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지혜 깜짝 놀라는 생활의 지혜 비 오는 날 사용하고 젖은 우산을 꼭지 부분이 바닥으로 향하도록 세워놓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산을 거꾸로 세워놓으면 우산 꼭지에 물이 고여 우산살이 쉽게 부식되므로 손잡이가 아래로 향하게 세워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비가 그치면 쫙 펴서 물기를 완.. 카테고리 없음 2012.08.03
남양주 토요 강좌 안내 남양주에서 당분간 매주 토요일에 강좌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1. 일시 : 매주 토요일 15시 ~ 17시 2. 장소 :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 638번지 성보빌딩 704호(호평 전철역 부근) 이마트 옆 건물 (지하 주차장이 있습니다) 3. 강사 : 왕정산 4. 주제 : 천부경 5. 문의 : 010 - 7244- 2358 왕정산 * 양주나 .. 카테고리 없음 2012.08.03
Re:일적십거도 일적십거도는 저도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건 하도의 55점과 낙서의 45점을 합한 100개의 점의 합을 가리키더군요. 그걸 가리켜 양55 : 음45라는 식으로 음양의 비율을 정해 놓았던 기억이 새삼스럽군요. 아마도 1이 쌓여서 10에 이른다는 생각으로 그런 도표를 만든 것 같은데, 솔직히 그런 .. 카테고리 없음 2012.08.02
토론회의 방향 천부경에 어떤 의미가 있는 건 분명한데, 유리알처럼 밝게 그 의미가 와 닿지 않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그래서 기존에 해설해 놓은 분들의 풀이를 참조할 수밖에 없지요. 그런데 그러면 그럴 수록 더욱 혼돈에 휩싸이는 걸 아마 많이 경험했을 겁니다. 대개의 경우, 기존의 역학적인 지식.. 카테고리 없음 2012.08.01
성남서 유백색 UFO 포착… ‘UFO 헌터’ 촬영 성공 성남서 유백색 UFO 포착… ‘UFO 헌터’ 촬영 성공 서울신문|입력2012.07.31 15:21|수정2012.07.31 15:56 [서울신문 나우뉴스]최근 경기도 성남에서 유백색의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B%AF%B8%ED%99%95%EC%9D%B8%EB%B9%84%ED%96%89%EB%AC%BC%EC%B2%B4&nil_profile=newskwd&nil_id=v20120731152120402" tar.. 카테고리 없음 2012.07.31
뜨거운 커피를 종이컵에 담아 마시는 것은 건강에 치명적 // 뜨거운 커피를 종이컵에 담아 마시는 것은 건강에 치명적 뜨거운 커피를 종이컵에 담아 마시는 것은 건강에 치명적... 종이컵은 종이로만 되어 있으면 수분이 금방 종이에 흡수되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에 폴리에틸렌이라는 일종의 플라스틱(고분자 화합물질)으로 코팅처리를 .. 카테고리 없음 2012.07.31
왜 一積을 하면 十鉅가 되며, 그것은 無櫃化三이 되어야 할까? 2. 왜 一積을 하면 十鉅가 되며, 그것은 無櫃化三이 되어야 할까? 댓글이 없네요. 댓글이 안 달리면 더 이상 저도 글을 쓰지 않으리라고 작심했었지요. 메아리 없는 외침은 공허할 따름이지요. 사랑은 상대가 있어야 나눌 수 있지요. 상대 없는 사랑을 짝사랑이라고 하던가요? 그런데 또 다.. 카테고리 없음 2012.07.30
두 번 째 주제의 정리와 세 번 째 주제 2 앞에서 사물을 볼 적에 천지인 3합으로 보아야 한다는 걸 말하였다. 오늘날 무수한 수련법이 많이 있지만, 그런 과정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곳이 어디일까? 신선의 몸? 영생하는 몸? 소주천, 대주천? 글쎄... 우리는 이런 것에 대해 깊은 성찰을 해야 한다. 사실 천부경을 공.. 카테고리 없음 2012.07.27
두 번 째 주제 정리와 세 번 째 주제 1 (두 번 째 주제) 1. 天一은 왜 一이라 하고, 地一은 왜 二가 되며, 人一은 왜 三이라 했을까? 2. 왜 一積을 하면 十鉅가 되며, 그것은 無櫃化三이 되어야 할까? 십거의 鉅는 巨와 어떤 차이가 있으며, 無櫃는 무슨 뜻일까? 3. 十에도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게 무엇일까? 4. 천부경의 일.. 카테고리 없음 2012.07.27
理行님의 댓글에 대한 답글 理行님. 함께 생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천부경은 始로 시작하고, 지부경은 終으로 시작한 것은, 하늘에서 보는 것과 땅에서 보는 건 서로 정반대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하는 게 더 간명하지 않을까요? 하늘의 끝은 땅의 시작이요, 땅의 시작은 하늘의 끝이 되는 건 상식이겠죠. 즉 一의 .. 카테고리 없음 201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