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5에는 다양한 뜻이 들어 있는데, 그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구구단 중의 5단이다.
5 × 1 = 5 |
근원적인 5(하도 중심의 백점 5) |
5 × 2 = 10 |
음양으로 나누어진 5 - 10천간 |
5 × 3 = 15 |
3극으로 나누어진 5 - 15진주 |
5 × 4 = 20 |
4상을 이루는 5 - 4상의 합 |
5 × 5 = 25 |
5가 최대한 벌어진 수 - 양(1, 3, 5, 7, 9)의 합 |
5 × 6 = 30 |
5행 속의 6기 - 3신의 완성 |
5 × 7 = 35 |
5행이 내면에서 가장 밝아진 상태 - 조화 仙數 |
5 × 8 = 40 |
5행이 8방으로 벌어진 수 - 天文수 40 |
5 × 9 = 45 |
5행이 9궁에 충만한 수 - 極圖本 |
하도의 중심에는 15眞主가 있다는 건 앞에서 말한 바 있다.
* 하도의 음양
하도는 음양오행을 기본으로 한다. 흑점은 음으로 백점은 양으로 본다. 흑점을 음으로 보는 것은 아무래도 검은 색은 어둡기 때문이고, 흰색은 밝기 때문이리라. 그리고 흑점은 전부 짝수이고, 백점은 전부 홀수로 되어 있다는 사실로 그런 것은 확실해진다.
홀수는 말 그대로 ‘홑(單)’을 가리키며, 짝수는 ‘상대적’임을 의미한다. 홀수는 상대적인 상태를 가리킨 게 아니다. 상대적이라 함은 표면으로 드러난다는 의미이다. 홀수는 그런 짝수의 중심에 위치한다. 그러기에 1, 3, 5, 7, 9는 모두 사물의 중심을 상징하며, 2, 4, 6, 8, 10은 사물의 표면을 상징한다.
사물의 중심에 있다 함은 변화를 위주로 한다는 뜻이며, 사물의 표면에 있다는 것은 변화의 결과인 형상을 가리킨다. 홀수를 양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것이 변화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변화는 무형적인 것이므로 내면에서 벌어진다. 그러나 그것은 언젠가는 반드시 겉으로 드러나게 마련이다. 표면으로 드러나면 물질을 취하게 마련인데, 그것은 자기 자신이 스스로 알아서 변하는 게 아니라, 반드시 내면에 있는 무형의 기운에 의해서 변한다. 이처럼 물체의 표면에 나타나는 형상은 능동적이 아닌 수동적인 속성이므로 당연히 음이라고 한다. 이에 반해서 내면에서부터 표면의 형상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양이라고 한다.
음은 정(精)을 저장하여 빨리 일어날 수 있게 하는 것(陰者藏精而起亟也)이고, 양은 밖을 호위하여 굳건하게 하는 것(陽者衛外而爲固也 - 生氣通天論)이다. 쉽게 말하자면 음은 안에서 살림을 잘하여 흥하게 하는 아내이고, 양은 밖에서 가정을 잘 지키는 남편이라고 하면 될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앞에서 양(홀수)은 내면에서 변화를 주도하고, 음(짝수)은 밖에서 드러나는 물질적인 형상을 가리킨다고 한 것과는 전혀 다른 설명처럼 보인다. 즉, 양은 밖에 있는 법인데, 내면에 있다고 하였으며, 반대로 음은 내부에 있는 법인데, 외부에 있다고 하였으니 혼동이 올 것이다. 일반적인 통념으로는 음은 속으로 들어가고, 양은 밖으로 나와야 하는 게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