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조장 총론 - 8

영부, 精山 2009. 3. 20. 08:22

“아!”

 

 정도는 자신도 모르게 짧게 소리를 내고 말았다.

그도 그럴 것이 복희도의 서북방과 동남방에는 간산괘와 태택괘가 자리를 잡고 있었으며, 용담도의 서북방과 동남방에는 진뢰괘와 손풍괘가 자리를 잡은 게 눈에 확 들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소리는 입안에서만 맴돌았기 때문에 누구도 눈치를 챌 수 없었다.

 

“복희도에는 산택이 자리를 잡았던 곳으로, 용담도에는 풍뢰가 자리를 잡았지요?

서북방과 동남방은 각기 3음과 3양이 자리를 잡는 곳인데, 거기에 어떤 괘가 들어가느냐에 따라서 손익이 갈라진다는 얘기입니다.

이런 것은 팔괘를 언급할 적에 상세하게 나올 것이므로 일단 여기서 멈추도록 하겠지만, 여러분은 다각도로 窮寇(궁구)를 해야 합니다.

이런 말씀을 드리는 것은 팔괘의 중요성에 대해서 실례를 보여드리고 싶어서입니다.

다시 이조장의 총론에 대한 이야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조(以詔)는 임금이 조서(詔書)를 내리는 것처럼, 하늘이 후천이라는 세상에 조서를 내린다는 뜻이라고 보면 되는데, 그걸 다른 말로하면 이조는 유(儒)에 해당한다고 하는 겁니다.

하늘은 선(仙)이요, 땅은 불(佛)이며, 인간은 유(儒)를 상징한다고 보면, 현무경의 이조장은 후천의 새로운 유도(儒道)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겠군요.

이조장의 총 글자 수 140을 가리켜 유수(儒數)라고 하는 건 이런 이유때문이지요.

이조장의 총 글자 수에 대해서는 다들 잘 알겠지만, 그래도 다시 한 번 정리를 해 보고 넘어가는 게 좋겠군요.”


운곡선생은 칠판에 다음과 같은 도표를 그렸다.

 

                             이조장 글자 수 분류표

 

       대학(시전)

             소학(서전)

  서종과

 12

익자삼우 ~ 기서재동

  5

언천신계용

 17

1절(오부)

  3

현무경

  8

기유정월일일사시

 11

2절(신부)

  3

현무경

 20

수화금목 ~ 무상극지리

 23

3절(술부)

  3

현무경

 21

천지지중앙 ~ 사무여한부

 24

4절(자부)

  2

현무

 16

충자욕야 ~ 이선충자성공

 18

5절(인부)

  2

현무

 19

동어례자 ~ 왈무도리

 21

6절(진부)

  3

현무경

 23

서자원천지지약 ~ 기물난성

 26

     계

 28         성수

112             율수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