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단 - 3 7 × 4 = 28은 하늘에 벌어진 별 자리 28수를 가리킨다. 6 × 4 = 24는 땅에서 동서남북으로 춘하추동이 24절기로 펼쳐지는 것을 가리키는 것에 반해, 28은 하늘에서 별이 동서남북으로 펼쳐지는 것을 가리킨다. 6이 물이요 정기(精氣)라면 7은 불을 가리키는 동시에 신기(神氣)가 된다. 28의 기본수가 1인데, .. 카테고리 없음 2007.04.30
만물과 역사의 성립 - 4 ⑥ 정유, 장미, 변화 정어유이험어명(定於幽而驗於明) 장어미이현어저(藏於微而顯於著) 소이성변화이행귀신야(所以成變化而行鬼神也) 도생일(道生一) 일위태극야(一爲太極也) 일생이(一生二) 이위양의(二爲兩儀) 이생사(二生四) 사위사상야(四爲四象也) 사생팔(四生八) 팔위팔괘야(八爲八卦也) 팔팔.. 카테고리 없음 2007.04.30
도덕과 만물의 성립 - 2 ① 도와 태극, 양의 도생천지이태극자(道生天地而太極者) 도지전체야(道之全體也) 태극생양의(太極生兩儀) 양의(兩儀) 형지판야(形之判也) : 도는 천지를 낳고 태극은 도의 전체이다. 태극이 양의를 낳고 양의는 형상을 가름한다. ② 천도는 음양, 지도는 강유, 인도는 인의 양의생사상(兩儀生四象) 사.. 카테고리 없음 2007.04.27
7단 - 2 7단은 전반적으로 7성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7성이 하늘에 있으면 7화(火)라 하고, 땅의 형상으로 나타나면 14라는 달이 가장 밝아지는 순환 사이클을 이룬다. 7성이 세 번 변하면 상, 중, 하로 펼쳐지는데 이를 가리켜 3신이 7성을 주유(周遊)한다고 하며 21이 된다. 즉 3신이 7성의 정기.. 카테고리 없음 2007.04.27
만물과 역사의 성립 - 2 ⑤ 세월과 역사의 성립 인즉겸비호음양강유고(人則兼備乎陰陽剛柔故)로 영어만물(靈於萬物)이 능여천지참야(能與天地參也)라 유인(惟人)이 능여천지참고(能與天地參故)로 천지지변(天地之變)에 유원회운세세월일진(有元會運世歲月日辰)하고 인사지변(人事之變)에 유황제왕백역서시춘추야(有皇帝.. 카테고리 없음 2007.04.26
7단 - 1 7단 7단은 7성의 움직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7은 5 + 2 인데 이는 곧 사물의 중심에 화(火)가 자리를 잡은 상태다. 불은 빛을 발산하여 사물을 밝게 하는 성질이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하늘의 7성이다. 서양에선 럭키 세븐이라고 하여 7을 행운의 숫자로 여기는데, 그것은 하늘의 별과 같이 모.. 카테고리 없음 2007.04.26
6단 - 5 이처럼 6단의 보수를 2·5 성체하면 기본수는 9 → 3 → 6의 순서대로 질서정연하게 나열되는 걸 알게 된다. 이것은 3단의 ‘순서대로 보수를 2·5성체 했을 경우(곱해진 수의 합)’의 9 → 6 → 3과 흡사한데, 다만 순서가 다르게 된 것은 서로 다른 각도에서 기준을 세우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보수에 맞.. 카테고리 없음 2007.04.25
만물과 역사의 성립 ③ 주비초목과 색성기미 주자(走者)는 선미(善味)하고 비자(飛者)는 선기(善氣)하고 초자(草者)는 선성(善聲)하고 목자(木者)는 선색(善色)하니 개기소감(蓋其所感)이 응유부동고(應有不同故)로 기소선(其所善)이 역유이(亦有異)라 : 주자(走者)는 맛(味)을 좋아하고, 비자(飛者)는 기(氣)를 좋아하며, 풀(.. 카테고리 없음 2007.04.25
6단 - 4 6단을 9궁 8괘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대각선 합90 중앙선 합90 대각선 합90 세로 합 72 세로 합108 가로 합 36 6 12 18 가로 합 36 중앙선 합90 24 30 36 중앙선 합90 가로 합144 42 48 54 가로 합144 세로 합 72 세로 합108 대각선 합90 중앙선 합90 대각선 합90 위에서 보는 것처럼, 6단은 중심에 30(6 × 5)이 있는데, 그것.. 카테고리 없음 2007.04.23
사상 강유설 - 9 ⑧ 만물이 응하면 땅에서 화함 우화물지주 (雨化物之走) 풍화물지비 (風化物之飛) 로화물지초 (露化物之草) 뇌화물지목 (雷化物之木) 만물지소이응어지지화야 (萬物之所以應於地之化也) : 비는 땅에서 만물을 달리게 하고, 바람은 만물을 날게 하며, 이슬은 만물에서 풀이 되고, : 주비초목은 지상에 .. 카테고리 없음 2007.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