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 상생과 상극 19 - 금화교역

영부, 精山 2013. 5. 9. 09:09

                                                   상극(相克)

 

                                                    * 금화교역

 

상극은 금화교역에서 발생한다. 금화교역은 하도의 서방에 있던 4,9금과 남방에 있던 2,7화가 서로 자리를 바꾸기 때문에 붙은 용어다. 이렇게 교역을 하게 되면 북방 1, 6수의 오른 쪽으로 2,7화가 자리를 잡고, 하도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순환을 한다. 하도는 북방 1,6수에서 동방3,8목, 남방 2,7화, 중앙 5,10토, 서방4,9금의 순서로 수 - 목 - 화 - 토 - 금이라는 상생의 순서로 돈다. 이에 반해 낙서는 수 - 화 - 금 - 목 - 토의 순서로 상극을 하게 되는데, 이 모든 것의 원인은 바로 금화교역이다.

 

역학에서는 이를 두고 ‘氣東北而固守理西南而交通’한다고 하였다. 기는 동북에서 그 자리를 고수하고, 리는 서남방에서 교통을 한다는 말인데 도대체 무슨 이유와 의미가 있을까? 금화교역은 위의 문구를 적용해서 본다면 ‘理西南而交通’에 해당한다. 氣가 동북방에서 자리를 고수한다고 한 것은, 문왕도의 동방 3진목과 8간산이 있고, 북방에는 1감수와 6건천이 배치된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서남방에는 4손풍과 9리화가 남방에 들어가고, 서방에는 2곤지와 7태택이 들어갔으니 이를 가리켜 ‘이서남이교통’했다고 한다.

 

그런데 왜 동북방에서는 氣라고 하였으며, 서남방에서는 理라고 했을까? 理氣는 사실 어느 곳이건 없는 곳이 없지 않은가? 그런데도 굳이 동북방에서는 氣가 주관을 하고, 서남방에서는 理가 주관을 한다고 한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동북방은 生長을 위주로 한다. 그걸 상징하는 숫자가 1水와 3木이다. 한참 자라나는 아이들에게는 이성(理性)보다 기운(氣運)이 필요하다. 이성은 형상이 다 자란 어른들에게 어울린다. 서남방은 생장이 멈추고 대신 열매를 맺기 시작한다. 열매는 원시반본하는 상태를 가리키는데, 그것은 결국 이성을 회복한다는 말이다.

 

이런 이치에 의해서 서남방에서는 理가 주관을 한다. 그런데 왜 그 理는 교통을 해야 할까? 우선 무엇이 어떻게 변한 것인지 정밀 진단을 해 보자. 그냥 막연하게 金火가 교역했다고만 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金에는 4금도 있고 9금도 있으며, 火에도 역시 2화도 있고 7화도 있기 때문이다. 이중에서 도대체 어느 금과 화가 교역을 했다는 걸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7과 9가 교역을 했다. 물론 2와 4도 서로 자리를 바꾼 건 사실이다. 하지만 낙서와 문왕도 자체가 본래 양(陽)의 변화를 위주로 한 것이라는 점을 간과하면 안 된다. 그러기에 2와 4라는 음도 변화를 하긴 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보조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은 동북방에 있는 기(氣)도 마찬가지다. 그 자리를 고수하는 것은 양수 1과 3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음수 6과 8은 보조적인 역할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것은 문왕도의 정남방에 9가 들어가고, 정서방에는 7이 들어간 것으로 입증이 된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남방의 9는 離火라고 하며, 서방의 7은 兌金이라고 한다는 사실이 확실한 증언을 한다. 9는 5행으로 金이면서 괘상으로는 火라고 하니 金과 火가 한데 함께 한 상태다. 또한 7도 5행으로는 火이지만 괘상으로는 金이 되니 이 역시 金과 火가 한데 섞였다.

 

사실 괘상으로만 본다면 문왕도는 금화교역이 된 상태라고는 할 수 없다. 남방의 9리화는 괘상으로는 火이니 당연히 남방에 있고, 서방의 7태택은 괘상으로는 金이니 당연히 서방에 있는데, 어찌 금화교역을 했다고 할 수 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화교역을 했다고 하는 근거는 어디까지나 숫자의 5행이다. 이처럼 금화교역은 괘상의 5행이 아닌 숫자의 5행을 근거로 나왔다는 걸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