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전통적인 복희 8괘와 간지에서는 위와 같은 견해로 보지 않는다. 그것은 크게 두 가지로 보고 있는데, 첫 번째는 <건금갑자, 곤토을미, 간토병진, 태금정사, 감수무인, 리화기묘, 진목경자, 손목신축>이요, 두 번째는 <9경건, 4신태, 7병리, 2정진, 3갑손, 8을감, 1임간, 6계곤>이다.
☰갑자 ☱정사 ☴신축 ☲기묘 ☵무인 ☳경자 ☶병진 ☷을미 |
☰9庚 ☱4辛 ☴3甲 ☲7丙 ☵8乙 ☳2丁 ☶1壬 ☷6癸 |
왼편의 경우는 서로 마주 하는 괘를 하나로 묶어서 본 것인데, 건곤은 甲乙로 묶고, 간태는 丙丁으로 묶고, 감리는 戊己로 묶고, 진손은 庚辛으로 묶었다. 그리고 지지로는 건곤을 子未로 묶고, 간태를 辰巳로 묶고, 감리를 寅卯로 묶고, 진손을 子丑으로 묶었다.
오른편의 경우는 4상(, , , )을 바탕으로 본 것이니, 은 단단한 양으로만 이루어졌으므로 그것을 바탕으로 한 ☰은 양금이 된다고 보아 ‘9庚건금‘이라 하고, ☱는 음금이 된다고 보아 ’4辛태금‘이라고 하였다. 는 上陽下陰으로 활발한 교류를 하는 상태이므로 동방에 배치를 하였다. 그것을 바탕으로 한 양괘인 ☲는 ’7丙리화‘라 하고, 음괘인 ☳는 ’2丁진목‘이라고 하였다. 진괘는 陽木이지만 본래 음기가 더 많은 것이므로 ’2丁‘이라고 하였다.
은 上陽下陰의 형국이니 이는 음과 양이 서로 부딪칠 것도 없이 서로 멀리 떨어지는 형국인데, 하늘로 올라가려고 하는 것은 양괘인 ☴이라 하고, 땅으로 내려가려고 하는 것은 음괘인 ☵이 되었다. ☴은 본래 5행으로 陰木에 속하는 것이지만, 양이 더 많기 때문에 ’3甲‘이라고 하였다. 음괘인 ☵는 5행으로 水에 속하는데, ’8乙감수‘라고 한 것은 8이라는 숫자가 형상의 마지막(衰陰)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8이라는 숫자는 노쇠한 음이지만 그 속에 양을 내포한다는 면에서 이런 괘상으로 본 것이다. 마지막으로 은 부드러운 음으로만 이루어졌으므로 土라고 하는데, 그중에서도 음괘에 속하는 곤괘는 탁한 陰水가 있는 ’6계곤토‘라고 하며, 양괘에 속하는 간괘는 맑은 陽水가 있는 ’1임간토‘라고 하였다.
왼편의 경우나 오른편의 경우나 5행과 숫자가 연결 된 상태를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건괘는 어느 편이나 다 같이 金으로 보는데, 왼편의 경우는 甲子라고 하였으며, 오른편에는 그냥 庚金이라고 하였다. 5행으로만 본다면 당연히 오른편의 庚金이라고 해야 하는데, 왜 甲子라고 해야 하는 걸까? 또한, 태괘도 5행으로는 金에 속하는 법인데, 왜 丁巳라고 하는 걸까? 기타, 다른 것도 납득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다.
이런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60갑자 조견표를 참고 하는 게 요령이다.
60갑자 조견표
1旬 |
1건 갑자 |
2 을축 |
3 병인 |
4 정묘 |
5 무진 |
6 기사 |
7 경오 |
8 신미 |
9 임신 |
10 계유 |
2旬 |
11 갑술 |
12 을해 |
13 병자 |
14 정축 |
15감 무인 |
16리 기묘 |
17 경진 |
18 신사 |
19 임오 |
20 계미 |
3旬 |
21 갑신 |
22 을유 |
23 병술 |
24 정해 |
25 무자 |
26 기축 |
27 경인 |
28 신묘 |
29 임진 |
30 계사 |
4旬 |
31 갑오 |
32곤 을미 |
33 병신 |
34 정유 |
35 무술 |
36 기해 |
37진 경자 |
38손 신축 |
39 임인 |
40 계묘 |
5旬 |
41 갑진 |
42 을사 |
43 병오 |
44 정미 |
45 무신 |
46 기유 |
47 경술 |
48 신해 |
49 임자 |
50 계축 |
6旬 |
51 갑인 |
52 을묘 |
53간 병진 |
54태 정사 |
55 무오 |
56 기미 |
57 경신 |
58 신유 |
59 임술 |
60 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