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7강 익자삼우 손자삼우 5

영부, 精山 2013. 1. 19. 08:38

이처럼 十에 도달하는 일이야말로 모든 생명의 지향점(指向點)입니다. 우리의 아리랑도 역시 ‘십리도 못 가서 발 병 난다’고 하였으니, 그것은 十理(十里)를 상징합니다. 낙서에서 굳이 상극의 이치를 밝힌 것은, 이와 같은 十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10에 이르기 위해서는 결코 혼자서 되는 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반드시 아홉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그래서 낙서에서는 아홉 개의 숫자가 등장합니다.

하도를 풀이한 복희도를 보면 1에서 8까지 여덟 개의 숫자가 나오는데, 그것은 7에서 9를 이어주는 역할을 의미합니다. 7은 우주라는 수박을 세 번 갈라서 생긴 중심의 大十字입니다. 즉 7이라는 숫자는 우주만물의 핵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순음(8곤지)과 순양(1건천)이 3음(2태택, 3리화, 5손풍)과 3양(4진뢰, 6감수, 7간산)의 변화를 따라 이루어진 것이니, 이를 가리켜 천부경에는 ‘大三合六’이라 하였으며, 그로 인해서 생긴 복희8괘는 7에서 9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하는 걸 가리켜 ‘生七八九’라고 하였던 것입니다. 이처럼 8괘의 이치를 모르고서는 천부경을 온전히 이해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입니다.

복희8괘가 9로 이어주는 가교라고 하는 까닭은, 복희도의 마주 보는 네 괘의 숫자를 합하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1건천과 마주하는 8곤지의 합이 9요, 2태택과 마주하는 7간산의 합도 9이고, 3리화와 마주하는 6감수의 합도 9이고, 4진뢰와 마주하는 5손풍의 합도 역시 9가 됩니다. 이처럼 복희도는 비록 괘는 8에 지나지 않지만, 9수를 만들고 있으며, 낙서는 중심까지 합한 9궁이지만, 10수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처럼 낙서가 10을 만들어내는 걸 가리켜 천부경에서는 ‘一積十鉅’라고 하게 된 것입니다. 一積의 一은 天一, 地一, 人一이라는 三一을 가리킨 것으로, 음과 양은 다 같이 三一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 둘을 합하면 ‘大三合六’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三一이 하나로 쌓이면 반드시 十字가 되기 때문에 ‘一積十鉅’도 역시 필연적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것이 있으니, 그것은 낙서의 수에 배치한 문왕도의 괘상입니다. 숫자로만 본다면 분명히 북방수 - 서방화 - 남방금 - 동방목 - 중앙토의 순서로 상극을 하고 있지만, 괘상으로 본다면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북방의 감괘는 본래 水이므로 1감수라고 하였지만, 그와 마주하는 남방의 리괘는 火인데도 불구하고 9라는 숫자를 붙였습니다. 5행으로 9는 火가 아니라 金이라고 해야 합니다. 또한, 서북방의 6건천은 본래 乾金인데도 6水라고 하였고, 그와 마주하는 동남방의 손괘는 巽木인데도 4金이라고 하였으며, 서방의 태괘도 본래 兌金이지만 7火라고 하였고, 동북방의 간괘는 艮土이지만 8木이라고 하였습니다. 오직 정동방의 진괘만 震木에 맞는 3木이라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북방 1감수와 동방 3진뢰만 본래의 5행대로 배치했습니다.

그러므로 숫자의 5행으로는 분명 우선을 하면서 상극의 관계이지만, 괘상으로 보면 북방에서는 1감수, 6건금가 金生水를 하고 있으며, 서방에서도 역시 7태금, 2곤토로 土生金을 하며, 남방도 역시 9리화, 4손목으로 木生火를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북방에서는 水를 만들고, 서방에서는 金을 만들며, 남방에서는 火를 만들면서 상생을 고 있는 것이 문왕도의 괘상입니다. 유일하게 동방에서만 3진목과 8간토가 木克土로 상극을 하고 있으니, 그것은 동방에서부터 모든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동방은 태양이 비치는 곳이니, 모든 형상의 변화도 그곳에서 출발합니다.

이처럼 상극의 법칙을 숫자(5행)와 괘상(4상)이라는 양면으로 보아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5행에만 치우쳐서 보고 있기 때문에 천부경을 위시한 모든 이치가 제대로 풀리지 않습니다. 이렇게 양면으로 볼 적에 비로소 복잡한 문왕도의 신비가 풀리게 되는데, 지금부터 그걸 살피도록 하겠습니다. 문왕도의 상하에는 1감수와 9리화라는 水火가 자리를 잡고 있는데, 水火는 괘상으로 본 것이지, 만약 5행의 숫자로 본다면 9리화는 9金이라고 해야 합니다. 숫자 1의 끝은 9입니다. 즉, 문왕도의 남북으로 기준을 삼아 동서를 나누는 데에는 두 가지의 이치가 있다는 뜻입니다. 첫 번째는 水火라는 4상으로 본 것인데, 水와 火는 서로 자극을 주면서 이루어진다는 걸 일러줍니다. 두 번째는 1과 9라는 숫자로 본 것인데, 그것은 합하여 10을 이루기 위한 9변을 가리킵니다. 서북방의 건괘와 동남방의 손괘는 괘상으로 보면 金과 木이라는 상극이니, 이 역시 금과 목은 서로 자극을 주면서 변화 한다는 걸 말해주고 있습니다. 숫자로 보면 4와 6이 합하여 역시 10을 이루기 위한 9변을 한다는 말을 해주고 있습니다. 다음, 동방의 진괘와 서방의 태괘도 역시 괘상으로 보면 금극목의 관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숫자로 본다면 역시 3과 7이 합하여 10을 이루기 위한 9변을 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서남방의 곤괘와 동북방의 간괘는 괘상으로 보면 둘 다 土이니, 유일하게 상극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곧 그곳이야말로 음양으로 치우치지 않은 조화와 균형을 상징하고 있음을 말해 줍니다. 숫자로 본다면 역시 2와 8이 합하여 10을 이루기 위한 9변을 한다는 걸 말해 줍니다.

이처럼 문왕도의 숫자는 10에 도달하는 9변의 과정을 가리키고 있는데, 그걸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낙서 9궁 변화도)

1차궁

2차궁

3차궁

4차궁

5차궁

6차궁

7차궁

8차궁

9차궁

1감수

1

2

3

4

5

6

7

8

9

2곤지

2

3

6

1

5

9

4

7

8

3진뢰

3

6

9

2

5

8

1

4

7

4손풍

4

1

2

7

5

3

8

9

6

5중앙

5

5

5

5

5

5

5

5

5

6건천

6

9

8

3

5

7

2

1

4

7태택

7

4

1

8

5

2

9

6

3

8간산

8

7

4

9

5

1

6

3

2

9리화

9

8

7

6

5

4

3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