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팔괘 이야기 35 - 괘상의 변화

영부, 精山 2012. 11. 30. 09:14

문왕도에서 건괘는 서북방 술해지간으로 이동하여 6건천으로 자리를 잡는다. 그러기 때문에 지금도 풍수학에서는 서북방을 가리켜 ‘건방(乾方)’이라고 한다. 복희도의 1건천 가장 높은 곳에서 가장 낮은 곳으로 떨어졌다고 하여 지금도 ‘건방지다’, 혹은 ‘건방진 놈’이라는 말을 한다. 그 반대로 곤괘는 가장 낮은 곳에 있다가 서남방 높은 곳으로 올라가니 이는 얼굴에 ‘곤지’를 바르는 것과 같다. ‘연지곤지 바르다’는 말은 이를 가리킨 건 아닐까? 또한, 곤괘는 땅의 물질을 가리키고, 그 대표적인 것은 ‘밥’이므로 ‘밥알이 곤두서다’고 하였다. 즉, 곤의 머리인 곤두는 일어서고, 건방은 지는 법이므로 건방을 떨어서는 안 된다는 말이 나왔다.

 

복희도의 1건천에서 하강하기 시작한 음은 2태소녀와 3리중녀를 거쳐 5손풍에 이르러 마침내 땅에 음기가 발를 디뎠다. 반대로 8곤지에서 마지막 생긴 7간소남은 6감중남을 겇 4진뢰장남에 이르러 하늘에 양기를 접목시켰다. 이처럼 음기는 동남방에서 하강을 시작하고, 양기는 서북방에서 자라나기 시작한다. 그렇다면 왜 문왕도에서는 건괘가 6건천이 되어 서북방 7간산이 있던 곳으로 하강을 하고, 곤괘는 2곤지가 되어 서남방 5손풍이 있던 곳으로 상승을 하게 된 걸까?

 

이에 대한 코쿤님의 답은 <땅에서 가장 나중에 태어난 양이지만 하늘에서 볼 때는 제일 먼저 땅에 접속한 양이며, 서북방은 戌亥之間으로 음이 끝나는 곳이므로 복희도의 7간산으로 6건천이 들어가는 것입니다. 이를 本乎天者親上이라 하는데, 본래 하늘은 산과 친하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역학에서는 3음3양이 종합했다하여 始於艮終於艮이라고도 합니다.

한편, 곤토는 본래 음토이기 때문에 2라는 음화를 품고 있고 형상적으로 음이 시작하는 괘상은 손괘이지만 실제로 형상이 발아하는 것은 흙이 품고 있는 온기의 작용이므로 서남방 손괘가 있는 곳으로 2곤지를 배치하게 된 것입니다. 이를 본래 땅은 바람과 친하다고 하여 本乎地者親下라고 합니다.>는 것이었다.

 

本乎天者親上은 ‘본래 하늘은 위로 오르는 데에 익숙하다’는 뜻이며, 本乎地者親下는 ‘땅은 밑으로 내리는 데에 익숙하다’는 말이다. 이 문구는 코쿤님의 답과 같은 뜻도 있으나, 다른 뜻도 들어 있다. 첫째, 복희도의 가장 높은 1건천 하늘로부터 음(땅)은 하강하기 시작한다고 하였으니, 2태택, 3리화, 4진뢰 ~ 7간산, 8곤지의 순서로 하강하는 것은 本乎地者親下에 해당한다. 또한, 반대로 8곤지에서 7간산 ~ 1건천으로 상승하는 것은 本乎天者親上에 해당한다. 둘째, 本乎地者親下라고 하였으니 ‘하늘 밑에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음’이라고 본다면 그건 당연히 손괘(☴)다. 반대로 本乎天者親上이라고 하였으니 ‘땅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양’이라고 본다면 그건 당연히 간괘(☶)다. 그러므로 하늘을 가리키는 건괘는 복희도의 7간산이 된 것이요, 땅을 가리키는 곤괘는 5손풍으로 들어갔다. 이것은 코쿤님의 답과 일치한다. 마지막 셋째, 건노부 - 진장남 - 감중남 - 간소남의 순서로 건천이 상승하는 것도 本乎天者親上이며, 곤노모 - 태소녀 - 리중녀 - 손장녀의 순서로 곤지가 하강하는 것도 本乎地者親下는 현상이다.

 

오늘의 주제

건노부 - 진장남 - 감중남 - 간소남의 순서로 건천이 상승하는 것도 本乎天者親上이라면, 곤노모 - 손장녀 - 리중녀 - 태소녀의 순서라고 해야 짝이 맞는 게 아닌가? 그런데, 왜 곤노모 - 태소녀 - 리중녀 - 손장녀의 순서로 나타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