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6. 지지 - 2

영부, 精山 2012. 6. 1. 08:03

음양은 5행을 기준으로 삼지만, 3신은 4상을 기준으로 삼는다. 인체에서도 음양은 얼굴의 5관이나 배의 5장 손가락과 발가락의 5지를 통해서 그 실체를 드러내지만, 3신은 얼굴의 이목구비와 사지, 손가락과 발가락의 엄지를 제외한 네 마디를 통해서 그 실체를 드러낸다. 즉, 천간은 5라는 숫자를 통해서 음양으로 벌어지는데 5는 사물의 중심을 가리킨다. 이에 비해 지지는 사물의 표면을 가리키는데, 표면의 숫자는 4와 6이다. 원방각 중에서 방형을 세 번 칼로 가르면 역시 여덟 개의 조각으로 벌어지는데, 반드시 4각형으로 이루어진 6면을 지닌다. 따라서 4와 6은 겉으로 드러나는 숫자다. 물론 8이라는 숫자도 여덟 조각이므로 눈에 잘 보인다. 이처럼 짝수는 표면에서 볼 수 있지만, 홀수는 내면으로 들어가야 보인다.

 

따라서 5(행)를 기준으로 하는 10천간은 내면에 있어서 잘 안보이고, 12지지는 잘 보인다는 걸 알게 된다. 12는 4 × 3으로 보면 4방에서 3신이 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며, 6 × 2로 보면 6기가 음양으로 벌어진 상태다. 천간이나 지지나 다 같이 음양과 4상이 있지만, 천간은 내면의 상태를 가리키고, 지지는 겉으로 드러난 상태를 가리킨다고 하는 건 이런 이치에 의한 것이다.

 

그러면, 왜 천간보다 지지가 2개 더 많을까? 천간과 지지의 숫자가 똑 같다면 남고 모자라는 게 없이 사이좋게 짝을 맺을 수 있는데, 지지가 두 개가 더 많이 남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60갑자가 나왔다.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 천간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 지지

 

10천간처럼 지지도 10개라면 위에 기록한 10개의 간지 밖에 없을 것이다. 이것은 수박의 표면에 나타난 여섯 개의 十字 중의 한 개에 지나지 않는다. 표면에는 분명 여섯 개의 十字, 즉 60이 있는데 어찌 한 개의 十字로 그 모든 것이 해결 될 수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