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건 땅이건 4상을 기본으로 한다.
4라는 숫자는 만물의 象을 가리킨다고 하여 4상이라는 용어가 생겼다.
즉 4라고 하면 상을 상징한다는 걸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
그러면서도 하늘의 상은 무형이요, 그걸 형상적인 상태로 드러내는 곳이 땅이다.
따라서 하늘의 상과 땅의 상은 그 성격이 다르다.
그래서 예부터 하늘을 그대로 비춰주는 곳을 땅이라고 보아서 땅을 거울이라고 하였다.
땅을 가리켜 方이라고 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집에서도 무언가 안전하게 보관하는 곳을 房이라고 부르면 方으로 짓는 것도 다 같은 맥락이다.
하늘에서 순양의 상이 모인 걸 1건천이라고 했다면, 그 속에서 생긴 최초의 음을 2태택이라고 한다.
순양 속의 음이라고 하여 2태택은 태음이라고 한다.
하늘 4상에는 1건천 태양과 3리화 소양이라는 두 개의 양이 있고, 2태택 태음과 4진뢰 소음이라는 두 개의 음이 있다.
태양과 소양, 태음과 소음 - 이 들의 차이는 무엇일까?
이런 것은 상당히 중요한 것인데도 별로 언급하지 않고 있으니 이상한 일이다.
1건천은 태양은 순양으로만 이루어졌으니 아무런 변동이 없다.
이에 반해 3리화 소양은 하강하는 음과 상승하는 양이 격렬하게 부딪치는 형국이다.
2태택 태음도 역시 별로 변동이 없는데 반해, 4진뢰 소음은 아주 격렬한 형국이다.
이런 걸 염두에 두고 하늘의 2태택 + 4 = 6감수로 되었는가를 생각해 보자.
1건천은 순양의 기운이 4상을 터전으로 하여 땅에 생긴 최초의 땅의 상이다.
순양은 아무런 틀이 없다.
그러기에 땅의 상 중에서도 가장 자유롭고 분방한 상태를 지니게 마련이다.
그것을 가리켜 5손풍이라고 한 건 당연한 일이다.
그렇다면 4상을 터전으로 하여 2태택 태음은 땅에서 어떤 상태의 상을 만들어낼까?
태음은 습기다.
습기가 땅에 고이면 물이 될 건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래서 6감수라고 한다.
오늘의 주제
왜 태양은 1이라 하고, 태음은 2라 하며, 바람은 5가 되고, 물은 6이라고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