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일진회, 삿갓, 속은 검은 옷 밖은 흰 옷

영부, 精山 2009. 10. 20. 07:34


11절

<동학 신도가 갑오년에 참패를 당한 뒤로 감히 나타나지 못하고 잠세력을 지켜오다가 일로전쟁의 기회를 타서 일본의 후원을 받아 一進會를 조직하니 사방이 향응하여 그 세력이 날로 왕성함에 백성들은 갑오년에 난폭하던 행동을 기억하여 두려운 마음을 품은지라 개벽주 종도들에게 일러 가라사대 저들의 이번 운동에는 각기 제 재산을 쓰게 할 것이요 갑오년과 같이 백성에게 폐를 끼치지 못하게 하리니 내가 솔선하여 모범을 지어야 하리라 하시고 갑진년 7월에 본댁 살림과 약간의 전답을 팔으사 전주부에 이르러 모든 걸인에게 나누어 주시더니 과연 일진회원이 마침내 제 재산을 탕패하거늘 가라사대 저희들이 나를 본받으니 살려줌이 옳으니라 하시고 갓을 벗고 삿갓을 쓰시며 옷은 안이 검고 밖이 희게하사 가라사대 저희들이 검은 옷을 입으니 나도 검은 옷을 입노라 또 하늘을 가리켜 가라사대 저 구름이 속은 검고 겉은 흼이 곧 나를 본받음이니라>


(해설)

 갑오년에는 농민들이 동학도들의 의거에 널리 동참하여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었다. 그러나 일진회는 일본의 앞잡이가 되어 오히려 동학을 배신한 단체다. 손병희는 그들과 다르다는 걸 강조하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동학이란 이름 대신 천도교라는 종교를 세우게 됐다. 일진회의 수장은 일본으로 망명했던 송병준과 이용구다. 송병준은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의 통역을 맡아 귀국하여 이용구와 합세하여 일진회를 조직했다.

 

일진회는 一이 전진하는 모임이므로 낙서의 1감수를 가리킨다. 후천은 二곤지로부터 출발을 한다. 선천은 乾이 주도를 하고 후천은 坤이 주도를 하는데, 乾은 甲이요 坤은 乙이다. 갑진년에 일진회의 재물을 쓰게 한 것은, 선천 낙서의 재물을 다 써야 후천을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갑진은 동방에서 양이 극에 달한 것이요, 을사는 음이 다하여 새로운 時頭로 등장한다.

 

걸인에게 재물을 나누어 준 것은, 선천은 정처 없는 유랑객이며 걸인이기 때문이다. 즉 일진회의 재산은 결인들에게 돌아간다는 상징이다. 진리의 양식을 먹지 못하고 불쌍하게 살아가는 걸인들에게 낙서의 재산으로 배불리 먹어야 하는데, 그걸 그대로 일진회원들이 따라서 하므로 그들을 살려주는 게 옳다고 하였다.

 

그들을 살리기 위하여 갓을 벗었는데, 갓은 본래 말총으로 만든다. 말총은 말꼬리를 가리키는 것이므로 선천 午火의 마지막을 상징한다. 선천에는 오가 하늘의 맨 꼭대기에 있어 자오선으로 일월의 운행을 주관했다. 삿갓은 하늘을 보지 않으려고 쓰는 것인데, 이는 곧 午를 안 보려고 함이다. 午가 있는 곳으로 亥가 들어가야 한다. 亥는 검은 색이며, 午는 붉은 색, 즉 밝은 색이니 흰옷이다. 또한 검은 옷은 음을 가리키고, 흰옷은 양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으니, 음이 실속을 차리는 후천을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