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덴동산은 바로 지금, 여기 에덴동산 첫 사람이 살았던 곳은 에덴동산이다.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된 지라. 여호와 하나님이 동방의 에덴에 동산을 창설하시고 그 지으신 사람을 거기에 두시고 - 창세기 2장 7절, 8절” 동방은 태양이 솟는 곳이다. 그것은 어느 .. 카테고리 없음 2008.03.17
개벽// 선천 하늘의 모습 “북방에서 시작한 양은 북방을 가리키는 임(壬)과 1양을 가리키는 자(子)가 합하여 임자시(壬子時)로 시두(時頭)를 삼게 된 겁니다. 이것이 바로 선천의 천지가 열렸다는 말입니다. 임자는 북방에서 비롯하는데, 하루 중에서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에 해당하기 때문에 비록 1양이 시작한다고는 하지.. 카테고리 없음 2008.03.17
사동사 사역동사(使役動詞)라고도 한다. '시킬 사', '부릴 사' 스스로 하지 않고 남에게 어떤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한다. 먹이다의 '이' 맞히다의 '히' 울리다의 '리', 감기다의 '기' 깨우다의 '우' 달구다의 '구' 맞추다의 '추' 등이 사동사를 만든다. '먹다, 맞다 ...' 등은 주동사다. 카테고리 없음 2008.03.17
안식일 2 안식일은 제7일을 가리킨다. 하필이면 왜 7일째에 안식을 했을까? 그것은 7이라는 수의 의미를 알면 저절로 이해가 될 것이다. 물론 앞에서 하늘의 3변, 땅의 3변을 합한 6을 넘어야 ��로소 인간의 3변으로 들어가는 7이 시작하기 때문이라는 언급을 했다. 인간의 영역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하나님.. 카테고리 없음 2008.03.15
개벽// 안식일 1 안식일은 기독교를 지탱하는 근간이다. 만약 일요일이 없었다면 과연 지금처럼 많은 사람들이 마음 놓고 예배를 드릴 수 있었을까? 예배를 드리지 않으면 지금처럼 헌금과 성금이 얼마나 걷힐까? 그러기 때문에 기독교에서는 무엇보다도 일요일을 안식일이라고 하여 거룩한 주일(主日)이라고 가르친.. 카테고리 없음 2008.03.14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명사는 사실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낸다. 뒤에 조사가 붙기도, 앞에 꾸미는 말이 오기도 한다. '저 노인은 가는 길을 안다.' '저 이는 모른다.' '노인'과 '이'는 모두 명사지만 다른 데가 있다. '노인'은 앞의 '저'가 없어도 말이 된다. '이'는 '저'가 없으면 안 된다. '이'는 '저'에 의존한다. 노인은 자립명.. 카테고리 없음 2008.03.14
개벽// 1, 2, 3, 4 ◑ “이 그림의 왼편은 양이 주도하는 선천이요, 오른편은 음이 주도하는 후천입니다. 선천은 양이 주도하는 낮 시간대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겁니다. 중앙의 戊에서 문이 열리면 양은 가장 어두운 곳에서 시작하는 법이므로 반드시 북방에서 운행을 시작하게 마련입니다. 북방은 壬과 癸가 있.. 카테고리 없음 2008.03.14
창세 6일 간 하나님은 모든 창조를 마치고 7일 째에 안식을 취했다. 이것을 기리기 위해 사람들은 한 주를 7일로 하여 매주 일요일이나, 토요일을 공휴일로 정했다고 한다. 그러나 7일을 한 주로 한 것은 기독교에서 나온 의식이 아니라, 기독교 이전부터 있었던 의식이다.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음양오행이 합한 7일.. 카테고리 없음 2008.03.13
5戊와 10己의 차이 “하지만 1 + 6 = 7도 되고, 3 + 4 = 7도 되는 것처럼, 5만 그런 게 아니라, 다른 숫자도 생에서 성으로 변화시키고, 음에서 양으로 변화시키는 건 무슨 이치인가요?” 항상 조용한 묵산이 말문을 열었다. 그러고 보니 꽤 날카로운 질문이었다. “물론 모든 숫자는 각기 다른 수와 합하기도 하고, 빼기도 하면.. 카테고리 없음 2008.03.13
어미 '~ㄹ지', 의존명사 '지' '갈지 말지 고민이다.'에서 '지'는 붙여쓴다. '~ㄹ지'가 하나의 어미이기 때문이다. 판단과 관련시키는 연결 어미로 쓰였다. '~ㄹ지'는 막연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도 사용된다. '노인의 꿈이 이루어질지?' 이에 비해 의존명사 '지'는 띄어 쓴다. 이때의 어미는 '어떤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이.. 카테고리 없음 2008.03.13