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파용천기세마 2 참고로 수운대신사와 연관 된 용천검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하기로 한다. 수운선생께서는 달 밝고 바람이 없는 날이면 산위에 올라 목검으로 검무를 추셨다고 한다. 용담유사에 있는 검결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劍訣 시호(時乎)시호 이내시호 부재래지(不再來之) 시호(時乎)로다 →때여 때여 이 .. 카테고리 없음 2007.12.10
적멸장 성리대전 80권은 9변 9복이라고 하는데, 복희도의 36도수와 문왕도의 45도수를 합한 81수를 가리킵니다. 복희도의 8곤지에서 용담도의 10건천을 가는 과정을 팔십권이라고도 합니다. 즉 곤과 건이 하나 되는 과정을 가리킵니다. 복희도의 8곤지에 문왕도의 1감수, 거기에 용담도의 10건천을 합하면 19적멸.. 카테고리 없음 2007.12.03
手把龍泉幾歲磨 이런 노래가 왜 나왔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글의 내용으로 보면 사랑하는 님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듯하다. 그러면서도 어쩔 수 없이 보내야 하는 애틋한 심정이 물씬 풍긴다. 하지만 마지막에 ‘제주 앞바다 달맞이 가자’고 한 말을 음미하면, ‘아하! 결국은 새로운 후천의 달(酉正月)을 맞이하자.. 카테고리 없음 2007.11.30
적멸장 황극구궁행로수는 전후, 좌우, 종횡으로 줄줄 저절로 입에서 나올 정도로 외워야 합니다. 황극구궁행로수(용담구궁행로수) 순서 2坤地 3坎水 4兌澤 5震雷 6中宮 7巽風 8艮山 9離火 10乾天 1차궁 2 3 4 5 6 7 8 9 10 2차궁 3 4 7 2 6 10 5 8 9 3차궁 4 7 10 3 6 9 2 5 8 4차궁 5 2 3 8 6 4 9 10 7 5차궁 6 6 6 6 10 6 6 6 6 6차궁 7 10 9 4 6.. 카테고리 없음 2007.11.30
수파용천기세마 수파용천기세마 手把龍泉幾歲磨 : 손으로 용천검을 잡고 연마하기 몇 해인고? (해설) 용천검은 제주도(濟州道)에 전승(傳承)되는 민요(民謠)의 하나인데, 사당패들이나 잡가꾼(雜歌-)들이 부르던 민요(民謠)로 육지(陸地)에서는 거의 없어졌고, 제주도(濟州道) 성읍 지방(地方)에 전승(傳承)된다고 한다... 카테고리 없음 2007.11.29
적멸장 이목구비와 팔괘를 연결시켜서 생각해보면 무궁한 이치가 나옵니다. 이것이 사상설의 묘미라고 할 수 있지요. 현무경은 기본적인 이치를 옹골차게 전해 주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이런 사상설입니다. 책방에 꽂혀 있는 무수한 글들 중에서 과연 자신만의 이야기나 깨달음을 기록한 것이 얼마나 되.. 카테고리 없음 2007.11.29
[스크랩] 소년재기발천마 소년재기발천마 少年才器拔天摩 : 소년의 재주는 하늘을 하늘을 갈아서 뽑아내고 (해설) 소년은 8괘에서 간괘가 된다. 용담도에서는 8간산이라고 하는데, 선천 서방에 있던 申酉와 함께 자리를 같이 한다. 소년의 재주로 하늘을 갈아서 뽑아낸다고 한 것은, 선천의 묵은 하늘을 8간산으로 마지막 정리.. 카테고리 없음 2007.11.28
법문 싯귀 해설방 신설 오늘부터 '천부동 공부방'에 '法文 詩句房'을 신설합니다. 법문 싯귀는 천지개벽공사에 등장하는 싯귀를 한데 모아 놓은 것을 가리킵니다. 사실 진리를 깨치면 풍류를 즐기게 마련인데, 풍류의 최고봉은 '시인'의 경지라고 하겠습니다. 격조가 높으면서도 우주의 철리, 자성의 광명을 밝히는 법문 싯귀.. 카테고리 없음 2007.11.28
적멸장 공전은 공적인 운동이며, 자전은 사적인 운동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에도 공전과 자전을 하게 마련인데, 선천에서는 무조건 공적인 면을 우선하였지요. 그래서 滅私奉公이 미덕인 양, 예찬을 했습니다. 낙서 구궁에서도 역시 공전을 상징하는 대궁을 먼저 하고, 자전을 상징하는 소궁을 밑에 달아.. 카테고리 없음 2007.11.28
적멸장 얼굴에서 옆으로 찢어진 건 눈과 입이요, 상하로 벌어진 건 귀와 코입니다. 눈을 아버지인 건괘라 하고, 입을 장남인 진괘라고 하여 같은 남성으로 보는 까닭은 이처럼 옆으로 벌어진 것과도 연관성이 있습니다. 귀는 막내 딸을 가리키는 태괘요, 코는 가운데 딸을 가리키는 이괘라고 한 것도 역시 같.. 카테고리 없음 2007.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