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강유설 - 2 者體形情性於化之地 巽 坎 艮 坤 巽 坎 艮 坤 巽 坎 艮 坤 巽 坎 艮 坤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應 雷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露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風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雷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雷 而 化 者 木 之 形 應 露 而 化 .. 카테고리 없음 2007.04.12
5단 - 3 5 × 3 = 15는 5행이 천지인 3계에 충만한 상태다. 5행이 하늘에 있는 5 × 1 = 5는 생수(生數)가 되어 아직 형상이 없는 무형이고, 5행이 땅으로 내려 온 5 × 2 = 10은 형상을 지니고 있는 성수(成數)이므로 유형이며, 5 × 3 = 15는 하도의 중심에 있는 것처럼 천5, 지5, 인5가 모두 합한 상태다. 즉 10은 천지의 합.. 카테고리 없음 2007.04.11
사상 강유설 - 1 20. 사상강유설(四象剛柔說) 사상강유설은 모든 사물을 보는 학문의 기본이다. 하늘에는 음양이 있고, 땅에는 사상이 있는데, 땅의 사상은 음양이라고 하지 않고 강유라고 표현한다. 사상에서 8괘가 나오고, 8괘에서 64괘, 384효 등이 나오므로 사상강유설은 모든 학문의 기본이라고 해도 지나침이 없다. .. 카테고리 없음 2007.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