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희도의 2태택은 1건천과 상대적인 형상을 가리킨다. 즉 가장 단단한 동남방에서 음이 시작하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순양으로 이루어진 1건천의 음, 즉 태음을 의미한다. 문왕도의 7태택은 서방으로 이동하였으니, 이는 금화교역한 상태를 가리킨다. 태괘는 본래 1건천과 더불어 단단한 金이니, 5행으로는 서방에 배치해야 한다. 金중에서도 음에 속한 것이니 4태금이 되어 정서방에 위치해야 한다. 하지만 그 과정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7태택이다. 금은 불의 연단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본래 동남방 2태택에는 불의 기운이 많이 내포한 상태였다. 복희도의 7간산은 8곤지와 상대적인 형상을 가리킨다. 즉 땅에서 가장 부드러운 음과 대조적인 양을 가리킨다. 땅에서 가장 부드러운 것은 대지다. 그것은 수평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런 수평에서 대조적으로 우뚝 솟은 양은 바로 山이다. 그걸 7이라고 한 것은, 어두운 밤(8곤지)을 밝히는 양이 7성이기 때문이다. 간괘는 우뚝 솟은 흙이므로 陽土에 속한다. 土는 木이 있어야 풍요롭다. 그러므로 언젠가는 반드시 정동방의 木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그것을 가리킨 것이 용담도의 8간산이다. 하지만 그렇게 되기까지의 과정이 있어야 하니, 그것이 바로 문왕도의 동북방 8간산이다. 복희도의 8은 가장 부드러운 곤괘였으나, 문왕도의 8은 오행의 陰木을 가리킨다. 八이란 글자에서 보는 것처럼, 모든 걸 다 밝게 드러내는 상징이니, 이는 곧 겉으로 온전힌 드러난 木을 의미한다. 그것은 용담도의 정동방에서 이루어질 일이요, 과정에 속하는 문왕도에서는 새싹이 드러나며 기운이 팽창하는 동북방에 자리를 잡는다.
오늘의 주제
복희도의 4진뢰와 5손풍은 왜 문왕도의 동방과 동남방에서 각기 3진뢰와 4손풍이 되었으며, 그것은 장차 용담도의 5진뢰와 7손풍과 무슨 연관성이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