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팔괘 이야기 99

영부, 精山 2013. 2. 14. 08:55

7간산은 4상을 터전으로 하여 3리화가 땅에서 구체적인 물상으로 나타난 상태를 가리킨다.

8곤지는 4진뢰가 구체적인 물상으로 땅에서 나타난 상태다.

3리화와 4진뢰는 4상에서 소양과 소음으로 보는데, 이것은 4상 중의 태양과 태음의 중도를 가리킨다.

태양의 양효와 태음의 음효를 하나 씩 취하여 표기하면 4상의 소음과 소양이 된다.

그것이 8괘에 이르면 소음은 하늘의 4상인 3소양 리괘와 4소음 진괘로 갈라지고, 소양은 땅의 4상인 5소강 손풍과 6소유 감수로 갈라진다.

 

4상에서 소음은 밑에서는 양이 상승하고, 위에서는 음이 하강하는 형태이므로 교류가 활발하다.

반대로 소양은 양은 위에서 상승하고, 음은 밑에서 하강하고 있으니 교류는 찾기 힘들고 서로 멀어진다.

 

복희도에서는 1과 2가 상대적이며, 3과 4가 상대적이다. 또한 5와 6이 상대적이고 7과 8이 상대적이다.

이것은 하도의 원칙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하도에서도 북방 1과 남방 2가 상대적이며, 동방 3과 서방 4가 상대적이다.

다만 하도는 중심에서 5와 10이 상대적이지만, 복희도는 중심이 비었기 때문에 5와 6이 상대하고 7과 8이 상대하는 걸로 나온다.

 

복희도의 1건천과 2태택은 애초부터 순양이란 극으로 치우친 것을 바탕으로 삼았으니 변동을 상징하는 건 아니다. 그러기에 하늘과 못이라고 하였다. 둘 다 변동이 별로 없지 않은가?

그것은 순음을 바탕으로 나온 7간산과 8곤지도 동일하다. 대지와 산은 별로 변동이 없다.

 

그러나 3리화와 4진뢰는 변동이 심하다. 그것은 땅의 물상인 5손풍과 6감수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모두 음과 양이 조화한 중도라는 공통점이 있다.

 

오늘의 주제

불은 소음을 바탕으로 삼고, 물은 소양을 바탕으로 삼았다. 소음과 소양을 연계해서 물과 불의 의미를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