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문 닫은 기계식 주차장, 주차난 가중 '주범'

영부, 精山 2013. 3. 30. 09:31

문 닫은 기계식 주차장, 주차난 가중 '주범'

유지 부담에 상당수 폐쇄…"행정기관서 적극 대응해야"연합뉴스|입력2013.03.30 08:34

유지 부담에 상당수 폐쇄…"행정기관서 적극 대응해야"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30일 울산시 중구의 한 병원의 지하주차장. 10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철골 구조의 기계식 주차장은 텅 비어 있었다.

주차공간에는 세탁물함이나 쓰레기 분리수거함이 놓여 있었다. 관리원은 없고 조작함도 잠겨 있었다. 현재 사용되지 않는 주차장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주차장 입구와 출구에는 '주차장은 신삼호교 밑'이라는 표지판이 붙어 있었다. 출구로 나가니 실제로 교량 아래 무료 공영주차장으로 연결됐다.

이 건물은 시설면적에 따라 총 11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부설주차장을 갖춰야 한다. 병원은 그 가운데 10대를 기계식 주차장으로 확보했다.

그러나 정작 그 주차공간을 폐쇄한 채 공공시설인 공영주차장을 전용 주차공간으로 활용하는 셈이었다.

이 병원의 한 관계자는 "기계식 주차장에 대한 이용자 불편이 높고 마침 인접한 곳에 넓은 주차공간이 있어 환자와 방문객을 (공영주차장으로) 안내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는 지하주차장도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남구 신정동의 한 7층짜리 건물도 마찬가지였다.

주차타워 형태의 기계식 주차장 입구는 열려 있다. 그러나 안쪽에는 쓰레기만 널려 있었다. 조작스위치 전원은 꺼져 있었다. 주차장 입구를 막고 차량 2대가 주차돼 있었다. 7층짜리 상가건물에 다른 주차장은 없었다.

효율적인 주차공간 확보를 위해 도입된 기계식 주차장이 상당수 제대로 사용되지 않으면서 일대 주차난만 가중시키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장은 1980년대 말부터 우후죽순으로 늘었다. 제한된 면적에 더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특히 건축허가를 얻을 때 의무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부설주차장 조건을 충족시키기에 쉬워 건축주들이 선호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계식 주차장을 사용하기 어렵거나 아예 폐쇄된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런 경향은 오래된 건물일수록 더 자주 확인된다.

잦은 고장, 전기료 부담, 차량 파손, 관리원 고용 등의 부담으로 건물주가 사용을 꺼리기 때문이다.

작년 말 기준 울산지역의 기계식 주차장은 총 612개 9천176면 규모다.

자치단체는 미흡한 규정을 내세우며 '수박 겉핥기' 식의 점검만 벌여 사실상 편법을 방치하고 있다.

각 구·군청의 교통 관련 부서가 정기검사와 용도 유지 등 기본적인 사항만 요식적으로 점검하는 것이다.

중구의 한 관계자는 "연간 1번씩 점검을 벌이는데 주차장 폐쇄, 물품 적치, 검사 미필, 용도 변경 등이 아니라면 사용 여부만으로 행정처분을 할 근거가 없다"면서 "다만 건물주에게 주차장 사용을 해달라는 당부는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행정기관 내부에서도 관리에 내실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초단체 건축부서의 한 관계자는 "기계식 주차장을 방치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건축허가를 위한 구색 맞추기를 행정이 인정하는 셈이 된다"면서 "주차행정과 건축물의 제 기능을 위해서라도 행정기관이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