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단 - 7 이번에는 또 다른 경우를 알아보기로 한다. 오행(방위와 생성)으로 2·5 성체 했을 경우 비고 7 +42 = 49(4) 14 + 49 = 63(9) 21 + 56 = 77(5) 28 + 63 = 91(1) 35 + 70 = 105(6) 수, 화, 목, 금, 토의 순서 7단에는 7 × 10은 없지만 편의상 넣었음 이번에는 7단의 숫자를 5행의 이치에 맞추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5행은 1, 6수, 2, 7.. 카테고리 없음 2007.05.08
현무경 오부 - 3 오부의 면면을 살펴보도록 하자. (物形符 - 午符) 물형부(物形符)는 만물의 형상을 통해 하늘의 상서(祥瑞)를 상징하는 부신(符信)을 가리킨다. 하도, 낙서 등이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하늘이 무언가 인류에게 가르침이나 뜻을 전하고자 할 때에 응기(凝氣)하여 나타난 神物(혹은 信物)이다. 부에도 음양.. 카테고리 없음 2007.05.08
현무경 오부 - 2 천지에 水氣가 돌 때에는 만국 사람이 배우지 아니하고도 通語하게 되나니 수기가 돌 때에는 와지끈 소리가 나리라. - 대순전경 3장 178절 천지에 수기가 도는 것은 쌀이 풍부한 상태와 상통한다. 그렇게 되면 만국 사람이 배우지 않고서도 저절로 말이 통하게 된다고 하였다. 그것은 곧 선천 낙서의 집.. 카테고리 없음 2007.05.07
7단 - 6 이처럼 7단의 보수를 2·5 성체하면 기본수는 1, 6수 → 2, 7화 → 3, 8목 → 4, 9금 → 5의 순서대로 질서정연하게 나열되는 걸 알게 된다. 이것은 2단의 ‘순서대로 보수를 2·5성체 했을 경우(곱해진 수의 합)’의 그것과 일치하는데, 그것은 2와 7은 본래 오행의 속성이 같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보수에 맞.. 카테고리 없음 2007.05.04
현무경 오부 또 하나 유의해야 할 것은 기유년 정월 임오일의 선천 사시와 후천 사시에 대한 것이다. 임오일을 선천의 시각으로 보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진, 을사이므로 을사시가 된다. 그러나 후천의 시각으로 보면 기사시가 된다. 42을사에서 6기사까지는 24가 지난 25차가 된다. 반대로 기사에서 을사까지.. 카테고리 없음 2007.05.04
선천사주에서 후천 사주 나오는 공식 이런 사정을 현무경 이조장에서 허무장으로 넘어가는 과정에 ‘소멸음해부(消滅陰害符), 소멸음해부(消滅陰害符), 무신납(戊申臘)’이라고 기록했다. 납(臘)은 마지막 섣달을 가리키므로 결국 무신납은 선천의 마지막 달이 무신이요, 후천의 태세가 기유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선천이 무신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07.05.03
기유정월일일사시 - 2 동서양이 합덕하여 새로운 문명을 여는 것은 영부라고 동경대전에는 명백한 기록을 남겼다. ‘나에게 영부가 있으니 그것이 선약(僊藥)’이라고 하였다. 즉 사물탕의 이름이 선약이요, 영부라는 말이다. 영부에 대해서는 직접 12물형부를 설명할 적에 다시 언급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기유정월일일.. 카테고리 없음 2007.05.02
7단 - 5 7단을 보수로 2·5성체하면 다음과 같다. 보수로 2·5성체 했을 경우 비고 7 + 63 = 70 14 + 56 = 70 21 + 49 = 70 28 +42 = 70 70은 7 7이 10방에 펼쳐 짐 63 + 7 = 70 56 + 14 = 70 49 + 21 = 70 42 +28 = 70 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7단의 숫자를 보수에 맞추어 2·5성체를 하면 전부 70이 되어 기본수는 7火가 된다 위의 도표에는 안.. 카테고리 없음 2007.05.02
7단 - 4 7단을 9궁 8괘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대각선105 중앙합105 대각선 105 세로 합 84 세로 합126 가로 합 42 7 14 21 가로 합 42 중앙합105 28 35 42 중앙합 105 가로 합168 49 56 63 가로합 168 세로 합 84 세로 합126 대각선 105 중앙합 105 대각선105 위에서 보는 것처럼, 7단은 중심에 35(7 × 5)이 있는데, 그것이 9궁을 돌기 .. 카테고리 없음 2007.05.01
기유 정월 일일 사시 기유정월일일사시 현무경의 정종과는 ‘기유정월일일사시‘로부터 시작한다. 舒宗課가 모든 기강을 풀어나가는 실마리라면 正宗課는 그것을 바로 잡는다는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기유정월일일사시‘라는 여덟 글자로 시작을 하였으니, 그것은 연월일시라는 팔자(八字)를 바로 하는 것이 正宗이.. 카테고리 없음 2007.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