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단 - 5 5단을 9궁 8괘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대각선 합75 중앙선 합75 대각선 합75 세로 합 60 세로 합 90 가로 합 30 5 10 15 가로 합 30 중앙선 합75 20 25 30 중앙선 합75 가로 합120 35 40 45 가로 합120 세로 합 60 세로 합 90 대각선 합75 중앙선 합75 대각선 합75 위에서 보는 것처럼, 5단은 중심에 25(5 × 5)이 있는데, 그것.. 카테고리 없음 2007.04.13
사상 강유설 - 3 이처럼 천지의 변화는 기형의 변화인데, 기는 5를 중심으로 하고, 형은 3을 중심으로 변화를 하는 것이 철칙이기에 이를 3·5착종이라고 부른다. ① 만물에는 음양과 사상이 있다. 동자위천천유음양 (動者爲天天有陰陽) 양자동지시야 (陽者動之始也) 음자동지극야 (陰者動之極也) 음양지중우각유음양고.. 카테고리 없음 2007.04.13
5단 - 4 5 × 6 = 30은 ‘형상의 중심에 있는 6기’라고 한다. 25가 양수의 5행을 합한 것이라면 30은 음수에 들어 있는 오행을 합한 수다. 2, 4, 6, 8, 10을 합한 수가 30이기 때문인데, 음수의 합이 양수의 합보다 5가 더 많다. 음수나 양수는 다 같이 다섯 개씩인데 음수가 양수 보다 5가 더 많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 카테고리 없음 2007.04.12
사상강유설 - 2 者體形情性於化之地 巽 坎 艮 坤 巽 坎 艮 坤 巽 坎 艮 坤 巽 坎 艮 坤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少 剛 少 柔 太 剛 太 柔 應 雷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露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風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雷 而 化 者 木 之 體 應 雷 而 化 者 木 之 形 應 露 而 化 .. 카테고리 없음 2007.04.12
5단 - 3 5 × 3 = 15는 5행이 천지인 3계에 충만한 상태다. 5행이 하늘에 있는 5 × 1 = 5는 생수(生數)가 되어 아직 형상이 없는 무형이고, 5행이 땅으로 내려 온 5 × 2 = 10은 형상을 지니고 있는 성수(成數)이므로 유형이며, 5 × 3 = 15는 하도의 중심에 있는 것처럼 천5, 지5, 인5가 모두 합한 상태다. 즉 10은 천지의 합.. 카테고리 없음 2007.04.11
사상 강유설 - 1 20. 사상강유설(四象剛柔說) 사상강유설은 모든 사물을 보는 학문의 기본이다. 하늘에는 음양이 있고, 땅에는 사상이 있는데, 땅의 사상은 음양이라고 하지 않고 강유라고 표현한다. 사상에서 8괘가 나오고, 8괘에서 64괘, 384효 등이 나오므로 사상강유설은 모든 학문의 기본이라고 해도 지나침이 없다. .. 카테고리 없음 2007.04.11
5단 - 2 5단의 합은 225다. 5단의 중심인 5 × 5 = 25에 9를 곱하면 225가 된다. 25는 10속에 들어 있는 양수의 합이다 (1, 3, 5, 7, 9의 합). 따라서 5단은 양수의 중심을 모아 놓았다고 할 수 있다. 모든 형상에는 동정(動靜)이 함께 하는 법인데, 동적인 면은 양수로 나타내고, 정적인 면은 음수로 나타낸다. 그러므로 6단.. 카테고리 없음 2007.04.10
언청신계용 - 2 따라서 천지만물을 통하면 얼마든지 하나님의 형상을 볼 수 있으며, 그것은 곧 인간의 진면목을 볼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 상태가 되면 인간의 중심에는 신이 있어서 모든 것을 계산하고 판단한다. 같은 가마에서 구워진 그릇이라고 하여도 신전에서 성수를 담으면 성기(聖器)가 되지만, 개밥을 담으.. 카테고리 없음 2007.04.10
gj 언청신계용(言聽神計用) 언청신계용은 사람의 이목구비가 완성된 상태를 가리킨다. 기서재동이 땅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기서재동이라고 하여 방위를 기록했다면, 언청신계용은 사람에 대한 것을 가리키므로 사람의 이목구비를 상징하는 언청신계용이라고 하였다. 이목구비의 완성은 천지의 사상으.. 카테고리 없음 2007.04.09
4단 - 8 다음에는 보수에 맞추어서 2·5 성체를 하지 말고, 그냥 순서에 맞추어서 해보도록 하겠다. 순서대로 2·5성체 했을 경우(곱해진 수의 합) 비고 4 +8 = 12(3) 12 +16 =28 (2) 20 +24 = 44 (8) 28 + 32 = 60 (6) 36 + 40 = 76(4) 기본수의 합이 2, 8, 6, 4의 순서로 됨 4단에는 4 × 10은 없지만 편의상 넣었음 순서에 맞춘다는 것은 .. 카테고리 없음 2007.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