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진법으로 본 소성괘
이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 건괘를 중심으로 3자매가 있고, 곤괘를 중심으로 3형제가 있다는 사실이다.
하늘에서 맨 처음 발생하는 1음을 가리켜 태소녀라 하고, 그것이 더 발전한 2음은 리중녀가 되며, 맨 마지막으로 음의 본연의 모습으로 다 자란 3음을 가리켜 손장녀라 한다.
그러기 때문에 태소녀는 땅의 모습을 가장 적게 떨친 편이요, 손장녀는 하늘의 성질을 땅에 가장 근접하게 접목시킨 모습이다.
손괘의 맨 아래가 음효라는 사실은 이를 잘 반증하는데, 비록 위에는 두 개의 양이 있지만, 발이 땅에 닿아 있으니 이는 곧 땅에서 양기가 위롯 솟아오르는 형국이므로 바람이라고 한다.
이와는 반대로 진장남은 땅속으로 가장 많이 파고든 하늘의 기운이며, 간소남은 땅에서 가장 멀리 벗어난 은둔자의 모습이다.
진괘는 땅(곤괘)의 가장 밑바닥까지 침투한 양이다.
비록 두 개의 음효 밑에 눌려 있지만, 그보다 더한 것이라도 얼마든지 뚫고 올라갈 수 있는 힘이 있다고 하여 번개나 우레에 비견한다.
번개나 우레, 혹은 지진 등은 구름이나 물의 힘을 격파하는 강력한 힘이 있다.
오히려 그런 장애물이 있을수록 더욱 강력한 힘을 발산한다.
구체적으로 8괘가 얼마나 양기와 음기를 지니고 있는지 數値(수치)로 나타내보자.
우선 건괘는 고향인 하늘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그 기운의 폭, 즉 활동폭이 넓다.
그걸 2진법으로 나타내면 건괘의 맨 위의 효는 1, 중간은 2, 밑의 효는 4가 된다.
건괘는 모두 양효이므로 양의 힘이 7이다.
태괘는 중간 2, 아래 4이므로 양의 힘은 6이다.
리괘는 맨 위 1, 맨 아래 4, 합5이고, 진괘는 맨 아래 4가 양의 힘이다.
손괘는 맨 위 1, 중간 2를 합한 3이요, 감괘는 중간의 2가 양의 힘이며, 간괘는 맨 위의 1이 양의 힘이다.
곤괘는 양효가 전혀 없으므로 0이다.
- <건7, 태6, 이5, 진4, 손3, 감2, 간1, 곤0> -
음의 힘도 마찬가지다.
- <곤7, 간6, 감5, 손4, 진3, 리2, 태1, 건0>
음양의 힘을 전부 합하면 - <건7, 태7, 리7, 진7, 손7, 감7, 간7, 곤7>이 된다.
건 |
태 |
이 |
진 |
손 |
감 |
간 |
곤 |
비고 |
ㅡ 1 ㅡ 2 ㅡ 4 7 |
-- ㅡ 2 ㅡ 4 6 |
ㅡ 1 -- ㅡ 4 5 |
-- -- ㅡ 4 4 |
ㅡ 1 ㅡ 2 -- 3 |
-- ㅡ 2 -- 2 |
ㅡ 1 -- -- 1 |
-- -- -- 0 |
음은 양과 반대임. |
여기서 알 수 있는 건, 복희 8괘의 배열은 음과 양의 값대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