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단 - 2 5단의 합은 225다. 5단의 중심인 5 × 5 = 25에 9를 곱하면 225가 된다. 25는 10속에 들어 있는 양수의 합이다 (1, 3, 5, 7, 9의 합). 따라서 5단은 양수의 중심을 모아 놓았다고 할 수 있다. 모든 형상에는 동정(動靜)이 함께 하는 법인데, 동적인 면은 양수로 나타내고, 정적인 면은 음수로 나타낸다. 그러므로 6단.. 카테고리 없음 2007.04.10
언청신계용 - 2 따라서 천지만물을 통하면 얼마든지 하나님의 형상을 볼 수 있으며, 그것은 곧 인간의 진면목을 볼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 상태가 되면 인간의 중심에는 신이 있어서 모든 것을 계산하고 판단한다. 같은 가마에서 구워진 그릇이라고 하여도 신전에서 성수를 담으면 성기(聖器)가 되지만, 개밥을 담으.. 카테고리 없음 2007.04.10
gj 언청신계용(言聽神計用) 언청신계용은 사람의 이목구비가 완성된 상태를 가리킨다. 기서재동이 땅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기서재동이라고 하여 방위를 기록했다면, 언청신계용은 사람에 대한 것을 가리키므로 사람의 이목구비를 상징하는 언청신계용이라고 하였다. 이목구비의 완성은 천지의 사상으.. 카테고리 없음 200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