가 모두 막힘이 없으니 이를 九天, 혹은 九宮이라고 부른다. 9궁이 통하면 모든 게 다 열린 상태가 되므로 비로소 ‘열 十’이라고 하게 된 것이다.
이상, 시 - 중 - 종이라는 3변을 통해서 수리를 살펴보았는데, 시작은 반드시 一로 머리를 들고, 중간은 十字가 되며, 마지막은 大十字가 된다는 걸 잊으면 안 된다. 十字에는 가운데 음양이 하나 된 중심점이 있고, 그 중심점이 흘러가는 네 개의 선이 있으니 이를 4상이라 한다. 그 중심에 있는 한 점을 가리켜 5라고 하는데, 흔히 말하는 5행은 이를 가리킨다.
十字는 여섯 군데(六合)로 벌어지므로 4상이나 5행은 여섯 군데와 불가분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수박을 두 번 가른 선이 네 개로 갈라진 것이 4상이니, 본래 線은 무형인 하늘을 가리킨 것인데 그로 인해 4가 생겼으므로 4를 가리켜 天中 數라고 한다. 이에 반해 두 번 가른 수박의 네 조각은 4상이라 한다. 이처럼 같은 4이지만 천중 수와 4상이라는 양면이 있다는 것도 놓치면 안 된다. 천중 수 4와 4상의 한 중심에 있는 한 점을 가리켜 5행이라고 한다.
* 중복 된 것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날마다 새로운 것이 드러나기 때문에 그걸 다시 정리하다 보니 그렇게 되는군요. 완성된 문장이 아니라는 걸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