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糸, 紀,
영부, 精山
2009. 8. 14. 07:25
糸는 么(작을 요) 밑에 小가 합한 문자다.
아득하게 작은 것이 다시 작게 갈라지는 형국이니 이를 가리켜 ‘실 사’라고 한다.
糸를 부수로 하는 한자는 가는 실, 약함, 미세함, 약함, 어지러움 등을 가리킨다.
糸를 부수로 하는 한자는 가장 많은 個數(개수)를 자랑하는데, 紀(기), 約(약), 紅(홍), 紋(문), 紊(문), 納(납), 素(소), 索(삭), 紬(주), 綜(종), 結(결), 絞(교) 등이 있다.
紀는 糸와 己가 합한 문자다.
己는 ㄱ과 ㄴ을 상하에서 하나로 이어주는 형태인데 천지를 중간에서 하나로 모우는 것은 인체다.
그러므로 己는 ‘몸 기’라고 한다.
그것이 실처럼 퍼져나가 세상의 모든 기강을 바로 잡는 벼리의 역할을 한다고 하여 ‘벼리 기’라고 한다.
紀綱(기강)이 바로 세워지지 않으면 혼란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