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지 제7장
제 7장 (第七章)
於時에 人世이 怨咎하니 支巢氏이 大恥顔赤하야 率眷出城하야 遠出而隱이라.
且氣慣食萄實者와 設禁守祭者이 亦皆出城하야 去各地하니
黃弓氏이 哀憫彼等之情狀하야 乃告別曰 諸人之惑量이 甚大하야 性相變異故로 不得同居於城中이라.
然이나 自勉修證하야 淸濟惑量而無餘則自然復本하리니 勉之勉之하라.
어시에 인세이 원구하니 지소씨이 대치안적하야 율권출성하야 원출이은이라.
차기관식도실자와 설금수제자이 역개출성하야 거각지하니
황궁씨이 애민피등지정상하야 내고별왈 제인지혹량이 심대하야 성상변이고로 부득동거어성중이라.
연이나 자면수증하야 청제혹량이무여칙자연복본하리니 면지면지하라.
***
이에 사람(人世)들이 원망하고 타박하니, 지소씨가 크게 부끄러워 얼굴이 붉어져서,
권속(眷屬)을 이끌고 성을 나가, 멀리 가서 숨어 버렸다.
또 포도의 열매를 먹은 자와, 수찰을 하지 아니한 자도,
역시 모두 성을 나가, 이곳 저곳으로 흩어져 가니,
황궁(黃穹)씨가 그들의 정상을 불쌍하게 여겨 고별(告別)하여 말하기를,
“여러분의 미혹(迷惑)함이 심대(甚大)하여 성상(性相)이 변이(變異)한 고로
어찌할 수 없이 성중(城中)에서 같이 살 수가 없게 되었오.
그러나, 스스로 수증(修證)하기를 열심히 하여, 미혹함을 깨끗이 씻어, 남김이 없으면,
자연히 복본(復本) 할 것이니, 노력하고 노력하시오.“하였다.
是時에 氣土相値하야 時節之光이 偏生冷暗하고 水火失調하야
血氣之類이 皆懷猜忌하니 此는 冪光이 卷撤하야 不爲反照하고 城門이 閉隔하야 不得聽聞故也라.
시시에 기토상치하야 시절지광이 편생냉암하고 수화실조하야
혈기지류이 개회시기하니 차는 멱광이 권철하야 부위반조하고 성문이 폐격하야 부득청문고야라.
****
이 때에 기(氣)와 토(土)가 서로 마주치어, 시절(時節)을 만드는 광선(光線)이,
한 쪽에만 생기므로, 차고 어두웠으며, 수(水)와 화(火)가 조화를 잃으므로,
핏기 있는 모든 것들이 시기하는 마음을 품으니,
이는, 빛을 거둬들여서 비추어 주지 아니하고, 성문이 닫혀 있어 들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계속)
--------------------
[초벌구이 주석 달기]
--------------------
자세한 주석 예정입니다.
○ 성상 : 삼라만상의 본체와 그 질과 행실
○ 복본 : 천성을 되찾음. 마고성의 원상을 회복한다는 의미. 고구려 다물(多勿)과 통하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