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팔괘 이야기 56

영부, 精山 2012. 12. 24. 10:04

 

 

복희도의 동북방 4진뢰는 형상이 드러나기 시작하는 곳이며, 동남방 2태택은 형상이 극성한 곳이다. 이와는 반대로 서남방은 형상이 지기 시작하는 곳이며, 서북방은 완전히 형상이 사라지는 곳이다. 형상이 드러나기 시작하는 곳에 진괘를 배치한 것은 그만큼 형상이 일취월장으로 드러나기 시작한다는 뜻이고, 형상이 극에 이른 곳에 태괘를 배치한 것은 어두운 음의 형상이 마지막으로 밀린 모습을 괘상으로 나타냈기 때문이다. 또한 형상이 지기 시작하는 곳에 손괘를 배치한 것은 양이 없어지고 음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하기 때문이며, 서북방에서는 온전하게 양이 사라지고 음이 극성을 띠기 때문이다.

 

이처럼 복희도는 어디까지나 음과 양의 형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문왕도에 이르면 형상이 아니라 변화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그 양상이 사뭇 달라진다. 복희도는 4상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태양을 기준으로 한 건과 태는 1과 2라는 숫자를 붙이고, 소음을 기준으로 한 리괘와 진괘는 3과 4라고 하였으며, 소양을 기준으로 한 손과 감은 5와 6이라고 하였고, 태음을 기준으로 한 간괘 곤은 7과 8이라는 숫자를 붙였다.

 

하지만 5행을 기준으로 한 문왕도는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5행을 위주로 한다 함은 곧 변화를 위주로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1 다음의 2는 서로 다른 종류가 와야 하며, 3과 4도 역시 다른 종류가 되어야 한다. 즉 복희도의 1과 2, 3과 4, 5와 6, 7과 8은 같은 종류의 4상이었으나, 문왕도의 1과 2, 3과 4는 서로 다른 종류끼리 짝을 맺어야 한다. 다른 것끼리 짝을 맺는 걸 가리켜 ‘상극(相剋)’이라고 하였다.

1水는 4金과 만나면 金生水가 되지만, 2와 만나면 水克火를 이룬다. 이런 걸 나타내는 것이 바로 문왕도의 북방 1감수가 왼편으로 제일 멀리 상승을 하면 4손풍이 있고, 오른편으로 상승을 한 극에는 2곤지가 자리를 잡았다. 반대로 남방 9리화가 왼편으로 하강한 극에는 8간산이 있고, 오른편으로 하강한 극에는 6건천이 있다. 즉, 왼편, 오른편으로 상승과 하강을 하면서 상생과 상극의 관계를 유지하려고 한 것이 문왕도다.

 

이처럼 8괘를 보는 각도는 다양하다.

 

오늘의 주제

문왕도에서의 7태택은 용담도에서는 4태택으로 변한다. 장소는 같은데 숫자만 변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또한 그 의미는 무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