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흥비가 5

영부, 精山 2010. 12. 13. 07:25

칠팔세(七八歲) 글을 배워 심장적구(尋章摘句) 하여 내어

청운교(靑雲橋) 낙수교(洛水僑)에 입신양명(立身揚名) 할 마음은

사람마다 있지마는 깊고 깊은 저 웅덩에

진심갈력(盡心竭力) 지은 글을 넣고 나니 허무(虛無)하다

천수(遷授)만 바라다가 많고 많은 그 사람에

몇몇이 참예(參預)해서 장악원(掌樂院) 대풍류(大風流)로

삼일유가(三日遊街) 기장(奇壯)하다 이일 저일 볼작시면

허무(虛無)하기 다시없어 아니 가자 맹세(盟誓)해도

내 운수(運數) 내가 몰라 종종이 다니다가

이 내 마음 마칠진댄 그 아니 운수런가

 

* 심장적구(尋章摘句) : 문장을 찾아내고 문구를 인용 함

* 입신양명(立身揚名) : 출세하여 이름을 세상에 떨침

* 진심갈력(盡心竭力) : 마음과 힘을 다 함

* 천수(遷授) : 저절로 굴러들어 옴

* 장악원(掌樂院) : 조선시대 음악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청

* 삼일유가(三日遊街) : 3일 간 거리에서 놂

 

(풀이)

7, 8세 때부터 글을 배워 문장을 살피고 문구를 따내어서 청운교와 낙수교에 이름을 높이 걸어 자신을 높이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다 있을 것이다. (청운교 낙수교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들이 넘는 좌우의 다리 이름이다. 그것은 하늘(하도)과 땅(낙서)를 가리킨 것인데, 용주선생께서 지으신 ‘봉명서’를 인용하면 명료하게 알 수 있다. “一陽水雲 우리先生 二陽火雲 變化해서 三陽靑春 세워놓으니 靑雲橋 洛水橋에 어서어서 건너와서 立身揚名 하여보소 ”라고 하였는데, 一陽水雲은 수운선생이요 二陽火雲은 증산개벽주요 三陽靑春은 대두목을 가리키며, 청운교는 하도요 낙수교는 낙서를 가리킨다).

7, 8세는 후천이 시작하는 午(7), 未(8)를 가리킨다. 오회 중반에 하도가 출현하고 그 후 1,200여 년 후에 낙서가 출현하였다. 이 둘로 인하여 인류는 무한한 정신적인 진보를 하게 됐으며, 서기 1942 임오년으로부터 미회로 접어들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걸 가리켜 청운교 낙수교라고 하였는데, 청운은 푸른 동방과 봄을 가맅키는 것으로 이는 천존시절의 지침인 하도를 가리키는 것이요, 낙수는 낙서를 가리킨다. 이 두 가지로 많고 많은 사람들이 입신양명을 바라고 학문을 닦고, 복이 굴러들어오기를 바랐으나 그 모두가 허무한 일이다.

3일 유가는 예전에 과거에 급제한 사람들이 윗사람이나 친척들을 찾아뵙는 관례가 있었다. 합격자가 발표되면 길일을 택하여 근정전에서 의식을 거행하고, 다음 날 문무과 급제자들이 문과장원을 한 사람의 집에 모여서 함께 예궐하여 임금께 사은하며, 3일 째에는 무과장원의 집에 모여 문묘에 참배한 후에 거리를 행진하였다.

수운선생도 과거시험에 응시하기 위하여 학문에 진심갈력 하였으나 그 모두가 허사로 끝나게 되니 이것도 내 운수가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